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 Coverage
-
Kenya’s President Ruto awards African Development Bank’s Adesina highest national honour
(Source: African Development Bank)Kenya’s President H.E. William Samoei Ruto has conferred the country’s highest honour, Chief of the Order of the Golden Heart CGH, on the President of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Dr Akinwumi Adesina.Dr Adesina becomes the 20th recipient of the honour that was established in 1967 and first awarded to Kenya’s founding father and former President, H.E. Jomo Kenyatta. Others include globally renowned leaders such as former UN Secretary General Kofi Annan, South Africa’s Nelson Mandela, Queen Elizabeth II of the United Kingdom, Uganda’s Yoweri Museveni and Kenya’s subsequent Presidents Daniel arap Moi, Mwai Kibaki, Uhuru Kenyatta and Dr Ruto.Dr. Akinwumi Adesina receives the prestigious honor of the Chief of the Order of Golden Heart from Kenyan President Dr. William Samoei Ruto. During a colourful investiture ceremony at Nairobi’s State House, President Ruto praised Dr Adesina’s distinguished service, commitment, and passion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enya and Africa.President Ruto congratulated Adesina and told him, “You are amazing. You are a great leader. You deserve this honour and investiture.” The two leaders share a warm relationship that dates back 20 years when Adesina lived and worked in Kenya for the Alliance for Green Revolution in Africa, AGRA. At that time Ruto was Kenya’s Minister for Agriculture. Both recalled how they worked together to provide subsidies to farmers despite opposition at the time from some donors and global financial institutions.President Ruto said under his presidency he has continued with the same policy of offering subsidies to farmer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country’s food production. “Our maize production increased from 40 million to 70 million bags last year. Our sales from tea, generated more than 220 billion shillings [approximately $1.7 billion], the highest ever earnings.” “I am proud of the journey we started together ten years ago; I can see its fruits. Kenyans can feel its benefits,” President Ruto told Adesina who was accompanied by his wife, Mrs Grace Yemisi Adesina. “I am proud of the journey we started together ten years ago; I can see its fruits. Kenyans can feel its benefits,” President Ruto told Adesina who was accompanied by his wife, Mrs Grace Yemisi Adesina. In its citation, the Kenya government recognized Adesina as a distinguished economist and a global development leader.The Bank’s support for the private sector in Kenya includes over $700 million in lines of credit to more than eight commercial banks.President Ruto said the Bank’s support to the country’s mortgage sector has boosted the government’s national housing programme, with 150,000 houses under construction, generating jobs for 260, 000 youth.“Dr Adesina transformed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into a globally recognized institution for financi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impact and under his leadership, the Bank’s general capital grew from $93 billion to $318 billion.” Speaking about Kenya’s high youth unemployment, Adesina pointed to several youth riots that shook the country last year.In addition to providing $309 million for eight on-going projects targeting skills development, Adesina said the Bank is preparing for Board approval, financial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a Youth Entrepreneurship Investment Bank of Kenya. “This will be a stand-alone financial institution, that will be 100 percent dedicated to providing technical assistance, debt and equity financing for youth businesses in Kenya.”
2025.03.24 -
케냐의 루토 대통령, 아프리카개발은행 아데시나 총재에게 최고 국가 훈장 수여
(출처: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케냐의 대통령 윌리엄 사모에이 루토 각하(H.E. William Samoei Ruto)는 아프리카개발은행 그룹(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의 총재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에게 케냐 최고 훈장인 골든 하트 최고훈장(Chief of the Order of the Golden Heart, CGH)을 수여했습니다. 아데시나 박사는 1967년에 제정된 이 훈장을 받은 20번째 수훈자로, 첫 수훈자는 케냐의 건국의 아버지이자 초대 대통령인 조모 케냐타 각하(H.E. Jomo Kenyatta)입니다. 그 외에도 전 유엔 사무총장 코피 아난, 남아공의 넬슨 만델라,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우간다의 요웨리 무세베니 대통령, 그리고 케냐의 후임 대통령들인 다니엘 아랍 모이, 음와이 키바키, 우후루 케냐타, 윌리엄 루토 대통령 본인 등이 이 훈장을 받았습니다. 나이로비 대통령궁에서 열린 화려한 서훈식에서 루토 대통령은 아데시나 박사의 헌신적인 봉사, 사명감, 그리고 케냐와 아프리카의 경제 발전을 위한 열정을 높이 평가하며 축하를 전했습니다. 루토 대통령은 “당신은 정말 훌륭합니다. 위대한 지도자이십니다. 이 영예는 당연한 결과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두 지도자는 20년 전부터 이어진 각별한 인연을 갖고 있습니다. 당시 아데시나는 아프리카녹색혁명연합(AGRA)의 활동을 위해 케냐에 거주하며 일했고, 루토는 당시 농림부 장관이었습니다. 그들은 국제 기구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에게 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을 함께 추진한 바 있습니다. 루토 대통령은 자신이 대통령이 된 이후에도 이 같은 농업 보조 정책을 계속 시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 케냐의 식량 생산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작년 우리의 옥수수 생산량은 4천만 자루에서 7천만 자루로 늘었습니다. 차 수출로는 사상 최대인 2,200억 실링(약 17억 달러)을 벌어들였습니다.” 루토 대통령은 아데시나 박사에게 “우리가 함께 시작한 여정이 자랑스럽습니다. 이제 그 결실을 보고 있으며, 케냐 국민도 그 혜택을 체감하고 있습니다.”라고 전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아데시나 박사의 부인인 그레이스 예미시 아데시나 여사도 함께했습니다. 케냐 정부는 아데시나 박사를 “탁월한 경제학자이자 세계적인 개발 리더”로 평가하며 훈장 수여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그는 아프리카개발은행을 금융 혁신과 개발 영향력 면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관으로 탈바꿈시켰으며, 은행의 자본금을 930억 달러에서 3,180억 달러로 증대시켰습니다.” 수락 연설에서 아데시나는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대통령님의 놀라운 친절에 깊이 감동했습니다! 정말 큰 영광이며, 드문 특권이자 역사적인 인정입니다!”아데시나는 1964년 설립된 아프리카개발은행의 역사 속에서 케냐가 차지하는 특별한 의미를 강조하며, 지금까지 총 167개 프로젝트에 78억 달러를 지원했으며, 본인이 총재로 재임한 이후로는 57개 프로젝트에 44억 4천만 달러를 지원했다고 밝혔습니다.현재 케냐 내에서 진행 중인 AfDB 프로젝트는 총 45개, 40억 9천만 달러 규모이며,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루토 대통령은 “아데시나 박사는 AfDB를 전 세계적으로 금융 혁신과 개발 효과의 중심 기관으로 탈바꿈시켰으며, 그의 리더십 아래 자본금은 930억 달러에서 3,180억 달러로 성장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청년 실업률이 높은 케냐의 현실을 언급하며, 아데시나는 지난해 케냐에서 발생한 청년 시위를 지적했고, 이에 대응해 AfDB가 3억 900만 달러를 투입해 8개의 청년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케냐 청년 기업가 투자은행(Youth Entrepreneurship Investment Bank of Kenya)’ 설립을 위한 신규 금융 지원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2025.03.24 -
FIFA president Gianni Infantino confirms 2026 World Cup final will feature a Super Bowl-style half-time show... Global Citizen with Coldplay in charge of choosing the musical performers
(Source:MSN)FIFA president Gianni Infantino has confirmed that the 2026 World Cup final will feature a half-time show inspired by American football\'s Super Bowl. The tournament - which will be the biggest in World Cup history as will feature 48 national teams, instead of 32 - will conclude at New Jersey\'s 82,500-capacity MetLife Stadium on July 19.Writing on Instagram on Wednesday morning, Infantino said that \'a show befitting the biggest sporting event in the world\' will take place after the first 45 minutes of the game. Infantino also revealed that British pop rock band Coldplay would be collaborating with FIFA to help attract and select the musical performers.It is not currently clear whether the half-time interval will be elongated to accommodate the show.Infantino\'s message read: \'It was my pleasure to speak with friends and colleagues attending the FIFA World Cup 26: FIFA Commercial & Media Partners Convention in Dallas, where we discussed some very exciting plans for the biggest-ever FIFA World Cup in 2026. I can confirm the first ever half-time show at a FIFA World Cup final in New York New Jersey, in association with Global Citizen. This will be a historic moment for the FIFA World Cup and a show befitting the biggest sporting event in the world. We also spoke about how FIFA will takeover Times Square for the final weekend of the FIFA World Cup in 2026, during both the bronze final match and final. These will be two incredible matches, featuring some of the best players in the world, and what better way to celebrate them than in the historic Times Square in New York City. My thanks of course to Global Citizen CEO Hugh Evans and his incredible team, for helping us put together these amazing shows. I also want to thank Chris Martin and Phil Harvey of Coldplay, who will be working with us at FIFA to finalise the list of artists who will perform during the half time show, as well as at Times Square.\'
2025.03.12 -
2026 월드컵 결승전 슈퍼볼 스타일 하프타임 쇼 확정…글로벌 시티즌 콜드플레이 공연
(출처:MSN) FIFA 회장 지아니 인판티노가 2026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미국 프로풋볼(NFL) 슈퍼볼에서 영감을 받은 하프타임 쇼가 진행될 것이라고 공식 확인했다.이번 대회는 참가국이 기존 32개국에서 48개국으로 확대되며, 월드컵 역사상 최대 규모로 치러진다. 결승전은 2026년 7월 19일,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82,500석 규모의 메트라이프 스타디움에서 열릴 예정이다. 인판티노는 수요일 오전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세계 최대 스포츠 이벤트에 걸맞은 쇼가 경기의 전반 45분이 끝난 후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그는 영국의 팝 록 밴드 콜드플레이가 FIFA와 협력하여 하프타임 쇼에 출연할 아티스트를 선정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이 공연을 위해 하프타임이 연장될지는 확정되지 않았다. 인판티노는 달라스에서 열린 ‘FIFA 월드컵 FIFA 상업 및 미디어 파트너 컨벤션’에서 대회 관련 주요 계획을 발표했다.그는 “뉴욕·뉴저지에서 열리는 사상 첫 FIFA 월드컵 결승전 하프타임 쇼가 글로벌 시티즌(Global Citizen)과 함께 진행될 것이며, 이는 FIFA 월드컵 역사에 있어 기념비적인 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FIFA는 2026년 월드컵 3·4위전과 결승전이 열리는 주말 동안 뉴욕 타임스퀘어를 FIFA 월드컵 이벤트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인판티노는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펼치는 두 경기를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축하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 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는 글로벌 시티즌 CEO 휴 에반스(Hugh Evans)와 그의 팀에게 감사를 전하며, 이 멋진 이벤트를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콜드플레이의 크리스 마틴과 필 하비(Phil Harvey)에게도 감사드린다. 그들은 하프타임 쇼뿐만 아니라 타임스퀘어에서 진행될 공연의 아티스트 선정 작업을 함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5.03.12 -
African Union Summit: African Development Bank President Highlights a Decade of Economic Transformational Impact
(Source: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President Dr. Akinwumi A. Adesina, delivered a compelling farewell address to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at the 38th African Union Summit, highlighting a decade of remarkable achievements by the Bank in driving Africa’s economic transformation. Adesina’s participation at the august continental gathering in Addis Ababa ended on a high note as African leaders considered and endorsed four Bank-led initiatives including the drive to connect 300 million Africans to electricity by 2030, measuring Africa’s green wealth as part of its GDP, an innovative facility to provide Africa with a financial buffer and a roadmap for the continent to achieve inclusive growth and rapid sustainable development.Adesina, who is also the Chairman of the Group’s Boards of Directors, underscored the impact of the Bank’s High 5s Agenda—Light up and Power Africa, Feed Africa, Industrialize Africa, Integrate Africa,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of Africa—which has impacted more than half a billion lives across the continent.“It has been an unprecedented partnership to advance the goal of the African Union towards achieving Agenda 2063: the Africa we want,” said Adesina who in February 2022, became the first president of the Bank Group to address the AU Summit.During the final day of the assembly, several African governments and AU officials paid tribute to Dr. Adesina for his exceptional leadership of the Bank and strong global advocacy for Africa, He ends his tenure as the Bank Group’s president on 1st September 2025.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President Dr. Akinwumi Adesina, who is also the Chairman of the Group’s Boards of Directors, underscored the impact of the Bank’s operations, which have impacted more than half a billion lives over the past decade.Reflecting on his tenure at the helm of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Dr. Adesina said the Bank has transformed 515 million lives, including 231 million women, over the past decade:127 million people gained access to better services in terms of health.61 million people gained access to clean water.33 million people benefited from improved sanitation.46 million people gained access to ICT services, and25 million people gained access to electricity.With a strong focus on job creation, the Bank has trained 1.7 million youth in digital skills and is rolling out Youth Entrepreneurship Investment Banks to drive youth-led economic growth. “Our goal is simple: create youth-based wealth across Africa,” Adesina reiterated.Additionally, the Affirmative Finance Action for Women in Africa (AFAWA) initiative has provided $2.5 billion in financing to over 24,000 women-owned businesses, said Adesina.“The African Development Bank accelerated food production in Africa. Over 101 million people became food secure. We mobilized $72 billion to implement the food and agriculture delivery compacts across the continent,” said Dr. Adesina.Over the past decade,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has invested over $55 billion in infrastructure, making it the largest multilateral financier of African infrastructure.The Bank has also prioritized healthcare, committing $3 billion in quality healthcare infrastructure and another $3 billion for pharmaceutical development, including establishing the Africa Pharmaceutical Technology Foundation.Under Adesina’s presidency, the Bank achieved its largest-ever capital increase, growing from $93 billion in 2015 to $318 billion currently. The most recent replenishment of the African Development Fund, the Bank Group’s concessional window, raised a record $8.9 billion for Africa’s 37 low-income countries, setting the stage for a target of $25 billion for its upcoming 17th replenishment.The Africa Investment Forum, a joint effort with eight other partner institutions, has also mobilized over $200 billion in investment commitments, reinforcing Africa as a leading investment destination.The Africa Investment Forum, a joint effort with eight other partner institutions, has mobilized over $200 billion in infrastructure investment commitments. (Picture: Africa Investment Forum Founding Partners and other officials during the Opening Session of the Africa Investment Forum 2024 Market Days, Rabat, 4 December 2024.)As he bade farewell, the outgoing Bank chief expressed gratitude to the African Heads of State, the African Union Commission,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 and the people of Africa for their unwavering support.“As today will be my final attendance of the AU Summit as President of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I would like to use this opportunity to immensely thank your Excellencies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for your extraordinary support over the past ten years. I am very grateful for your always being there for the African Development Bank—your Bank. I am very grateful for your kindness, friendship, and partnership as we forged global alliances to advance the continent’s interest around the world,” he said.
