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은 최신 유행을 빠르고 저렴하게 제공하지만, 그 대가로 환경 파괴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패스트 패션의 정의, 현황, 문제점 등에 대해 소개하며 우리 옷장 뒤에 숨겨진 진실을 살펴보겠습니다
패스트 패션의 어두운 민낯: 쉐인의 인플루언서 공장 투어 사건
(출처: Environmental Health News)
“얘들아, 쉐인(SHEIN) 공장 영상 봤어?”
지난해 SNS에서 뜨겁게 회자된 이 사건은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습니다. 글로벌 패스트 패션 기업 쉐인은 환경 파괴와 노동 착취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중국 광저우 공장으로 유명 인플루언서들을 초대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인플루언서들이 본 것은 진짜 공장이 아니라 화려하게 꾸며진 '전시장'이었습니다. 이 진실이 드러나자 #SheinExposed 해시태그가 순식간에 SNS를 뜨겁게 달구었습니다.
쉐인은 하루에도 수천 개의 신상품을 쏟아내며 우리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빠르게 생산된 2달러짜리 티셔츠의 뒤에 감춰진 현실은 충격적입니다.
그린피스 독일 지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쉐인의 제품 47개 중 7개(15%)에서 EU의 엄격한 기준을 위반하는 유해 화학물질이 검출되었으며, 전체 제품의 32%는 건강에 우려를 줄 정도였습니다. 또한 의류 생산 과정에서 엄청난 자원이 낭비되고, 막대한 양의 탄소가 배출되며 수질 오염도 심각합니다.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힘든 환경과 낮은 임금 속에 살아갑니다. 이 모든 것을 알고 나서도 값싼 옷이 여전히 매력적일까요?
―
패스트 패션이란?
―
패스트 패션(Fast Fashion)은 최신 유행을 빠르고 저렴하게 생산하는 의류 산업입니다. 저렴한 가격과 빠른 생산 속도 덕분에 소비자들에게 사랑받지만, 그 이면에는 환경 문제와 윤리적 문제가 함께 존재합니다.
전통 패션 vs 패스트 패션: 놀라운 차이
전통적인 의류 산업에서는 ‘봄/여름’과 ‘가을/겨울’로 나누어 1년에 두 번 신상품을 출시합니다. 반면 패스트 패션 브랜드는 무려 1년에 평균 50번이나 신상품을 내놓습니다.
(출처: 세계자원연구소(WRI), True Cost)
즉, 매주 새로운 옷들이 쏟아지며 우리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끊임없이 유혹하는 것이죠.
―
패스트 패션의 현황
―
글로벌 패스트 패션 시장은 이미 2022년에 약 1,060억 달러에 이르렀고, 2027년까지 1,850억 달러로 급성장할 전망입니다.
(출처: The Fashion Law)
(출처: The Fashion Law)
자라(Zara), H&M, 쉐인(Shein), 포에버21(Forever21)과 같은 브랜드들은 매일 새로운 옷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특히 쉐인(SHEIN)은 2023년에만 3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쇼핑 앱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의류 생산 증가 vs 의류 사용 빈도 감소
(출처: 세계자원연구소(WRI), McKinsey & Company)
세계자원연구소(WRI)에 따르면, 2014년의 소비자는 2000년보다 60% 더 많은 옷을 샀지만, 각 옷을 입는 기간은 절반으로 줄었습니다.
이런 결과는 여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Ellen MacArthur Foundation의 보고서 역시, 2000년부터 2015년 사이에 의류 생산은 두 배 증가했지만 한 벌의 옷을 입는 횟수는 계속 줄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원 낭비와 환경 오염 심화가 매우 우려스럽습니다.
(출처: Ellen MacArthur Foundation 보고서)
물 발자국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
패스트 패션이 지구에 남긴 상처들
―
여러분은 우리가 입는 옷 한 벌이 환경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옷이 만들어지는 모든 과정에서 환경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출처: Ellen MacArthur Foundation 보고서)
1. 섬유 생산:
석유 같은 자원을 소모하며 많은 탄소를 배출합니다
2. 의류 생산:
공장에서는 이산화탄소와 폐수를 배출해 공기와 물을 오염시킵니다
3. 의류 사용:
세탁 시 많은 물을 사용하고 미세 플라스틱을 배출합니다.
4. 폐기 단계:
버려진 옷은 매립되거나 소각되며 환경 오염과 온실가스를 발생시킵니다.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ECE)는 패션 산업이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10%를 차지하며, 이는 항공과 해운 산업을 합친 것보다 많다고 지적합니다(UNECE, 2018). 티셔츠 한 장을 만드는 데 약 2,700리터의 물이 소비되며, 이는 한 사람이 2년 반 동안 마실 수 있는 양입니다(WRI).
매년 미국에서만 1,100만 톤 이상의 섬유 폐기물이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매초마다 트럭 한 대 분량의 옷이 버려지고 있습니다(EPA). 가장 흔한 합성 섬유인 폴리에스터는 분해되는 데 최대 200년이 걸리며, 세탁할 때마다 미세 플라스틱을 방출합니다(UNEP, 2019).
이제는 단순히 패션의 문제가 아니라, 지구를 위한 책임 있는 선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순환경제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
희망의 움직임, 슬로우 패션
―
슬로우 패션(Slow Fashion)은 지속 가능하고 윤리적인 소비를 강조하며, '적게 사고 오래 입는' 새로운 소비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매년 패션 레볼루션 주간에는 Z세대가 브랜드에 묻습니다. "내 옷을 누가 만들었나요?“ #WhoMadeMyClothes 소셜 미디어를 통해 투명성을 촉구하고, 윤리적인 소비를 위한 글로벌 움직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 파타고니아 (미국):
"이 재킷을 사지 마세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옷의 수리와 재활용을 통해 소비 습관의 변화를 촉구합니다.
(출처: The Closet)
● 에코알프 (스페인):
"다른 지구는 없으니까(Be cause there is no planet B)"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며, 해양 플라스틱과 폐어망을 활용한 패션을 선보입니다.[출처: Patagonia, Ecoalf 공식 웹사이트]
윤리적 소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옷장 속 작은 변화가 지구의 미래입니다
―
유엔환경계획에서는 슬로우 패션과 관련하여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열가지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10가지 지속가능한 팁 ★
1. 충동구매 멈추기
2. 중고 플랫폼 이용하기
3. 나만의 캡슐 옷장 만들기
4. 윤리적 브랜드 선택하기
5. 친환경 소재 고르기
6. 옷 고쳐 입기
7. 세탁 자주 하지 않기
8. 로컬 브랜드 응원하기
9. 옷 교환 행사 참여하기
10. 온라인에서 목소리 내기
출처: Ellen MacArthur Foundation, UNEP 지침서
옷장 속 작은 변화가 지구의 미래입니다
혹시 여러분의 옷장에도 ‘한 번 입고 잊혀진 옷’이 있지 않나요? 지금부터 우리의 현명한 선택이 지구의 미래를 바꿉니다.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조언처럼 "덜 사고, 잘 고르고, 오래 입으세요." 여러분의 다음 쇼핑에 지구를 위한 가치가 담기길 바랍니다.
기후 행동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덜 사고, 잘 고르고, 오래 입으세요."
-패션 디자이너, 비비안 웨스트우드-
관련 글 |
글: 최연제 국장
-
PREV 비폭력 커뮤니케이션(Peace Technology)이란?
-
NEXT 다음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