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북남 격차는 지구 북쪽의 부유한 나라들과 남쪽의 가난한 나라들 사이에 존재하는 경제, 교육, 보건, 환경의 큰 차이를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의미와 현황, 그리고 우리가 어떤 행동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을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공정한 출발선이란 무엇일까요?
―
전 세계는 단순히 국경선이나 언어로만 나뉘지 않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자본, 기술, 의료, 교육, 그리고 기후 대응 능력 같은 요소들이 지구를 북과 남으로 나누는 보이지 않는 경계선이 되고 있죠.
한쪽에는 이 모든 조건을 갖춘 북반구의 선진국들, 다른 쪽에는 아직 기본적인 경제 기반조차 마련하지 못한 남반구의 개발도상국들이 있습니다.
상상해보세요. 마라톤 경주가 열렸는데, 어떤 선수는 최신 운동화에 스포츠 음료까지 챙긴 채 출발선에 서 있는 반면, 다른 선수는 낡은 신발을 신고 출발선보다 1km 뒤에서 출발해야 한다면요. 같은 대회에 참가했다고 해서, 그 경주를 과연 '공정한 경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이처럼 글로벌 구조는 처음부터 불평등한 출발선 위에서 작동하고 있으며, 그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북남 격차(Global North-South Divide)란 일반적으로 '북반구'로 불리는 부유한 선진국들과,
'남반구'로 지칭되는 가난한 개발도상국들 사이에 존재하는 사회·경제적, 정치적 분열을 의미합니다."
-국제연합무역개발회의(UNCTAD)-
―
현실 사례: 선진국의 쓰레기가 개발도상국의 해변으로
―
우리가 마신 생수병, 포장을 뜯고 버린 플라스틱 용기들은 정말 제대로 재활용되고 있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재활용'이라는 단어를 믿고 분리수거를 하지만, 그 뒷이야기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미국 플라스틱 폐기물의 50% 이상이 개발도상국으로 수출되고 있습니다(출처: GAIA, 2021).
2018년 중국이 폐기물 수입을 금지하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지로 물량이 급증하고 있는 중입니다.
가나의 아그보그블로시(Agbogbloshie)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곳은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폐기물 매립지 중 하나로, 어린이들이 맨손으로 전자기기를 분해하며 금속을 추출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납, 수은, 카드뮴 등 유해물질이 무분별하게 노출되어 아이들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는 점입니다.
선진국에서 '재활용'이라는 이름으로 보낸 폐기물이 사실상 제대로 처리되지 못한 채, 개발도상국의 강과 바다, 마을을 오염시키고 있는 겁니다.
이런 현실은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지구의 깨끗함을 유지하기 위해 누군가의 삶이 희생되고 있다는 구조적 불평등을 보여줍니다.
―
2024-2025 글로벌 북남 격차 현황
―
(출처: ©IMF. https://www.imf.org/external/datamapper/NGDPDPC@WEO/OEMDC/ADVEC/WEOWORLD)
이 지도는 2025년 예상 전 세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국가별로 나타낸 것입니다. 푸른색이 짙을수록 1인당 소득이 높고, 색이 어두운 주황 또는 빨간색일수록 소득이 낮다는 의미입니다. 이 지도를 통해 글로벌 북남 격차(Global North-South Divide)가 얼마나 뚜렷한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경제 격차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선진국의 1인당 GDP는 약 55,000달러인 반면, 개발도상국은 평균 8,500달러에 그치고 있습니다.
단순히 숫자의 차이를 넘어, 이 격차는 기회, 생계, 삶의 안정성 등 삶의 전반적인 조건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아프리카 국가들 중 상당수는 GDP 대비 부채 비율이 60%를 넘는 상황에 처해 있으며, 성장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매년 막대한 이자를 갚아야 합니다.
(출처: IMF World Economic Outlook, 2024)
* 간단 요약: 경제 격차
• 2024년 선진국 평균 1인당 GDP: 55,000달러
• 개발도상국 평균: 8,500달러
• 아프리카의 GDP 대비 부채 비율: 60% 초과
최빈개도국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 디지털 격차
지금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것도 디지털 접근성을 갖췄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직 전 세계 인터넷 평균 보급률은 67%에 불과합니다. 선진국은 90% 이상, 개발도상국은 40%도 되지 않습니다.
이 차이는 단순한 인터넷 접속 문제를 넘어서, 디지털 금융, 온라인 교육, 전자상거래와 같은 미래 경제의 진입 장벽이 되기도 합니다. (출처: ITU Facts and Figures).
* 간단 요약: 디지털 격차
• 글로벌 인터넷 보급률: 67%
• 선진국: 90% 이상
• 개발도상국: 40% 미만
• 디지털 금융·전자상거래 성장률: 선진국 15% vs. 개도국 5%
디지털 격차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 보건 및 의료 격차
같은 병에 걸려도, 어디에서 태어났느냐에 따라 치료 가능성이 달라집니다. 선진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80세를 넘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여전히 65세도 채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WHO는 아프리카 의료 접근성을 2025년까지 30% 이상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자금과 정책 지원이 미비해 여전히 현실화되기 어렵습니다(출처: WHO World Health Statistics 2024).
* 간단 요약: 보건·의료 격차
• 선진국 기대수명: 평균 80세 이상
• 개발도상국: 65세 미만 다수
• 의료 인프라 부족으로 2025년까지도 접근성 확대 미흡 예상
보편적 의료보장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 기후 격차
기후위기는 모두에게 영향을 주지만, 가장 취약한 국가에 더 치명적입니다. UNEP에 따르면, 2024년 기후 재난으로 인한 피해액은 3,500억 달러를 넘었고, 그 중 70%가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했습니다.