2025.03.12 -
아프리카 연합 정상회담: 아프리카 개발 은행 총재, 10년간의 경제적 변혁적 영향 강조
(출처: African Development Bank Group)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 총재인 아킨우미 A. 아데시나 박사는 제38 회 아프리카 연합 정상회의 에서 국가 및 정부 수반들에게 설득력 있는 작별 연설을 하며, 은행이 아프리카의 경제적 변혁을 주도한 10년간의 놀라운 성과를 강조했습니다.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엄숙한 대륙 회의에 참석한 아데시나는 아프리카 지도자들이 2030년까지 3억 명의 아프리카인을 전기에 연결하고, GDP의 일부로 아프리카의 녹색 부를 측정하고, 아프리카에 재정적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혁신적인 시설과 대륙이 포괄적 성장과 빠른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포함한 은행 주도의 4가지 이니셔티브를 고려하고 지지하면서 좋은 분위기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아데시나 박사는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수장으로 재임한 기간을 회고하며 은행이 지난 10년 동안 2억 3,100만 명의 여성을 포함하여 5억 1,500만 명의 삶을 변화시켰다고 말했습니다.•1억 2,700만 명이 건강 측면에서 더 나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6,100만 명의 사람들이 깨끗한 물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3,300만 명이 위생 개선의 혜택을 입었습니다.•4600만 명이 IC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2,500만 명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데시나의 총재 임기 동안, 은행은 사상 최대 규모의 자본금 증가를 달성하여 2015년 930억 달러에서 현재 3,180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아프리카 개발 기금의 가장 최근 보충, 은행 그룹의 양보 창구는 아프리카의 37개 저소득 국가에 기록적인 89억 달러를 모금하여 다가올 17번째 보충을 위한 250억 달러의 목표를 설정했습니다.8개의 다른 파트너 기관과 공동으로 설립한 아프리카 투자 포럼은 2,000억 달러 이상의 투자 약정을 확보하여 아프리카를 주요 투자 목적지로 강화했습니다.작별 인사를 하면서, 퇴임하는 세계은행 총재는 아프리카 국가 원수들, 아프리카 연합 위원회, 지역 경제 공동체, 그리고 아프리카 국민들의 변함없는 지원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오늘은 아프리카 개발 은행 총재로서 AU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마지막 날이므로, 이 기회를 빌려 지난 10년 동안 각하와 정부 수반께서 보여주신 엄청난 지원에 대해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을 위해 항상 함께해 주셔서 매우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은행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대륙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해 글로벌 동맹을 맺는 동안 보여주신 친절, 우정, 파트너십에 매우 감사드립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2025.03.12 -
Kigali and Lagos, Are You Ready to Earn Tickets to Move Afrika?
(Source : Global Citizen)We’re excited to announce that EGOT-winning, critically acclaimed, multiplatinum artist and producer, John Legend will headline the 2025 edition of Move Afrika. “I’m honored and excited to perform in Kigali and Lagos as part of the Move Afrika tour — an initiative that not only brings unforgettable shows, but also creates entrepreneurship and job opportunities, empowering young people to engage with Africa’s growing music and creative industries,” said John Legend. “Africa has always been a global cultural powerhouse, and it’s an honor to be part of the future of live music on the continent.”.Yes, you read that right — John Legend is joining the Move Afrika tour, and we couldn’t be more thrilled! This year, Move Afrika is turning up the energy, expanding from East to West Africa with stops in Rwanda and Nigeria. The first stop? The iconic BK Arena in Kigali, Rwanda, on February 21, before heading to the vibrant city of Lagos, Nigeria at The Palms on February 25, 2025. Get ready for an unforgettable celebration of music, impact, and unity across the continent!“We’re thrilled to have John Legend, our longtime Global Citizen Ambassador and friend headline Move Afrika, as we expand the tour from Rwanda to Nigeria,” said Hugh Evans, Co-Founder & CEO of Global Citizen. “As Move Afrika grows year over year, our goal is to equip and inspire Africa’s dynamic, young population to participate in the live music and creative industries, while investing in its future with lasting infrastructure that will mean the continent no longer needs to be excluded from the international touring circuit.”We see you clicking your feet, ready to turn up. But before you lace up those kicks, here are some important things you need to know!What is Move Afrika?Move Afrika is Global Citizen’s initiative to create job and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and enhance health systems for the continent’s emerging generations through an annual series of live music events. This first-of-its-kind music touring circuit brings together the hottest African and international artists.You might be wondering why we’re doing this. These electrifying events are more than just shows — they’re a catalyst to drive transformative investments and change. By engaging local artists, vendors, agencies and crews, we’re driving investments into local communities and creating opportunities for on-the-job training and skill development. But here’s where you come in: together, we can inspire government leaders, businesses, philanthropists, artists, and citizens to take action. Whether it’s through posting, tweeting, messaging, voting or signing, every action counts in driving the change the world urgently needs.
2025.02.03 -
키갈리와 라고스, 아프리카로 향하는 티켓을 획득할 준비가 되셨나요?
(출처 : Global Citizen) EGOT 수상자이자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은 멀티플래티넘 아티스트 겸 프로듀서인 존 레전드가 2025년 Move Afrika의 헤드라이너가 된다는 소식을 전해드리게 되어 기쁩니다. 존 레전드는 \"Move Afrika 투어의 일환으로 키갈리와 라고스에서 공연하게 되어 영광이고 설렙니다. 이 이니셔티브는 잊을 수 없는 공연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기업가 정신과 일자리 기회를 창출하여 젊은이들이 아프리카의 성장하는 음악과 창의적 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아프리카는 항상 세계적인 문화 강국이었으며, 이 대륙의 라이브 음악의 미래에 참여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존 레전드가 Move Afrika 투어에 합류합니다. 정말 기쁩니다! 올해 Move Afrika는 르완다와 나이지리아를 거쳐 동아프리카에서 서아프리카로 확장하며 에너지를 북돋웁니다. 첫 번째 공연은? 2025년 2월 25일 나이지리아 라고스의 The Palms에서 열리는 활기찬 도시로 향하기 전에 2월 21일 르완다 키갈리의 상징적인 BK 아레나에서 열립니다. 대륙 전역에서 잊지 못할 음악, 임팩트, 통합을 기념할 준비를 하세요! Global Citizen의 공동 창립자 겸 CEO인 휴 에반스는 \"우리는 오랜 Global Citizen 홍보대사이자 친구인 존 레전드가 Move Afrika의 헤드라이너가 되어 매우 기쁩니다. 르완다에서 나이지리아까지 투어를 확장하면서요.\"라고 말했습니다. \"Move Afrika가 해마다 성장함에 따라, 우리의 목표는 아프리카의 역동적이고 젊은 인구가 라이브 음악과 창의적 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영감을 주는 것입니다. 또한, 이 대륙이 더 이상 국제 투어 회로에서 배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지속 가능한 인프라로 미래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발을 찰칵거리며 일어나려고 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하지만 킥을 신는 전에 알아야 할 중요한 사항이 몇 가지 있습니다! Move Afrika란 무엇인가요? Move Afrika는 Global Citizen 이 매년 라이브 음악 이벤트를 통해 아프리카의 신진 세대를 위한 일자리와 기업가 정신 기회를 창출하고 건강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이니셔티브입니다. 이 최초의 음악 투어 회로는 가장 인기 있는 아프리카와 국제 아티스트를 하나로 모읍니다. 왜 우리가 이런 일을 하는지 궁금할 겁니다. 이러한 전기적 이벤트는 단순한 쇼가 아니라 변혁적 투자와 변화를 추진하는 촉매입니다. 지역 아티스트, 벤더, 기관 및 승무원을 참여시킴으로써 우리는 지역 사회에 투자를 유도하고 직무 교육 및 기술 개발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분이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함께라면 정부 지도자, 기업, 자선가, 아티스트 및 시민이 행동하도록 영감을 줄 수 있습니다. 게시, 트윗, 메시지, 투표 또는 서명을 통해 모든 행동이 세계가 시급히 필요로 하는 변화를 추진하는 데 중요합니다. 첫 번째 Move Afrika 행사인 Move Afrika: Rwanda는 2023년 12월에 그래미상과 퓰리처상을 수상한 아티스트 Kendrick Lamar가 헤드라이너로 출연하여 그야말로 장관이었습니다. Zuchu, Bruce Melodie, DJ TOXXYK, Sherrie Silver, Ariel Wayz, Kivumbi King, Bruce The 1st와 같은 아티스트도 참여했습니다. 이 행사는 일자리 창출, 기술 교육, 청소년 기업가 정신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2025.02.03 -
AfDB President Adesina receives ‘African of the Decade Award’
(Source : The Independent)This prestigious award, presented by Rakesh Wahi, Chairman of the ABN Group, is given to individuals who have made a lasting impact on Africa’s socio-economic development. The citation, read by CNBC Africa’s Editor-in-Chief Godfrey Mutizwa, praised Dr. Adesina for his ethical leadership and innovative solutions to Africa’s pressing challenges, particularly through the AfDB’s High 5 strategic priorities. These priorities—lighting up and powering Africa, integrating the continent,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Africans—have defined his tenure.As Dr. Adesina approaches the end of his 10-year tenure as President of the AfDB in 2025, he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transforming Africa’s development landscape. Under his leadership, the AfDB has attracted global investments and improved the lives of millions. Notably, the bank’s projects have provided electricity to 18 million people, enhanced agricultural technology for 14 million farmers, and expanded access to finance, transportation, and sanitation for millions.His leadership in collaboration with the World Bank to provide electricity to 300 million Africans has further solidified his legacy. Additionally, as Nigeria’s Minister of Agriculture, Adesina played a crucial role in revolutionizing the country\'s agricultural sector by implementing an innovative electronic wallet system for farmers.During his presidency, the AfDB maintained its AAA rating for five consecutive years, committed $7.6 billion to support low-income countries, and launched a $3 billion COVID-19 social bond. These achievements underscore his dedication to Africa’s growth and resilience.Dr. Adesina expressed his gratitude and dedicated the award to the people of Africa, reaffirming his unwavering commitment to the continent. He stated, \"It was no mistake that God made me African, and I will do everything I can for Africa until my last breath.\"
2025.02.03 -
AfDB 총재 아데시나, '10년의 아프리카인상' 수상
