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디 포지티비티란 “우리 몸 그대로를 사랑하자”는 믿음에서 출발한 운동입니다. 이 칼럼에서는 이 운동의 배경과 의미, 그리고 그것이 현대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BodyPositivity: 변화를 이끈 목소리
카를 라거펠트 발언과 그 여파
(출처: CNN)
2019년, 샤넬의 전설적인 디자이너 카를 라거펠트는 “플러스 사이즈 모델은 패션쇼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이 발언은 단순한 개인 의견을 넘어, 외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그대로 드러냈기 때문입니다.
이후 SNS에서 #BodyPositivity와 #AllBodiesAreGoodBodies 해시태그가 확산되며, 다양한 체형과 외모를 존중하는 목소리가 점점 커졌습니다. 이는 단순히 패션계를 넘어, 외모 중심의 사회 구조를 되짚어보는 계기가 되었죠.
―
Q. 바디 포지티비티란?
―
“외모와 상관없이 모든 몸은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
바디 포지티비티는 자신의 몸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사랑하자는 메시지에서 출발합니다. 그러나 단순한 개인적 수용을 넘어, 외모로 인한 차별을 없애고 자존감을 높이는 사회적 변화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를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몸을 존중하며 건강한 자기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돕는 운동”으로 정의합니다.
바디 포지티비티는 다양성을 축하하는 일입니다. 예를 들어, 키가 작든 크든, 체형이 어떻든 모두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긴 역사를 가진 움직임
―
최근의 트렌드처럼 보이지만 바디 포지티비티 운동의 뿌리는 깊습니다. 외모에 대한 억압은 오래된 문제였고, 그만큼 변화의 움직임도 꾸준히 이어져 왔기 때문이죠.
◎ 복장 개혁 운동 (1850년대~1890년대)
19세기 여성들은 코르셋을 통해 비현실적으로 가는 허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회적 압박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복장은 흉곽 변형, 내부 장기 손상 등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켰고, 이에 대한 저항으로 복장 개혁 운동이 시작된 거죠. 여성들은 바지를 입을 권리를 요구하며 당시의 성별 규범에 도전했습니다.
(출처:The Atlantic)
◎ 비만 수용 운동 (1960년대)
1960년대 뉴욕에서는 다이어트 책을 불태우며 체형에 대한 차별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생겼습니다. 뉴욕의 라디오 진행자 스티브 포스트는 센트럴 파크에서 ‘뚱뚱이 운동’을 열고, 다이어트 책을 불태우며 차별에 항의했는데요. 이는 바디 포지티비티 운동의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당시, 시위 관련 잡지, 출처: The Curvy Fashionista)
◎ 웰빙 운동 (1990년대)
1990년대에는 웰빙과 신체 수용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들이 등장했습니다. 과체중인 사람들을 위한 홈 운동 비디오 시리즈인 ‘Yoga For Round Bodie’가 환영받았고, 다이어트의 위험성이 널리 알려지면서 사람들이 건강한 식습관과 자기 수용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습니다.
(출처: Nottingham shire Live)
◎ 소셜 미디어와의 만남 (2010년대)
2012년, 인스타그램에서 #BodyPositivity 해시태그가 등장하며 이 운동은 새로운 전기를 맞았습니다. 다양한 체형과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의 사진을 올리며,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자랑스럽게 표현하기 시작했습니다.
(출처: NASM)
―
#BodyPositivity의 시작: 해시태그에서 문화로
―
(출처: Marie Claire UK)
바디 포지티비티 운동은 2012년 인스타그램에서 시작된 #BodyPositivity 해시태그와 함께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지금까지 이 해시태그는 5억 번 이상 사용되며, 하나의 문화적 메시지로 자리 잡았습니다.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은 자신의 몸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는 모습을 게시하며 서로에게 영감을 주고 있어요. 플러스 사이즈 모델 테스 홀리데이는 자신의 사진과 함께 “나는 내 몸을 사랑한다”는 메시지를 공유하며 수백만 명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녀의 활동은 수백만 명에게 용기를 주었고, ‘완벽하지 않은’ 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었습니다.