선진국은 재생에너지 비율을 45%까지 끌어올렸지만, 개발도상국은 여전히 20% 미만에 머물고 있습니다. 탄소 배출량의 책임은 북쪽이 더 크지만, 고통은 기후취약국들이 몰려있는 남쪽이 더 큽니다.
(출처:UNEP Emissions Gap Report 2024)
* 간단 요약: 기후 격차
• 기후 재해 피해액: 연간 3,500억 달러 초과, 그중 70%가 개발도상국
• 선진국 재생에너지 비율: 45% 이상
• 개발도상국은 여전히 20% 미만
기후취약국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
왜 글로벌 북남 격차가 중요할까?
―
이 격차는 뉴스 속 이야기나 보고서의 통계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기후난민, 식량 부족, 질병의 확산, 국경 분쟁—그 여파는 결국 우리 모두에게 되돌아옵니다.
게다가 이 문제는 지금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앞으로 태어날 세대가 살아갈 기본 조건을 결정짓는 기준점이기도 합니다. 지금 우리가 나서지 않으면, 10년 뒤에도 같은 이야기를 반복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
국제사회의 노력: 숫자와 한계 사이
―
(Source : ©UN. https://www.un.org/sustainabledevelopment/news/communications-material/)
유엔은 2015년, 전 인류를 위한 ‘할 일 리스트’인 SDGs, 즉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을 발표했습니다.빈곤, 교육, 기후 등 총 17개의 목표를 2030년까지 달성하겠다는 계획이었죠.
하지만 2025년을 앞둔 지금, 이행률은 고작 50% 수준입니다. 특히 기후변화, 생태계 보호, 불평등 해소, 평화와 제도 같은 분야는 심각한 수준입니다. 선진국들이 약속한 기후 재정 연 1,000억 달러도 아직 절반도 채워지지 않았습니다(출처: SDG Progress Report 2024).
캡션: SDGs 전체 목표 중 절반 이상(65%)이 정체되었거나, 거의 진전 없이 후퇴하고 있는 상태임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목표를 달성했거나 순조로운 항목은 17%뿐입니다.
* 간단 요약:
• 유엔은 17개의 글로벌 목표를 세움
• 하지만 지금까지 달성률은 50% 미만
• 연간 1,000억 달러가 필요하지만, 아직 절반도 못 채움
세계은행과 IMF도 가만 있지는 않았습니다. 2024년 500억 달러 규모의 저소득국 지원 패키지를 발표하며 디지털 교육, 스마트 농업, 인프라 구축 등에 투자하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멉니다.
구조적 한계와 속도 문제는 변화를 더디게 만들고 있습니다. 예산도, 정책도, 시스템도 ‘부유한 나라’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도움이 필요한 ‘개발도상국’에 닿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현실입니다.
―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
글로벌 북남 격차는 국가나 국제기구만의 과제가 아닙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내리는 작은 선택도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공정무역 커피를 고르고, 윤리적 브랜드를 응원하고, 환경 캠페인에 서명하는 일—모두가 미래의 격차를 줄이는 연결고리가 될 수 있어요.
✅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7가지 행동
• 공정무역 제품 소비하기: 개도국 생산자들의 정당한 보상 보장
• 윤리적 브랜드 선택하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응원하는 소비
• 온라인 튜터링과 교육 기부: 디지털 교육 격차 해소
• 쓰지 않는 디지털 기기 기부: 또 다른 배움의 기회 창출
• 로컬 여행 실천하기: 개발도상국 지역 경제에 실질적 기여
• 환경·인권 캠페인 참여: 정책에 목소리를 더하는 행동
• 개도국 스타트업 후원하기: 경제 자립을 돕는 지속가능한 방법
공정무역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 |
―
진짜 ‘공정’은 출발선이 아닌, 과정에서 만들어집니다
―
글로벌 북남 격차는 단순히 '누가 더 부자인가'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은 누군가는 백신을 맞고 살아남고, 누군가는 기초 의료조차 못 받지 못한 채 목숨을 잃는 생존의 문제이며, 누군가는 기회를 당연하게 여기고, 누군가는 그 기회 앞에 서보지도 못하는 존엄의 문제입니다.
이 격차를 줄이기 위해 필요한 건, 일시적인 동정이 아니라 구조를 바꾸는 상상력과 그것을 실행하는 용기입니다. 바로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변화의 방식입니다.
일찍이 코피 아난(Kofi Annan) 제7대 유엔 사무총장은 "글로벌 북남 격차를 해소하지 않고서는 진정한 평화와 안정을 이룰 수 없다."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우리는 어떤 세상을 원하고 있나요? 벽이 많은 세상인가요, 아니면 다리를 놓는 세상인가요? 우리의 상상력과 용기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는 북남 격차를 줄이고, 모두를 위한 번영을 이루기 위한 로드맵입니다.”
- 제프리 삭스(Jeffrey Sachs), 경제학자 -
글: 최연제 국장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참고문헌 및 출처: • FAO. Livestock’s Long Shadow: Environmental Issues and Options(2006)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공식 문서 보기 • World Economic Outlook 2024(2024)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공식 보고서 보기 • Facts and Figures 2024(2024)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공식 보고서 보기 • World Health Statistics 2024(2024)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공식 문서 보기 • Emissions Gap Report 2024(2024)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 SDG Progress Report 2024(2024)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공식 보고서 보기 • Plastic Waste Trade and Recycling Report(2021)Global Alliance for Incinerator Alternatives (GAIA). 공식 보고서 보기 |
-
PREV 리셀과 업사이클링이란?
-
NEXT 다음 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