(출처 : The Independent) ABN 그룹의 회장인 라케쉬 와히가 수여하는 이 권위 있는 상은 아프리카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개인에게 수여됩니다. CNBC Africa 편집장 Godfrey Mutizwa가 읽은 인용문은 Adesina 박사의 윤리적 리더십과 아프리카의 시급한 과제에 대한 혁신적인 솔루션, 특히 AfDB의 High5 전략적 우선순위를 통해 칭찬했습니다. 이러한 우선순위(아프리카에 불을 밝히고 힘을 실어주고, 대륙을 통합하고, 아프리카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것)가 그의 임기를 뒷받침했습니다. 2025년에 AfDB 총재로서 10년 임기를 마치게 될 아데시나 박사는 아프리카의 개발 환경을 변화시키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리더십 하에 AfDB는 글로벌 투자를 유치하고 수백만 명의 삶을 개선했습니다. 특히, 이 은행의 프로젝트는 1,800만 명에게 전기를 공급하고, 1,400만 명의 농업 기술을 개선했으며, 수백만 명에게 금융, 교통, 위생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했습니다. 세계은행과 협력하여 3억 명의 아프리카인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데 있어서의 그의 리더십은 그의 유산을 더욱 공고히 했습니다. 또한, 나이지리아 농업부 장관으로서 아데시나의 역할은 농부들을 위한 혁신적인 전자 지갑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특히 나이지리아의 농업 부문을 혁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대통령 임기 동안 AfDB는 5년 연속 AAA 등급을 유지했고, 저소득 국가를 지원하기 위해 76억 달러를 약속했으며, 30억 달러 규모의 COVID-19 사회적 채권을 출시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아프리카의 성장과 회복력에 대한 그의 헌신을 보여줍니다. 아데시나 박사는 감사의 마음을 표하며 이 상을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바치며 이 대륙에 대한 변함없는 헌신을 확인했습니다. 그는 \"신께서 저를 아프리카인으로 만드신 것은 실수가 아니었고, 저는 아프리카를 위해 마지막 숨을 거둘 때까지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할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2025.02.03 -
Former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becomes first Korean to receive Mongolia's highest medal, 'Genghis Khan'
DongA2024.11.04(Source : DongA)The Mongolian Presidential Office announced on the 2nd (local time) that it had awarded former Secretary-General Ban the Order of Chinggis Khan at the Mongolian Pride Day ceremony held at the government building in Ulaanbaatar. The day also marked the 862nd anniversary of the birth of Genghis Khan.The Order of Chinggis Khan is awarded to domestic and foreign politicians and social activists who have contributed to global prosperity and peace, the development of Mongolia’s foreign relations, and enhancing its international reputation. Ban is the first Korean to receive this award. He is the second foreigner to receive the award, following American Mongolian scholar Weatherford. The Mongolian Presidential Office explained the background of the award, saying, “Former Secretary-General Ban played a key role in promoting high-level ‘strategic partnership’ cooperation between Mongolia and Korea, and laid th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Mongolian President Khurelsukh said at the award ceremony, “It is very rare for a foreigner to receive our country’s highest national decoration,” adding, “Selecting Ban as the recipient of the Order of Genghis Khan is an expression of our high respect for his achievements in unit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e continued, “I express my deepest gratitude for his contributions to expanding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between Mongolia and the United Nations, and supporting Mongolia’s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In 2006, Ban accompanied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on his state visit to Mongolia as th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With Roh’s visit, the two countries upgraded their mutually complementary cooperative relationship established in 1999 to a good-neighborly, friendly, and cooperative partnership. Former Secretary-General Ban Ki-moon also visited Mongolia as UN Secretary-General in 2009. The Ban Ki-moon Foundation for a Better Future, which he founded, has supported the Trans-Altai Sustainability Dialogue in cooperation with Stanford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since 2022, and hosted the Mongolia Future Strategy Forum in Seoul and Mongolia last year and this year.
2025.01.21 -
전 유엔 사무총장, 몽골에서 최고 공로훈장 수여
동아일보11.04.2024(출처:동아일보) 몽골 대통령실은 2일(현지 시간) 울란바토르 정부 청사에서 열린 ‘몽골 자긍심의 날(Mongolian Pride Day)’ 기념식에서 반 전 총장에게 ‘칭기스 칸’ 훈장을 수여했다고 밝혔다. 이날은 칭기스칸 탄생 862주년 기념일이기도 했다. 칭기즈 칸 훈장은 전 세계의 번영·평화와 몽골의 대외 관계 발전, 국제적 명성 제고 등에 공헌한 국내외 정치인 및 사회 활동가에게 수여된다. 한국인이 이 훈장을 받는 것은 반 전 총장이 처음이다. 외국인으로서는 미국의 몽골학자인 웨더포드에 이어 두 번째다. 몽골 대통령실은 “반 전 총장은 몽골과 한국 간 고위급 ‘전략적 동반자’ 협력을 촉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고, 양국 관계 강화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수상 배경을 설명했다. 후렐수흐 몽골 대통령은 시상식에서 “외국인에게 우리나라의 최고 국가 훈장을 수여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며 “반 총장을 칭기즈 칸 훈장의 수상자로 선정한 것은 그가 국제 사회를 단결시키기 위한 그의 업적에 대한 높은 존경심의 표현”이라고 말했다. 이어 “몽골과 유엔의 협력 확대·강화, 몽골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지원한 공로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한다”고 전했다. 반 전 총장은 2006년 당시 외교통상부 장관으로서 노무현 전 대통령 몽골 국빈 방문을 수행했다. 노 전 대통령의 방문으로 양국은 1999년 구축된 상호보완적 협력관계를 선린우호 협력 동반자 관계로 격상했다. 반 전 총장은 2009년 UN사무총장으로서도 몽골을 방문했다. 그가 설립한 ‘보다 나은 미래를 위한 반기문 재단’은 2022년부터 미국 스탠퍼드대와 협력해 ‘범 알타이 지속가능성 대화(Trans-Altai Sustainability Dialogue)’를 지원했고, 지난해와 올해에는 서울과 몽골에서 ‘몽골 미래 전략 포럼’을 주최했다.
2025.01.21 -
Ban Ki-moon, Forum in Seoul sheds light on future global challenges
Nate2024.11.22(Source : Nate)SEOUL, November 22 (AJP) - The annual conference hosted by the Boao Forum for Asia (BFA) was held in central Seoul on Friday, bringing together political and business leaders from across Asia.Participants discussed diverse global challenges under the theme of \"Towards a Shared Future\" at the conference, chaired by former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Also on the agenda were artificial intelligenc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roles of women and youth in shaping the future.
2025.01.21 -
반기문, 서울 포럼, 미래의 글로벌 과제에 빛을 비춰
아주경제22.11.2024(출처:아주경제)보아오 아시아 포럼(BFA)이 주최하는 연례 컨퍼런스가 금요일에 서울 중심부에서 개최되어 아시아 전역의 정치 및 비즈니스 리더들이 모였습니다.참석자들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의장을 맡은 이 컨퍼런스에서 \"공유 미래를 향하여\"라는 주제로 다양한 글로벌 과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또한 의제에는 인공지능, 지속 가능한 개발, 미래를 형성하는 데 있어 여성과 청소년의 역할이 포함되었습니다.
2025.01.21 -
Speech Delivered by Dr. Akinwumi A. Adesina, President and Chairman, Boards of Directors, “Measuring the Green Wealth of Nations: Natural Capital and Economic Productivity in Africa”
Afdb13.11.2024(source : Afdb) Today, several African countries are giving away their vast amounts of land to carbon credits. While this may generate some short-term financing, it needs to be understood that Africa is a carbon price taker and therefore is short-changed. While the price of carbon in Europe is high and could be as high as $200 per ton because of the strict EU Emission Trading Standards, carbon price in Africa could be as low as $3 to $10 per ton.The proper valuation of Africa’s green wealth will increase access to financial flows, in part because credit ratings agencies will be able to incorporate the true value of overall asset class, which in turn could improve countries’ risk profile.Therefore, it is time for Africa’s green environmental assets to be properly priced to allow the continent to turn its massive green assets into wealth, through their inclusion in “green’ GDP for Africa. This will raise massive financial resources for the continent, spur greater green investments and provide better policies for the greening of African econom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ignificantly higher revenues that Africa will generate from the proper valuation of its carbon sinks and environmental services will also allow it to be able to service its debts, assuring debt sustainability.
2025.01.21 -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 이사회 의장 겸 총재인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의 연설 "국가의 녹색 부의 측정: 아프리카의 자연 자본과 경제 생산성"
Afdb13.11.2024(출처:Afdb)아프리카는 풍부한 자연 자원을 활용하여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한 세계 공공재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대한 자연 자원이 과소평가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국가들의 GDP를 평가할 때 이러한 방대한 자연 자원이 고려되지 않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18년 아프리카의 GDP는 약 2.5조 달러로 추정되었지만, 이는 생태계 서비스의 일부 가치를 포함하여 평가된 아프리카의 자연 자본 가치 6.2조 달러보다 2.5배 낮았습니다.이러한 상황은 아프리카를 \"녹색 자원이 풍부하지만 현금은 부족한(green endowed but cash poor)\" 대륙으로 만들고 있습니다.아프리카의 녹색 자산이 적절히 평가되면 금융 흐름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할 것입니다. 이는 신용평가 기관이 전체 자산군의 실제 가치를 반영할 수 있게 되어 각국의 위험 프로파일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이제 아프리카의 녹색 환경 자산을 적절히 가격화하여, 이를 \"녹색 GDP\"에 포함시킴으로써 대륙이 방대한 녹색 자산을 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때입니다. 이는 아프리카 대륙에 대규모 금융 자원을 확보하고, 녹색 투자 확대를 촉진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아프리카 경제의 녹색화를 위한 더 나은 정책을 제공할 것입니다. 또한, 탄소 흡수원과 환경 서비스의 적절한 평가를 통해 아프리카가 상당히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어, 부채를 상환하고 부채 지속 가능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아프리카 개발은행에서 발간한 보고서 \'국가의 녹색 부의 측정: 아프리카의 자연 자본과 경제 생산성\'에 대해 알려드리게 되어 기쁩니다. 해당 보고서는 테이블 위에 준비되어 있으며, 아프리카 GDP 측정에 자연 자본의 가치를 반영하고 통합하기 위한 주요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2025.01.21 -
Sarah Gilbert, UCL Prize Lecture: “It’s a very exciting time to be a vaccinologist”
UCL NEWS2024.11.14(Source:UCL NEWS)Leading UK scientist Professor Dame Sarah Gilbert, whose research team designed and developed one of the principal Covid-19 vaccines, helping save millions of lives, has delivered the 2024 UCL Prize Lecture in Life and Medical Sciences.It was launched in 1997 with previous recipients including Sir Demis Hassabis, founder of Google DeepMind and Nobel Prize winner in Chemistry 2024, Lord Patrick Vallance, former UK Chief Scientific Adviser, and Professor Jennifer Douda, pioneer of CRISPR gene editing, and Nobel Prize winner in Chemistry 2020.
2025.01.21 -
사라 길버트, UCL상 수상 강연: “백신학자로서 매우 흥미로운 시대입니다.”