브라질에서는 장애를 가진 모델들이 런웨이에 올라 자신감을 뽐내며 #BodyPositivity를 새로운 차원으로 확장시켰습니다.
브랜드들도 변화에 동참했습니다. 예를 들어, 도브(Dove)의 Real Beauty 캠페인은 다양한 연령과 체형, 피부색을 가진 모델을 기용하며 아름다움의 기준을 넓혔습니다. 또한, Mattel은 더 포괄적인 ‘Fashionistas’ 바비 인형 라인을 출시해, 다양한 체형과 외모를 반영한 제품을 선보였죠.
(출처: The Standard)
―
바디 포지티비티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정신 건강과 외모 중심 사회
왜 우리는 이 운동에 주목해야 할까요? 외모 중심의 사회는 우리의 정신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입니다. 미국 정신건강협회(NAMI)에 따르면, 외모로 인한 스트레스는 우울증과 불안 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이상적인 외모를 부각시키며 이러한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1년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 여성의 30%가 외모로 인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다고 발표했는데요, 특히 15~29세 여성들 사이에서 이 스트레스가 가장 심각했습니다.
―
바디 포지티비티를 위하여
―
세계보건기구(WHO)는 소셜 미디어의 이상적 외모 이미지가 이러한 문제를 악화시킨다고 지적하며, 건강한 외모 이미지를 장려하는 캠페인과 청소년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했습니다.
◎ 건강한 외모 장려 캠페인: 도브(Dove)는 Real Beauty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 모든 연령, 체형, 피부색을 아우르는 모델을 기용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이 캠페인은 소비자들에게 아름다움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 알고리즘 개선: 인스타그램은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에 따라 2021년부터 청소년들에게 유해할 수 있는 외모 관련 광고의 노출을 줄이고, 바디 포지티비티 관련 콘텐츠를 더 자주 노출하고 있습니다. 외모 중심의 콘텐츠 대신 긍정적인 메시지를 우선시하고 있죠.
◎ 청소년 대상 교육: 세계보건기구(WHO)는 지역 학교와 NGO와 협력하여 청소년들에게 건강한 자기 이미지를 심어주는 교육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 예로, Dove Self-Esteem Project는 청소년들에게 바디 포지티비티와 관련된 워크숍을 전 세계 6,000만 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제공했습니다.
―
바디 포지티비티 실천법
―
자신에게 친절하기
매일 거울 앞에서 스스로를 칭찬하며 긍정적인 습관을 만들어 보세요.
다양성을 축하하는 미디어 소비
다양한 체형과 배경을 가진 콘텐츠를 선택하세요. ASOS와 같은 브랜드는 장애를 가진 모델까지 포함하여 포용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칭찬 릴레이 참여하기
주변 사람들의 장점을 찾아 칭찬하는 습관은 간단하지만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사회적 캠페인에 참여하기
‘No Filter Movement’는 사람들이 보정되지 않은 자신의 사진을 공유하며 진정한 아름다움을 강조하도록 장려하고 있습니다.
―
우리 몸은 이야기다
―
바디 포지티비티는 나의 몸이 지금까지 나를 어떻게 지켜왔는지, 어떤 여정을 함께해 왔는지를 깊이 이해하고 존중하는 과정입니다.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몸을 따뜻한 눈길로 바라보며 고맙다는 말을 건네본 적이 있나요? 우리는 종종 자신의 몸에 가장 엄격한 비판자가 되곤 하지만, 사실 우리의 몸은 늘 우리 곁에서 묵묵히 하루하루를 함께 살아왔습니다.
우리의 몸은 단순한 외형이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의 삶과 이야기가 담긴 집입니다. 그 집을 사랑하고 돌보는 법을 배우는 것, 그것이야말로 우리가 스스로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이 아닐까요?
”우리의 몸은 단순히 외형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집입니다.
이 집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작가 겸 활동가, 글로리아 스타이넘-
더 많은 정보를 알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 하세요! ↓↓↓ |
글: 최연제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