UCL NEWS2024.11.14(출처:UCL NEWS) 영국의 저명한 과학자인 사라 길버트 (Sarah Gilbert) 교수는 2024년 UCL 생명 및 의학 과학 분야 상 수상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그녀의 연구팀은 수백만 명의 생명을 구한 주요 코로나19 백신 중 하나를 설계하고 개발한 공로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이 강연은 1997년에 시작되었으며, 이전 수상자로는 구글 딥마인드 (Google DeepMind) 의 창립자이자 2024년 화학 노벨상 수상자인 데미스 허사비스 (Sir Demis Hassabis), 전 영국 과학 고문 패트릭 J 발란스 (Lord Patrick Vallance), CRISPR 유전자 편집의 선구자이자 2020년 화학 노벨상 수상자인 제니퍼 다우드나 (Jennifer Doudna) 교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5.01.21 -
Maya Malarski Senior Manager of Policy, Gavi, the Vaccine Alliance
Time2024.12.11(Source:Time)It’s becoming abundantly evident that with rising global temperatures comes increased health risks, be they from increased populations of disease-carrying mosquitoes and ticks or greater incidence of waterborne diseases like cholera from flooding. Now, for the first time, this reality is helping inform the vaccine alliance known as Gavi’s five-year investment strategy—which plays an impactful role in global health decision-making, guiding vaccine deployment around the world. Responsible for this push is Maya Malarski, a senior manager on Gavi\'s policy team who led the climate criteria for Gavi’s Vaccine Investment Strategy released this summer. Not only will this guidance help countries in adapting their immunization programs to climate change, it will also support the decarbonization of immunization efforts and Gavi’s own carbon footprint.Climate change and health are intricately linked. Outbreaks are likely to become increasingly common due to deforestation and loss of natural habitats as animals are being forced into closer contact with humans, increasing the risk of spillover of new pathogens that humans don’t have immunity against. With our current trajectory it’s a question of when, not if, the next pandemic will occur. We need to learn the lessons from COVID-19 and it’s imperative that countries reach an agreement on the Pandemic Treaty so that we are better prepared ahead of the next one and move towards climate justice.
2025.01.21 -
Desert Flower activist and author Waris Dirie as guest in Donut City
Feb 21, 2023MeinBezirk.atWaris Dirie looks back on a moving life. It\'s a mature film, because her award-winning autobiography also became a success on the screen. Now Dirie\'s coming to the Donut town.WHEN/DONAUSTlTY. Desert flowers are characterized by their resilience. I think the Somali-Austrian author, Waris Dirie, has chosen this title for her most famous work. This autobiography is about Dirie\'s life. She grew up as a nomadic girl in the desert of Somalia.At the age of 13, she fled to Mogadishu in the face of forced marriage with a much older man. Afterwards, she led her way to London, where she was discovered in a shop by a photographer and became a successful model. Dirie used her success as an activist against female genital mutilation.On March 5th, Dirie will be a guestFrom 1997 to 2003, she was the UN Special Envoy against the circumcision of female genital mutilation. In 2002, she founded her own organization, the Desert Flower Foundation.Now, Waris Dirie\'s coming to visit Donut. Sunday, five. March, she\'s coming to the Cineplexx Danube Center, where the footage of her bestseller is shown. The event will be hosted by the EVP district party wife Gudrun Kugler and her deputy, Christian Klar. Let\'s start at 13.Registration is by mail to office@gudrunkugler.Maybe.
2023.03.09 -
Oxford’s Plan to Better Prepare for the Next Pandemic
July 8, 2022BloombergHi everyone, it’s James in London. This week I talked to Sarah Gilbert, who led the development of Oxford’s Covid vaccine. She’s now joining other scientists in a new initiative to try to prevent a repeat of all the death, misery and economic turmoil we’ve endured over the past two and a half years. But first...Filling the GapsCovid exposed the vulnerabilities of health systems all over the world, highlighting a need to expand disease surveillance, tackle misinformation and speed up work on vaccines and therapies to fight a slew of both known and unknown pathogens. And while the Oxford-AstraZeneca team, Pfizer and others delivered Covid shots in record time, less affluent regions struggled to gain access as wealthy nations put their own interests first. Production was concentrated in just a handful of countries.Sarah Gilbert is part of a team that’s seeking to fill those gaps and make sure countries are better prepared to deal with the next emergencies. Oxford’s recently minted Pandemic Sciences Institute joins groups such as the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s pandemic intelligence hub and the EU’s Health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Authority in a bid to stop outbreaks from exploding into global crises.The institute, which hoped to attract more than £500 million ($597 million) in investment when it was unveiled last year, has so far raised about £100 million. The university aims to build on its Covid vaccine with AstraZeneca, one of the first to cross the finish line, and the Recovery trial that helped identify Covid therapies.“Academic institutions such as Oxford have a lot to contribute in the event of a global public health crisis,” Gilbert tells me. The plan is to move “as fast as possible, but there’s still a way to go to complete our fund-raising,” she says.One priority, she says, is widening vaccine manufacturing capacity globally and establishing sites that are ready to ramp up swiftly if needed to respond to a new disease. That would minimize delays and help address inequity. But ensuring investments benefit the regions they’re located in and don’t lead to “white elephants” will be crucial, she says. HERA, the new EU organization, also plans to maintain a network of “ever-warm” manufacturing facilities.“During a pandemic, when vaccine production is located in some countries and not others and everyone wants a vaccine, that’s when we see the problems of nationalism,” Gilbert says. “So we have to prepare for that by making sure we have manufacturing on every continent and in every region.” Africa, she says, is especially important.Working with partners, Gilbert and her colleagues are analyzing the pipeline and aiming to spur development of vaccines and medicines in all the major groups of viruses that are known to infect humans. One target is Nipah virus, which has a fatality rate estimated at 40% to 75% and has sparked outbreaks almost annually in parts of Asia. There’s no vaccine currently available.“The nightmare scenario is a disease with the fatality rate of Nipah virus that is also very highly transmissible,” she says. “We need to stop these outbreaks before the virus gets a chance to evolve.” — James Paton
2022.07.13 -
[연합뉴스] '설립자 탄신 100주년 기념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개최
- 반기문(前 유엔 사무총장) 설립자 특별상 수상- 마키 살(現 세네갈 대통령), 무닙 A. 유난(現 평화를 위한 종교 국제 명예 회장) 제4회 선학평화상 공동 수상 * 2월 5일(수) 오전 10시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 100여 개국 전·현직 대통령 및 국내외 VIP 등 세계 각계각층 인사 5,000여 명 참석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는 공동 수상으로 마키 살(Macky Sall, 57세, 세네갈 대통령) 대통령과 무닙 A. 유난(Munib A. Younan, 69세, 평화를 위한 종교 국제 명예 회장) 루터교 주교가 선정됐다. 이번 시상은 특별히 설립자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설립자 특별상이 제정되었으며, 설립자 특별상은 반기문(Ban Ki-moon, 75세, 전 유엔 사무총장) 전 사무총장에게로 돌아갔다. 위원회는 2019년 10월 5일 일본 나고야에서 수상자 발표 기자회견을 갖고 전 세계에 공식 발표한 바 있다.마키 살 대통령은 장기독재와 빈곤이 만연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모범적으로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고, 투명한 정책으로 경제 부흥을 일궈내 주변 국가에 성숙한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는 공적이 크게 인정되었다. 무닙 A. 유난 주교는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으로, 1976년 루터교 성직자로 임명된 이래 40년 이상 중동지역에서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화합을 촉진해왔으며, 특히 이-팔 갈등의 평화로운 해결에 앞장서 온 공로가 높게 평가되었다. 한편, 설립자 특별상의 수상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재임 중 글로벌 경제 위기, 기후변화, 테러리즘, 난민 문제 등 유례없는 글로벌 도전과 위기에 직면하여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해 헌신적으로 유엔을 이끈 공적이 크게 평가되었다. 마키 살 대통령은 수상 소감을 통해 \"평화는 단지 전쟁의 부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빈곤과 불평등에 시달리지 않고 인간다운 생활을 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며, \"아프리카 대륙이 분쟁을 종식하고 경제 사회 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무닙 A. 유난 주교는 \"종교는 세상의 양심으로서 전 세계로 확장되는 증오와 억압의 물결에 맞서 대담하게 평화의 목소리를 내어야 한다\"며, \"인생의 마지막 숨결까지 정의에 토대한 평화를 만들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기문 전 사무총장은 \"아직도 주린 배를 안고 잠자리에 드는 사람이 7억 명이 넘는다\"며 \"선학평화상 수상을 계기로 평화와 번영과 인권 보호를 갈망하는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홍일식 위원장은 환영사에서 \"부모와 같은 마음으로 전 인류를 포용하고자 했던 설립자의 사랑의 리더십은 오늘날 공동의 이익보다는 국가 이기주의에 매몰된 전 세계 리더들에게 큰 교훈이 될 것\"이라며, \"세상은 갈수록 분절화 되고 있지만, 편협한 이익이 아닌 인류 전체의 운명을 걸고 새로운 협력 모델과 평화의 문화를 만들어나가자\"고 호소했다. 수상자에게는 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으며, 설립자인 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각각 메달과 상패를 수여했다. 시상식에는 해외 전·현직 대통령 및 총리, 아프리카 지도자와 기업가, 해외 전·현직 국회의장 및 국회의원 등 국제적인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으며, 정관계, 학계, 재계, 미디어 및 종교계를 대표하는 총 5,000명 이상이 참석했다. 선학평화상은 100만 달러(한화 11억원 상당)의 시상금과 함께 수여되며,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현격히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 시상된다.
2021.03.05 -
[세계일보] “민주주의 확산·종교간 화합에 큰 기여”
유난 前 의장·살 대통령 수상/ 문선명 총재 탄신 100주년 기념,‘설립자 특별상’ 반기문 前 총장/ 각각 50만달러 상금·메달·상패한학자 총재가 5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에게 설립자특별상을 수여하고 있다. 고양=하상윤 기자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공헌한 개인과 단체에 주는 선학평화상 제4회 수상자인 무닙 A 유난 전 루터교세계연맹 의장과 세네갈의 마키 살 대통령에 대한 시상식이 열렸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문선명 총재 탄신 100주년을 기념해 올해 처음 제정한 ‘설립자 특별상’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에게 돌아갔다.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는 설립자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한학자 총재와 홍 위원장을 비롯해 100여개국의 지도자 5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5일 경기 고양 일산 킨텍스에서 시상식을 열고 유난 전 의장과 살 대통령, 반 전 총장에게 각각 50만달러(약 5억9000만원)의 상금과 메달, 상패를 수여했다. 첫 특별상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한학자 총재(왼쪽)가 5일 경기 고양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에게 특별상을 시상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특별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문선명 총재의 탄신 100주년의 의미를 담아 이번에 처음으로 수여됐다. 고양=하상윤 기자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설립자 특별상 수상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수상연설을 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 위원회는 “살 대통령은 경제부흥을 일구면서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는 공적이 인정됐다”며 “유난 전 의장은 40년 이상 중동 지역에서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화합을 촉진해 왔고, 특히 이스라엘·팔레스타인의 갈등 해결에 앞장섰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홍 위원장은 반 전 총장에 대해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며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세계인에게 크게 부각시켰다”며 “‘2015 파리기후협정’을 이끌어내고 모든 국가가 공동으로 추진해 나갈 발전 목표를 채택해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수상자인 무닙 A. 유난 전 루터교 주교가 손을 흔들며 인사를 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5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무닙 A. 유난 전 루터세계연맹 의장이 수상소감을 밝히고 있다. 고양=하상윤 기자반 전 총장은 수상연설에서 “자국 우선주의가 확산되고 인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이런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확장된 파트너십뿐만 아니라 세계시민권을 고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향후 10년 동안 우리가 취하는 조치는 인류와 지구의 미래 생존에 매우 중요할 것”이라며 “우리는 진정한 평화를 빛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린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의 대리수상자인 아마두 바 세네갈 외무장관이 수상소감을 밝히고 있다. 고양=하상윤 기자 시상식에 아마두 바 외무장관을 대신 보낸 살 대통령은 영상 메시지를 통해 “전 세계를 비상사태로 만든 긴급 보건문제로 갑자기 서울 방문을 취소하게 됐다”고 양해를 구한 뒤 “이 상이 평화와 인류 간에 형제 문화를 만들라는 장려의 뜻으로 생각하고 싶다”고 밝혔다. 아마두 바 장관은 “세계평화를 위해 헌신하는 한 총재의 노고에 큰 감사를 표시하고자 대통령 지시에 따라 (세네갈 최고 영예인) 대훈장을 준비해 왔다”며 대훈장과 함께 한 총재를 형상화한 ‘평화의 어머니’라는 인물화를 전달했다.유난 전 의장은 “평화는 성별, 인종, 종교와 상관없이 상대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데 달려 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님의 자녀이고 가족”이라고 강조했다. 5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설립자 특별상 수상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수상연설을 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한 총재는 이어 진행된 세계평화청년학생연합(IAYSP) 총회에 참석해 “여러분은 미래를 이끌 지도자들이다. 모든 면에서 최고가 되길 바란다”며 5000여명의 참석자들을 격려했다. 이 자리에서 100억원 규모의 장학교육사업을 진행 중인 효정세계평화재단은 8회 선학장학증서수여식을 열었다. 고양=강구열·남혜정·안병수·이종민 기자river910@segye.com[ⓒ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03.05 -
[MBC] 제4회 선학평화상에 마키 살·무닙 유난 공동 수상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공헌한 개인에게 수여하는 \'제 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에,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무닙 유난 루터교 주교가 공동 선정됐습니다.마키 살 대통령은 독재와 빈곤이 만연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투명한 정책으로 경제 부흥을 일궈내 성숙한 민주주의를 확산시켰다는 공적이 인정됐습니다.팔레스타인 난민 출신인 무닙 유난 주교는 1976년 류터교 성직자로 임명된 이래 40년 이상 중동지역에서 활동하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갈등 해결에 앞장선 공로가 높게 평가됐습니다.반기문 전 UN 사무총장도 유엔을 이끈 공로로 특별상을 받았습니다.
2021.03.05 -
[티비조선] 반기문 전 총장 특별상 등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열려
(영상 : 상단링크참조)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제 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설립자 특별상을 수상했습니다.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어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헌신적으로 유엔을 이끈 공적을 높게 평가해 반 전 총장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제4회 선학평화상은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무닙 유난 루터교 주교가 공동 수상했습니다.
2021.03.05 -
[뉴데일리]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유난 루터교 주교… 제4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
▲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 기념촬영하는 한학자 가정연합 총재(왼쪽)와 무닙 유난 루터교 주교(중간),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장(오른쪽). ⓒ선학평화상재단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무닙 A 유난 루터교 주교가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평화와 복지에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주는 상이다.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하 가정연합)은 5일 오전 일산 킨텍스에서 가정연합 산하기구인 선학평화상재단 주최로 \'제4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시상식은 가정연합의 설립자 문선명 총재의 탄신 10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로 마련됐다. 한학자 가정연합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장을 비롯해 세계 100여 개국 전·현직 대통령 및 국내외 인사 5000여명이 참석했다.마키 살 \"아프리카 분쟁 종결…사회 발전에 앞장서겠다\"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는 공동 수상으로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무닙 A 유난 루터교 주교가 선정됐다. 마키 살 대통령은 장기독재와 빈곤이 만연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는 모범적인 모습을 보인 점과 주변 국가에 성숙한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는 점이 크게 인정됐다.무닙 A 유난 주교는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으로 1976년 루터교 성직자로 임명된 이래 40년 이상 중동지역에서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화합을 촉진해왔다. 특히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의 평화로운 해결에 앞장서 온 공로가 높게 평가됐다. 마키 살 대통령은 \"평화는 단지 전쟁의 부재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빈곤과 불평등에 시달리지 않고 인간다운 생활을 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며 \"아프리카 대륙이 분쟁을 종식하고 경제 사회 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무닙 A. 유난 주교는 \"종교는 세상의 양심으로서 전 세계로 확장되는 증오와 억압의 물결에 맞서 대담하게 평화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인생의 마지막 숨결까지 정의에 토대한 평화를 만들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시상은 특별히 설립자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설립자 특별상이 제정되기도 했다. 설립자 특별상은 반기문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에게 돌아갔다. 반기문 위원장은 재임 중 글로벌 경제위기·기후변화·테러리즘·난민 문제 등 유례없는 글로벌 도전과 위기 속에서 세계를 위해 헌신적으로 유엔을 이끈 공적이 크게 평가됐다.반기문, 문선명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상 수상반기문 위원장은 \"아직도 주린 배를 안고 잠자리에 드는 사람이 7억명이 넘는다\"며 \"선학평화상 수상을 계기로 평화와 번영과 인권 보호를 갈망하는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수상자에게는 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다. 설립자인 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각각 메달과 상패를 수여했다.한편 이날 오후에는 한학자 가정연합 총재가 설립한 효정세계평화재단이 제8회 선학장학증서 수여식을 진행했다. 효정세계평화재단은 수여식을 통해 세계 78개국 3000명 학생을 대상으로 100억원의 장학금을 전달했다.prevnext
2021.03.05 -
[MBN] 제4회 선학평화상에 마키 살 대통령·무닙 유난 주교 공동 선정
제4회 선학평화상에 마키 살 대통령·무닙 유난 주교 공동 선정【 앵커멘트 】미래 세대를 위해 전 세계의 평화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를 축하하는 선학평화상 시상식이 열렸는데요.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무닙 유난 루터교 주교가 이름을 올렸습니다.이동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해로 4회를 맞은 선학평화상 시상식이 어제(5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됐습니다.선학평화상 수상자로는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무닙 유난 루터교 주교가 공동으로 선정됐습니다.마키 살 대통령은 장기독재와 빈곤이 만연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모범적으로 경제 부흥을 이끌어냈습니다.루터교세계연맹 의장을 지냈던 무닙 유난 주교는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으로 중동 지역에서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의 화합을 촉진했습니다.▶ 인터뷰 : 무닙 유난 / 루터교 주교- \"우리 모두의 공통된 요청은 사랑을 가르치고 절대로 분열이나 증오를 가르치지 않는 것입니다.\"이번 시상에서는 특별히 설립자 100주년을 기념해 설립자 특별상이 제정됐습니다.세계 경제위기, 기후 변화 등의 문제 해결에 기여한 공로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특별상을 받았습니다.▶ 인터뷰 : 반기문 / 전 유엔 사무총장-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2년 전 오스트리아 빈에 본부를 둔 \'반기문 세계시민센터\'를 발족했고 서울에는 \'반기문재단\'을 세웠습니다.\"수상자에게는 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습니다.시상식에는 한학자 총재를 비롯해 전 세계 지도자 등 5000명 이상이 참석해 축하의 박수를 보냈습니다.MBN뉴스 이동훈입니다. [no1medic@mbn.co.kr]영상취재 : 김현석 기자영상편집 : 김경준
2021.03.05 -
[뉴시스] '제4회 선학평화상', 무닙 유난 주교·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설립자 특별상, 반기문 전 UN사무총장무닙 유난 주교【서울=뉴시스】이재훈 기자 =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무닙 유난 주교(70·전 루터교세계연맹 의장)와 마키 살(59) 세네갈 대통령이 공동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5일 일본 나고야 나고야 캐슬에서 이 같은 내용으로 수상자를 발표했다. 문선명 전 총재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설립자 특별상\'에는 반기문(75) 전 UN사무총장이 선정됐다.무닙 유난 주교는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이다. 1976년 루터교 성직자로 임명됐다. 40년 이상 중동지역에서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화합을 촉진해왔다. 특히 이-팔 갈등의 평화로운 해결에 앞장서 온 공로가 높게 평가됐다.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마키 살 대통령은 장기독재와 빈곤이 만연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모범적으로 대통령 임기를 단축했다. 투명한 정책으로 경제 부흥을 일궈내 주변 국가에 성숙한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는 공적을 인정 받았다. 반 전 UN 사무총장은 재임 중 글로벌 경제위기, 기후변화, 테러리즘, 난민 문제 등 글로벌 도전과 위기에 직면해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해 헌신적으로 UN을 이끈 공적이 평가됐다.반기문 전 UN사무총장홍일식 위원장은 \"현재 세계 곳곳에서 자국 이기주의가 확대되는 가운데 전후 세계 질서의 근간이 됐던 협력적 국제주의가 현저히 약화되고 있다\"며 \"이번 수상자들은 너와 나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를 협력과 상생의 대상으로 바라보며 더불어 잘 사는 세계평화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헌신한 위인들\"이라고 밝혔다.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단체를 발굴해 격년마다 시상하고 있다. 단일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달러(11억원 상당)의 상금을 수상자에게 수여한다. \'설립자 특별상\'의 수상자는 50만 달러의 상금을 받는다. 시상식은 2020년 2월5일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다.realpaper7@newsis.com[원문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1006_0000790407&cID=10701&pID=10700]
2021.03.05 -
[YTN] 제4회 선학평화상에 세네갈 대통령 등...특별상에 반기문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무닙 유난 전 루터교 세계연맹 의장이 공동 선정됐습니다. 마키 대통령은 아프리카에서 모범적으로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고, 경제 부흥과 민주주의를 확산한 공적이, 무닙 주교는 40여 년간 중동에서 종교 간 화합을 촉진하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갈등 해결에 앞장서온 공로가 인정됐습니다.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기후변화와 테러리즘 등에 대응해 유엔을 헌신적으로 이끈 점을 평가받아 \'설립자 특별상\' 수상자에 올랐습니다.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일본 나고야에서 4회 수상자를 발표했고, 시상식은 내년 2월 서울에서 열립니다.
2021.03.05 -
[SBS]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발표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일본 나고야 \'나고야 캐슬\'에서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전 루터교세계연맹 의장 무닙 유난 주교와 세네갈의 마키 살 대통령을 공동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마키 살 대통령은 장기독재와 빈곤이 만연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모범적으로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고, 투명한 정책으로 경제 부흥을 일궈내 주변 국가에 성숙한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는 공적이 크게 인정됐습니다. 무닙 유난 주교는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으로, 40년 이상 중동지역에서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화합을 촉진해왔고 이-팔 갈등의 평화로운 해결에 앞장서 온 공로가 높게 평가됐습니다.
2021.03.05 -
[동아일보] 선학평화상에 유난 주교 등 선정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는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무닙 유난 루터교 주교(70)와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59)을 공동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설립자 특별상’에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76)이 선정됐다. 선학평화상 수상자에게는 100만 달러(약 12억 원)가, 특별상 수상자에겐 50만 달러가 주어지며 시상식은 내년 2월 5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다.
2021.03.05 -
[매일경제] 반기문 前 유엔 사무총장, 선학평화상 특별상 수상
선학평화상위원회가 올해 제4회 선학평화상 설립자 특별상 수상자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사진)이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위원회는 반 전 총장이 유엔 사무총장 임기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인류 평화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본상 수상자로는 루터교세계연맹 전 의장인 무닙 유난 주교와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이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옛 통일교)이 2015년 만들었다. [원문 :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10/802219/]
2021.03.05 -
[중앙일보] 선학평화상 수상자 무닙 유난·마키 살
선학평화상위원회는 5일 일본 ‘나고야 캐슬’에서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전 루터교세계연맹 의장 무닙 유난 주교와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을 공동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상은 특별히 설립자인 문선명 총재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2020년에 시상하며, ‘설립자 특별상’이 추가되어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선정되었다.]
2021.03.05 -
[티비조선] 제4회 선학평화상,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등 선정
[영상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nY7ig818e-E]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무닙 유난 루터교 세계연맹 의장과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을 공동 선정했습니다.마키 살 대통령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경제 부흥과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는 공적이, 무닙 유난 주교는 종교 갈등 해결에 앞장서온 공로가 높게 평가됐습니다.위원회는 \'설립자 특별상\'에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선정하고, 내년 2월 시상식을 진행합니다.
2021.03.05 -
[연합뉴스] 선학평화상에 무닙 유난 주교·마키 살 대통령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루터교세계연맹 전 의장 무닙 유난(Munib A. Younan) 주교(왼쪽)와 마키 살(Macky Sall) 세네갈 대통령을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2019.10.6 [선학평화상위원회 제공](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올해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루터교세계연맹 전 의장 무닙 유난(Munib A. Younan) 주교와 마키 살(Macky Sall) 세네갈 대통령을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설립자 특별상에는 반기문 전 유엔(UN) 사무총장이 선정됐다.무닙 유난 주교는 1976년 루터교 성직자로 임명된 이래 40년 이상 중동지역에서 종교 간 화합을 촉진하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갈등 해결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았다.선학평화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2015년 만들었다. 격년으로 미래세대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에 수여한다. 수상자에는 100만 달러(한화 11억원 상당), 설립자 특별상 수상자에는 50만 달러 상금을 각각 준다.이번 시상식은 문선명 총재 탄생 100주년인 2020년 열린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선학평화상위원회 제공][원문 : https://www.yna.co.kr/view/AKR20191006014700005?input=1195m]
2021.03.05 -
[세계일보] 너와 나 경계 허물고… 더불어 잘 사는 공동체 만들기 헌신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발표]
수상자 선정 의미·배경 / ‘종교 화합’ 앞장 유난 주교 /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 기독교 성직자 / 이·팔 갈등 완화 ‘예루살렘 선언’ 주도 / ‘민주주의 확산’ 살 대통령 / 세네갈 인프라 개선 등 경제 부흥 주력 / 아프리카서 ‘굿거버넌스’ 전형 보여줘제4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자인 무닙 유난 주교(전 루터교세계연맹 의장)와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설립자 특별상 수상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중동과 아프리카, 한국이라는 각기 다른 지역에서 나고 자랐지만, 공동체를 위해 헌신해온 인물이라는 공통된 평가를 받는다. 유난 주교는 종교 화합에, 살 대통령은 민주주의 확산에 공헌했다. 반 전 총장은 인류평화에 크게 기여했다.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장은 수상자 선정 배경에 대해 “현재 세계 곳곳에서 자국 이기주의가 확대되는 가운데 전후 세계 질서의 근간이 되었던 협력적 국제주의가 현저히 약화하고 있다”며 “이번 수상자들은 너와 나의 경계를 허물고 서로 협력과 상생의 대상으로 바라보며 더불어 잘 사는 세계평화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헌신한 위인들”이라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난민서 이·팔 갈등 완화의 주역된 유난 주교 유난 주교는 1950년 예루살렘에서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 부모 밑에서 태어났으며, 자신 역시 여전히 팔레스타인 난민 신분을 유지하고 있다. 예루살렘의 동방정교회 수도원으로 피난한 아버지 덕분에 난민 캠프가 아닌 동방정교회 수도원에서 살게 된 그는 집(수도원)에서 가까운 곳에 있던 루터교 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루터교회에 다녔다. 그는 ‘평화의 도시’라는 본래의 뜻과 달리 증오와 갈등으로 위험한 화약고가 된 예루살렘에서 성장하며 종교 간의 대화와 화해가 인류평화를 위한 근간이라는 신념을 갖게 됐다. 이후 일생 동안 유대인·기독교인·이슬람교도들 사이의 화해를 끈질기게 촉진해왔다. 1976년 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1985년 이래 중동지역 교회협의회 회장으로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평화를 위한 기구 창설에도 참여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2006년에는 이·팔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기독교 시오니즘에 대한 예루살렘 선언’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냈다. 그는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 기독교인으로서 난민 구호활동에도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는 “사랑과 교육으로 난민을 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난민들도 민주적 시스템 안에서 그들만의 국가를 설립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유난 주교는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루터교세계연맹 의장으로 있으면서 서로 다른 신앙을 가진 종교지도자들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세계적 차원에서 종교 화합을 선도했다. 그는 뿌리 깊은 구교와 신교의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가톨릭과 대화했으며, 그 결실로 2013년 루터교세계연맹과 로마 교황청은 ‘갈등에서 사귐으로’라는 문서를 공동 채택해 500년간 지속된 갈등의 실마리를 풀었다. 그는 2015년 10월 기독교한국루터회 초청 방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에 전하고 싶은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평화와 통일”이라며 “팔레스타인 난민인 저의 경험에 따르면 전쟁은 평화를 가져오지 않는다”고 밝히기도 했다. ◆세네갈 내 민주주의 확산과 경제 부흥 가져온 살 대통령 살 대통령은 아프리카에서 굿거버넌스(Good Governance)의 전형을 보여주며 성숙한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는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 대통령들이 장기집권에 집착하며 민주주의의 가치를 훼손하고 있는 것과 달리, 그는 대통령 임기를 7년에서 5년으로 단축하는 등 세네갈을 아프리카의 모범적 민주국가로 이끌고 있다. 대학에서 지질학을 전공한 살 대통령은 2004∼2007년 총리를 맡았고 이후 1년 5개월간 국회의장을 지냈다. 그는 2012년 3월 대선 결선에서 65.8%를 득표해 당시 압둘라예 와데 대통령을 꺾고 세네갈 제4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후 강력한 구조 개혁과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를 추진해 어업 중심인 세네갈의 경제 부흥을 주도했다. 특히 살 대통령이 열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세네갈 부상 계획’(Plan Senegal Emergent, 1기: 2014∼2018년, 2기: 2019∼2023년)은 세네갈의 경제성장률을 6%대에 안착시켰다. 살 대통령은 재임 기간 경제 호황 등에 힘입어 지난 2월 실시된 대선 1차 투표에서 과반을 득표해 연임에 성공했다. 그의 굿거버넌스는 법치주의와 인권 보장, 빈곤 퇴치와 경제 발전을 이룩해 세네갈을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안정적인 국가로 성장시키고 있으며, 성숙한 민주주의로의 전환과정에 있는 아프리카의 주변국들에 좋은 롤 모델이 되고 있다. 살 대통령은 2017년 9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만나 한국과의 인연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세네갈이 첫 메달로 은메달을 땄고, 2002년 서울월드컵 때는 개막전에서 프랑스를 꺾는 등 서울에서 개최한 스포츠 행사들이 세네갈에 큰 행운을 가져다줬다”고 말했다. [원문 : http://www.segye.com/newsView/20191006508312?OutUrl=daum]
2021.03.05 -
[세계일보] 기후변화 관심 촉구… 국제 갈등 중재로 인류평화 기여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발표]
특별상 반기문 前 유엔 사무총장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2006년 한국인 처음으로 ‘세계 대통령’인 유엔 사무총장에 선출됐다. 반 전 총장은 연임에 성공해 10년간 국제적 갈등을 중재하며 인류평화에 크게 기여했다. 반 전 총장의 최대 업적은 기후변화 대응이 꼽힌다. 그는 임기 내내 각국 정상을 만나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특히 북극 등 온난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을 수차례 방문하는 등 기후 문제의 위험을 알리고 대응책을 모색하는 데 주력했다. 기후 온난화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관심과 세계 지도자를 상대로 한 끈질긴 설득은 2015년 12월 파리기후변화협약 체결이란 결실을 맺었다. 무려 195개국이나 협약에 동참했다. 반 전 총장은 지난 3월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직을 수락하면서 “돌이켜 보면 유엔 사무총장 재임 10년은 지속가능한 목표, 파리기후변화협약 체결에 헌신한 기간이었다”고 회고했다.지속가능개발목표(SDGs)도 그의 대표 업적으로 꼽힌다. SDGs는 2015년 유엔이 국제사회의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한 개념이다. 193개 나라가 SDGs에 합의했다. SDGs는 기후변화 대응, 불평등 감소 등 17개 목표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함께 달성해 나가면서 경제·사회·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높이자는 것이다. 기후변화에 대한 그의 관심은 퇴임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3월 한국에 본부를 둔 국제기구인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의장에 선출됐고, 같은 해 10월에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등과 뜻을 모아 기후변화글로벌위원회(GGA)를 출범시켰다. 미세먼지가 시급한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그는 국가기후환경회의 위원장을 맡았다. ‘미세먼지 해결사’로 돌아온 그는 지난 9월 제1차 국민정책제안을 내놓으며 “사회적 재난으로까지 심각해진 미세먼지를 줄이려면 체질을 바꾸는 보약·운동이 아닌 약물과 긴급수술이 당장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위원회 활동과 관련해 “미세먼지는 국민 보건에 관한 문제인 만큼 이를 개선시키는 것이 저의 마지막 국가에 대한 봉사이자 소명”이라고 말했다. [원문 : http://www.segye.com/newsView/20191006508313?OutUrl=naver]
2021.03.05 -
[세계일보] 한학자 총재 “아시아가 하나로… 亞太 유니언 제안”
제4회 선학평화상 유난 주교·살 세네갈 대통령, 특별상 반기문 前 총장 가정연합, 나고야 ‘효정문화축복페스티벌’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가 6일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아이치스카이엑스포에서 열린 효정문화축복페스티벌 나고야 4만명 대회에서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한 총재는 이날 아시아태평양 유니언을 제안했다.나고야=이제원 기자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FFWPU) 총재는 6일 일본에서 아시아태평양 유니언을 제안했다. 한 총재는 이날 나고야시 아이치스카이엑스포(아이치국제회의전시장)에서 열린 효정문화축복페스티벌 나고야 4만명 대회 주빈 메시지(기조연설)를 통해 “나는 아시아태평양 유니언을 제안한다”며 “아시아 모든 나라와 아프리카 대륙의 나라는 물론 오늘 우리가 하나가 되는 자리”라고 밝혔다. 이어 “100년 전 인도의 시성 타고르가 한국을 향해 ‘코리아, 그 등불 켜지는 날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고 했다”며 “그 등불은 진리의 말씀이다. 하늘부모님의 말씀, 참부모님 말씀이다. 이 말씀을 가지고 아시아 대륙이 나와 하나 되고 세계를 밝히는 등불의 사명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무닙 유난, 마키 살, 반기문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앞서 전날 나고야시 나고야캐슬 호텔에서 열린 수상자 발표식에서 무닙 유난(69· 전 루터교세계연맹 의장) 주교와 마키 살(58) 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을 제4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또 설립자 특별상 수상자로는 반기문(75) 전 유엔 사무총장을 선정했다. 이번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은 설립자 문선명 총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내년 2월5일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킨텍스에서 거행된다. 선학평화상위원회 홍일식 위원장이 5일 오후 일본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시 호텔나고야캐슬에서 열린 수상자 발표식에서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수상자로는 무닙 유난 주교와 마키 살 대통령을 공동수상자로 선정했고 설립자 특별상에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을 선정했다. 나고야=이제원 기자 무닙 유난 전 루터교세계연맹 의장 위원회에 따르면 팔레스타인 난민 출신인 무닙 유난 주교는 1976년 루터교 성직자로 임명된 이래 40년 이상 중동지역에서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화합을 촉진해왔다. 특히 이·팔 갈등의 평화로운 해결에 앞장서 온 공로가 높게 평가됐다. 마키 살 아프리카 세네갈 대통령 마키 살 대통령은 장기독재와 빈곤이 만연한 아프리카 대륙에서 모범적으로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고 투명한 정책으로 경제 부흥을 일궈내 주변 국가에 성숙한 민주주의를 확산시키고 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반 전 총장은 한국인 최초로 유엔 사무총장을 맡아 글로벌 경제위기, 기후변화, 테러리즘, 난민 문제 등 유례없는 글로벌 도전과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도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해 헌신적으로 유엔을 이끌었다.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 위원장 등이 5일 오후 일본 아이치현 나고야시 호텔 나고야캐슬에서 제4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한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정원주 총재비서실장, 문선진 세계평화여성연합 수석부회장 부부, 한학자 총재, 홍일식 위원장, 정태익 한국외교협회 명예회장, 문연아 천주평화연합 한국의장, 윤영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세계본부 사무총장. 나고야=이제원 기자 선학평화상은 2015년 제1회 시상식 이래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해 격년마다 시상하고 있는데 제4회 시상식은 문 총재 탄생 100주년을 맞아 1년 앞당겨 거행된다. 선학평화상 수상자에게는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달러(약 12억원·제4회 공동수상자 2인에게 각 50만달러)를, 설립자 특별상 수상자에게는 50만달러를 상금으로 수여한다. [원문 : http://www.segye.com/newsView/20191006508439?OutUrl=naver]
2021.03.05 -
[MBN 뉴스] '제3회 선학평화상' 아킨우미 아데시나, 와리스 디리 공동 수상
선학평화상위원회가 지난 9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2019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습니다.이번 선학평화상은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와 와리스 디리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가 공동으로 받았습니다. 수상자에게는 총 10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습니다.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경제학자로서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했고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발전에 이바지했습니다.와리스 디리 여사는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전 세계에 알려 할례 위기에 처한 수억 명의 어린 소녀들을 구했습니다.이번 시상식에는 100여 개국 전·현직 정상을 비롯해 천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사링크: http://www.mbn.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204737]
2021.03.05 -
[동아일보]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개최…아킨우미 아데시나-와리스 디리 공동 수상
▲ 왼쪽부터 선학평화상 설립자 한학자 총재, 수상자인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와 와리스 디리 여사 그리고 선학평화상 홍일식 위원장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 총장)는 9일 오전 10시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호텔월드 크리스탈 볼룸에서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 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 문선명·한학자 총재의 평화비전을 토대로 인류의 평화로운 미래를 준비하자는 취지로 제정됐다. 수상 상금은 100만 달러(한화 약 11억원). 제3회 선학평화상은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와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인 와리스 디리 씨가 공동 수상했다.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경제학자로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해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적이 인정됐다. 와리스 디리 씨는 수천 년간 지속된 여성 할례(FGM·Female Genital Mutilation) 폭력성을 세계에 알리고, 이 악습을 근절하기 위한 국제법 제정에 앞장서 왔다. 이날 시상식에는 해외 전, 현직 대통령 및 총리 10여 명을 비롯해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수상 연설을 통해 “배고픈 곳에는 평화가 있을 수 없다”며 “특히 아프리카에서 가장 혜택 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것을 해야하며, 기아와 영양실조를 근절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라고 밝혔다. 와리스 디리 씨는 “우리 세대에서 할례는 철폐되어야 한다”며 “여성의 권리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링크: http://news.donga.com/3/all/20190210/94042524/1]
2021.03.05 -
[연합뉴스] 아프리카개발은행총재 "배고픈 곳에 평화 없다"
아킨우미 아데시나·와리스 디리,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 ▲ 제3회 선학평화상을 받은 아킨우미 아데시나(왼쪽에서 두번째)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와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왼쪽에서 세번째). [선학평화상재단 제공]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는 9일 \"배고픈 곳에는 평화가 있을 수 없다\"며 기아 퇴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데시나 총재는 이날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아프리카에서 가장 혜택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것을 해야 하며, 기아와 영양실조를 근절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데시나 총재는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하고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로로 이 상을 받았다.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알려온 슈퍼모델 출신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가 공동 수상했다. 와리스 디리는 수상 연설에서 \"우리 세대에서 할례는 철폐돼야 한다\"며 \"여성의 권리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싸우겠다\"고 밝혔다. 2015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만든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해 격년으로 시상한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만 달러가 수여된다. [기사링크: https://www.yna.co.kr/view/AKR20190209035700005?input=1195m]
2021.03.05 -
[문화일보] 아킨우미 아데시나 · 와리스 디리 ‘선학평화상’
▲ 왼쪽부터 선학평화상 설립자 한학자 총재, 수상자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와 와리스 디리 그리고 선학평화상 홍일식 위원장 선학평화상위원회는 9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선학평화상은 아킨우미 아데시나(59·사진 왼쪽 두 번째)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와 와리스 디리(54·〃 세 번째)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가 공동 수상했다.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한 공로로 수상한 아데시나 총재는 이날 수상 연설에서 “배고픈 곳에는 평화가 있을 수 없다”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혜택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것을 해야 하며, 기아와 영양실조를 근절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알려온 공로로 수상한 슈퍼모델 출신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는 수상 연설에서 “우리 세대에서 할례는 철폐돼야 한다”며 “여성의 권리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싸우겠다”고 밝혔다. 수상자에게는 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다. [기사링크: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21101032939173001]
2021.03.05 -
[YTN Radio] Metropolitan Dating with the Sunhak Peace Prize Committee chairman Il-Sik Hong
The Sunhak Peace Prize, the Korean Nobel Prize, will spread its vision of peace.The chairman of the Sunhak Peace Prize Committee is Il-Sik HongMC:The awards ceremony for the Sunhak Peace Prize will be held on August 28. We invited the chairman of the Sunhak Peace Prize Committee, Il-Sik Hong, to further explain what the Sunhak Peace Prize is and its meaning.Chairman Hong, could you please explain what this prize is? Chairman:Yes, it is an international peace prize which will be awarded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It honors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at have made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peace. Particularly, the Sunhak Peace Prize has a concept of peace for future generations and we are focusing on people who make efforts to bring peace to the world. This year’s theme is ocean. We announced our inaugural laureates on June 9 at the National Press Club in Washington D.C., U.S. The awards ceremony will be held this coming August 28 in Seoul. MC:What does “Sunhak” stand for? Chairman:Similar to the Nobel Peace Prize, it is after the founder’s name. ‘Sunhak’ is composed of the first names of the late Rev. Sun Myung Moon and his wife Dr. Hak Ja Han Moon, who have devoted their lives for the peaceful vision of one family under God. MC:If the Sunhak Peace Prize starts this year, then will it be awarded annually? Chairman:Yes, each year we will focus on a particular peace theme. MC:Since this is the first awards ceremony to be held, as the chairman you must feel a heavy responsibility.. Chairman:Yes, I feel a very heavy responsibility as the first chairman of the committee. Especially, in Korea, there are many people who do not know much about the Sunhak Peace Prize yet, so I have the responsibility to publicize it and make it well known. I’m very dedicated to this task. MC:Who else is involved in the Sunhak Peace Prize Committee.? Chairman:Various kinds of people in the world are involved in our committee. Including the former Secretary General of the United Nations Boutros Boutros-Ghali, the former Japanese Defense Minister Ohno Yoshinori, and the Big Chief monk of Bulguksa Temple, Jogye Order Venerable Seong-Ta, there are 15 committee members who are representatives of politics, media, education and religion. MC:You mentioned the theme of this year is the ocean. Is there any reason for this? Chairman:Yes, so far we have a stereotyped thinking that peace is the opposite meaning of wars. But in fact, there are a plethora of catastrophes which bring more serious worries and misfortunes to human societies and we thought we have to change our perception of peace. In the 21th century, not a war but climate change like the tsunami phenomenon happened in 2009 is more severe threat to future peace. The El Niño phenomenon and environmental disasters due to energy depletion are the main issues. Oceans cover 71% of the earth. There are vast resources and ocean regulate climate. This being so, the Committee decided on the ‘Ocean’ which is an alternative solution of peace for human beings and a treasure house for future generations as the theme for the inaugural Sunhak Peace Prize.MC:You mentioned the Committee already announced the laureates, President of Kiribati Anote Tong and Indian Dr. Modadugu Gupta as the dual recipients. Would you like to tell us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of President Anote Tong? Chairman:First of all, the Republic of Kiribati is an unfamiliar country so many people do not know about it. Kiribati is an island country located on the vicinity of the equator in the South Pacific. The citizens have not done anything wrong, but due to global warming, their land is in danger of being submerged. H.E. Anote Tong is the president of this small island country. He rais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limate change and sought actio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He gave a warning to the wealthy countries emitting lots of carbon dioxide and urged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to take action to protect the people struggling at the frontline of climate change. Furthermore, Pres. Tong is a global leader who devoted himself to passing down a clean earth to future generations. MC:Would you like to introduce the other laureate, Dr. Gupta?Chairman:Yes, he is a professor at Calcutta University and he has dedicated his whole life to leading a Blue Revolution by developing aquaculture techniques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future food crises. The Blue Revolution is the significant increase of aquaculture production due to innovative techniques while the Green Revolution is the rapid growth of agricultural output. Dr. Gupta has been a pioneer of the Blue Revolution since the 1960s. He taught his aquaculture methods to the extreme poor in Southeast Asia, in places such as Bangladesh, and in Africa. He improved the nutritional status, the rights of women, and the self-resilience of those living in poverty through his training.MC:Will the laureates will receive cash prize? Chairman:Yes, the laureates of the Sunhak Peace Prize will receive the Sunhak Peace Prize medal, a certificate and a cash prize of Korean \\1 billion (~USD $1 million).MC:What is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Sunhak Peace Prize? Chairman:Most peace prizes award the peace dedications of the past. However, the Sunhak Peace Prize focuses on the contributions for future peace. Future peace may seem a bit distant, what the current generation has done will negatively or positively affect future generations. That is why the future is always up to the people who are preparing. God never gives future glory to those who are not preparing. The Sunhak Peace Prize focuses on climate change based on this peace vision. The Sunhak Peace Prize will continue to search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peace and create a peaceful civilization for future generations.
2021.03.05 -
[세계일보] 아프리카 개발·인권신장 희망 심어준 선학평화상
아프리카 개발·인권신장 희망 심어준 선학평화상 아프리카의 기아문제 해결을 위해 농업혁신에 앞장선 나이지리아의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와 여성 인권신장에 헌신한 소말리아 출신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가 그제 제3회 선학평화상을 수상했다. “참사랑으로 인류평화를 실현해야 한다”는 문선명 총재의 사상을 실천하기 위해 한학자 총재의 제안으로 제정된 선학평화상이 이번에 아프리카에 주목한 것이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인 아데시나 박사는 아프리카 식량혁명에 반평생을 바쳤다. 아프리카가 만성 빈곤을 극복하고 성장의 길에 들어서려면 농업혁신이 시급하다고 판단한 그는 지난 30년간 우수한 종과 농법을 대륙 전역에 전파해 농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배고픈 곳에 평화가 있을 수 없다’는 그의 지론은 울림이 크다. 아데시나 박사는 수상소감에서 “세계 8억5000만명 이상이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다”며 “인류가 배고픔으로부터 벗어나는 게 나의 꿈”이라고 역설했다. 디리는 아프리카 여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온몸으로 싸웠다. 세계적인 슈퍼모델로 활동하던 그는 1997년 아프리카 여성들을 대표해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공론화하고 할례 근절을 선도했다. 2012년 유엔총회가 여성 할례를 전면 금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것은 그의 남다른 용기에 힘입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할례는 아프리카·중동 여성들을 상대로 자행되는 대표적인 인권침해 행위다. 지금도 전 세계에서 2억명 이상의 여성이 할례로 고통받는다고 한다.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시상식 환영사를 통해 “평화로운 세계는 세상 모든 이들의 인권의 존엄이 지켜질 때 비로소 도래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아프리카는 지구촌에서 가장 빈곤하고 인권이 열악한 대륙이다. 민족·종교 갈등에 정치 혼란까지 겹쳐 희망을 잃은 사람들이 너도나도 난민대열에 합류해 국제사회 안정이 위협받는 지경이다. 선학평화상위원회가 올해 미래 평화를 위한 의제로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을 제시한 것은 시의적절했다. 아프리카에는 자연자원이 풍부하고 많은 젊은이들이 있다. 국제사회의 교육과 기술 지원이 결합되면 발전 가능성은 무한하다. ‘지구촌 한가족’ 시대에 아프리카의 경제발전과 인권신장 없이는 세계평화는 요원하다. 아데시나 박사와 디리가 보여준 용기와 리더십이 세계평화를 정착시키고 따뜻한 인류애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기사링크: http://www.segye.com/newsView/20190210001855]
2021.03.04 -
"기아는 세계의 책임"… 미래 평화 향한 인류 역할에 경종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올해 선학평화상위원회가 미래 평화를 위한 의제로 제시한 건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이었다.위원회는 9일 제3회 선학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와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에 대해 각각 아프리카의 농업 혁신, 여성 할례(FGM·여성성기절제) 철폐에 앞장선 공을 높게 평가했다고 밝혔다.홍일식 위원장은 이날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환영사를 통해 “선학평화상은 인류 미래 평화를 위한 제3회 시상 방향으로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에 주목했다”고 말했다. 홍 위원장은 “진정 평화로운 세계는 손에서 무기를 내려놓는 것만일 수 없다”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세상 모든 이들의 인권의 존엄이 지켜질 때 비로소 도래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왼쪽)가 9일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수상자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에게 메달을 수여하고 있다.이제원 기자아네시나 총재는 수상 연설에서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선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다. 그것이 선학평화상이 제게 큰 영감을 주는 이유”라며 “전 세계는 기아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제자들이 예수님께 기도하는 법을 가르쳐 달라고 부탁했을 때, 그의 첫 응답은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십시오’였다”며 “식량이 우선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게 바로 제가 선학평화상의 상금 50만달러 전액을 제가 후원 중인 ‘월드 헝거 파이터스(World Hunger Fighters)’ 재단을 위해 쓰려는 이유”라고 소개했다.위원회에 따르면 아데시나 총재는 아프리카가 21세기에 만성적 빈곤을 극복하고 성장하기 위해선 농업을 혁신해야 한다는 비전으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 혁신을 이끌어 대륙 전역 수억명의 식량안보를 개선했다. 그는 “농업은 아프리카 각국의 경제 다각화를 이루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식량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전 세계에서 아프리카가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분야”라며 농업 정책을 주도했다.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가 수상 연설을 하고 있다. 이제원 기자1990년부터 서아프리카쌀개발협회(WARDA)에서 수석 경제학자로 활동한 아데시나 총재는 우수한 농법을 아프리카 구석구석에 전달하는 ‘농업-판매 이니셔티브(The agro-dealers initiative)’ 모델을 고안해 전역에 전파했다. 마을 가게가 농부에게 개량된 종자를 팔고 비료와 선진 농법을 전수하도록 돕는 걸 골자로 하는 이 모델은 각국 정부는 물론 비정부기구(NGO)와 적극 협력해 농업 생산량을 크게 높였다. 2015년 그는 “가장 큰 인프라 구축은 도로나 철도, 항구가 아니라 영양 보급을 통한 두뇌 성장”이라며 빌 게이츠, 존 쿠퍼 가나 전 대통령 등과 함께 ‘영양을 위한 아프리카 지도자 이니셔티브’를 설립하기도 했다.아데시나 총재를 위한 축사에 나선 케네스 M. 퀸 세계식량상재단 회장은 “세계식량상 고문위원회를 대표해 선학평화상위원회가 그를 수상자로 선정한 것에 대해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90억∼100억 인구를 먹여 살려야 하는 문제는 궁극적으로 10억∼20억 인구를 가진 지역에서 결정날 것이다. 바로 중국, 인도, 브라질 중심의 남미, 그리고 아프리카가 그 나라들”이라고 꼽았다. 퀸 회장은 “그 성공은 과학과 연구에 대한 투자, 영양 강화, 혁신을 촉발하고 농작물 수확을 증가시키는 도로와 정책 등 농촌 인프라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며 “무엇보다도 평화가 이 성공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동 수상자인 와리스 디리는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공론화하고 국제사회 주요 인권 의제로 부각해 할례 근절을 선도했다는 게 선학평화상위원회의 평가다. 그는 수상 연설을 통해 “제가 어렸을 때 평화라고 하는 건 생각하기 어려웠다. 처음 경험한 게 바로 폭력이었다”며 “그때 이후로 저는 제 마음 속 많은 변화를 추구했다. 가족의 평화, 이 사회 공동체의 평화, 세계의 평화가 바로 제가 원했던 것”이라고 밝혔다.`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공동수상자인 와리스 디리 여사가 수상소감을 발표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소말리아 유목민의 딸로 태어난 5살 때 할례를 당한 그는 세계적인 슈퍼모델로 활동하던 시절인 1997년 아프리카 여성 수억명을 대표해 할례 경험을 고백했다. 이후 인권운동가 활동을 시작했고 그해 유엔(UN)의 ‘할례 근절을 위한 인권홍보대사’로 최초 임명됐다. 디리의 용기와 노력은 2003년 아프리카연합 소속 15개 국가가 여성 할례 금지를 명시한 마푸토 의정서 비준을 이끌어냈다. 또 2012년 유엔 총회가 여성 할례를 전면 금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고 2030년까지 여성 할례를 근절한다는 목표를 세우도록 했다.디리는 성기 훼손을 겪은 여성을 치유하고 재활을 돕는 일에도 앞장서고 있다. 2013년 의료진 120명과 프랑스 파리, 독일 베를린, 스웨덴 스톡홀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사막의 꽃 센터’를 만들어 할례 여성을 치료해왔다. 디리는 최대한 많은 의사들이 할례 복원 수술을 할 수 있도록 재건 수술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2014년엔 외과, 산부인과 의사들에게 여성 성기 재건 수술법을 교육하는 ‘사막의 꽃 외과 센터’를 설립했다. 그는 할례 철폐의 근본 해결책으로 여성 자립을 돕는 기초 문식성(literacy) 교육과 직업 교육을 제시하고 아프리카 각지서 교육기관을 운영 중이다.소말리아 영부인인 세이납 아브디 모알림은 축사에서 “디리 여사는 저와 같은 소말리아인이라 오늘 이 자리에서 그 누구보다 감격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더 많은 여성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온몸으로 싸웠다”며 “모두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에 대해 홀로 아니라고 말한 그 용기와 그 외로움에 대해 진심 어린 격려와 박수를 보내고 싶다”고 격려했다.김승환·남혜정 기자 hwan@segey.com[ⓒ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03.04 -
[세계일보] 아프리카 개발·인권에 앞장… 아데시나·디리 선학평화상
미래세대 인류 공동체의 평화에 기여하고 인간 사랑을 바탕으로 갈등 화합에 앞장선 단체나 개인을 기념하는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이 9일 개최됐다.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는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을 미래 평화 어젠다로 제시하고 지구촌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인 아프리카의 평화 정착에 힘쓴 공헌자를 수상자로 선정했다.선학평화상 설립자인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와 홍 위원장은 이날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 크리스탈 볼룸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공동 수상자인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와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에게 각각 50만달러(약 6억원)의 상금과 메달, 상패를 수여했다.수상자와 함께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가 9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수상자 등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한 총재, 공동수상자인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와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 선학평화상위원회 홍일식 위원장.남정탁 기자나이지리아 출신의 아데시나 총재는 농업경제학자로서 아프리카의 만성적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업 혁신이 필요하다고 보고 지난 30년 동안 선진 농법을 전수해 영양실조 해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소말리아 출신인 디리는 아프리카에서 수천년 간 지속된 여성 할례(FGM·여성성기절제)의 폭력성을 전 세계에 알리고 악습을 근절하기 위해 자신이 겪은 아픈 경험을 공개하며 국제법 제정에 앞장서는 등 할례 위기에 처한 수억 명의 어린 소녀를 구해냈다.아데시나 총재는 수상 연설을 통해 “인종은 국적, 종교, 인종, 피부색과 상관없이 한 가족이며 우리 모두는 같은 피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이 고통 받으면 모두가 고통 받는 것”이라며 “선학평화상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혜택 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것을 해야 한다는 요구”라고 밝혔다. 이번에 받은 상금 50만달러 전액을 식량 구호단체 ‘월드 헝거 파이터스(World Hunger Fighters)’ 재단에 기부하겠다고 약속한 그는 “세계를 지키기 위해서는 분쟁의 이유를 찾는 끝없는 열망을 없애고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식량안보가 보장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디리는 수상 연설에서 “우리의 삶은 한 번 뿐이며 사랑과 평화 그리고 서로를 위하는 마음이 필요하다”며 “제가 가장 원한 건 평화로 여성과 아이, 인간을 대상으로 한 폭력을 종식시키는 일환으로 할례를 금지시키는 많은 활동을 했다”고 말했다. 전 세계 많은 아이들이 고통에 시달리는 원인으로 인간의 탐욕과 욕망을 지적한 그는 여성과 아이 뿐 아니라 전 인류와 후손을 위해 우리가 행동에 나서야 할 때라고 호소했다.선학평화상은 문선명·한학자 총재의 ‘전 인류 한 가족’이라는 평화비전을 기리기 위해 제정돼 2015년을 시작으로 2년 마다 수상자를 선정했다. 이날 시상식에는 세계 전·현직 대통령과 총리 10여명과 해외 국회의장·국회의원 등 정관계, 학계, 재계, 언론계, 종교계를 대표하는 총 1000여 명의 인사가 참석했다.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03.04 -
[세계일보] 제3회 선학평화상 메시지는 '아프리카 인권과 개발'
올해 선학평화상위원회가 미래 평화를 위한 의제로 제시한 건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이었다.제3회 선학평화상을 공동 수상한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와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에 대해, 위원회는 각각 아프리카의 농업 혁신, 할례(FGM·여성성기절제) 철폐에 앞장선 공을 높게 평가했다고 밝혔다.홍일식 위원장은 9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환영사를 통해 “선학평화상은 인류 미래 평화를 위한 제3회 시상 방향으로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에 주목했다”며 “진정 평화로운 세계는 손에서 무기를 내려놓는 것만일 수 없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세상 모든 이들의 인권의 존엄이 지켜질 때 비로소 도래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아네시나 박사는 이날 수상 연설을 통해 “세상을 더 나을 곳으로 만들기 위해선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다. 그것이 선학평화상이 제게 큰 영감을 주는 이유”라면서 “전 세계는 기아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위원회에 따르면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인 아데시나 박사는 아프리카가 21세기에 만성적 빈곤을 극복하고 성장하기 위해선 농업을 혁신해야 한다는 비전으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 혁신을 이끌어 대륙 전역 수억명의 식량안보를 개선했다. 그는 “농업은 아프리카 각국의 경제 다각화를 이루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식량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전 세계에서 아프리카가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분야”라며 농업 정책을 주도했다.1990년부터 서아프리카쌀개발협회(WARDA)에서 수석 경제학자로 활동한 아데시나 박사는 우수한 종와 농법을 아프리카 구석구석에 전달하는 ‘농업-판매 이니셔티브(The agro-dealers initiative)’ 모델을 고안해 전역에 전파했다. 이는 마을 가게가 농부에게 개량된 종자를 팔고 비료와 선진 농법을 전수하도록 돕는 걸 골자로 해, 각국 정부는 물론 비정부기구(NGO)와 적극 협력해 농업 생산량을 크게 높였다. 아데시나 박사는 2015년 “가장 큰 인프라 구축은 도로나 철도, 항구가 아니라 영양 보급을 통한 두뇌 성장”이라고 강조하며 빌 게이츠, 존 쿠퍼 가나 전 대통령 등과 함께 ‘영양을 위한 아프리카 지도자 이니셔티브’를 설립하기도 했다.그외 아데시나 박사는 록펠러 재단 식량안보 부국장, 아프리카 녹색혁명 연합 부대표, 나이지리아 농림부 장관 등을 수행하며 평생 아프리카 개발에 앞장섰다. 2015년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 취임 이후엔 △전력 등 인프라 확충 △식량 공급 △산업화 △역내 통합 △삶의 질 향상 등 5개 주력 목표를 설정해 아프리카의 성장을 견인 중이다.축사에 나선 케네스 M. 퀸 세계식량상재단 회장은 “세계식량상 고문위원회를 대표해 선학평화상위원회가 아데시나 박사의 엄청나고 세계적인 업적을 인정해 그를 수상자로 선정한 것에 대해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90억∼100억 인구를 먹여 살려야 하는 문제는 궁극적으로 10억∼20억 인구를 가진 지역에서 결정날 것이다. 바로 중국, 인도, 브라질 중심의 남미, 그리고 아프리카가 그 나라들”이라면서 “그 성공은 과학과 연구에 대한 투자, 영양 강화, 혁신을 촉발하고 농작물 수확을 증가시키는 도로와 정책 등 농촌 인프라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며 “무엇보다도 평화가 이 성공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수상자인 디리는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공론화하고 국제 사회 주요 인권 의제로 부각해 할례 근절을 선도했다는 게 선학평화상위원회의 평가다. 그는 수상연설을 통해 “제가 어렸을 때 평화라고 하는 건 생각하기 어려웠다. 처음 경험한 게 바로 폭력이었다”며 “그때 이후로 저는 제 마음 속 많은 변화를 추구했다. 가족의 평화, 이 사회 공동체의 평화, 세계의 평화가 바로 제가 원했던 것”이라고 밝혔다.소말리아 유목민의 딸로 태어나 5살 때 할례를 당한 디리는 세계적인 슈퍼모델로 활동하던 시절인 1997년 아프리카 여성 수억명을 대표해 할례를 고백했다. 이후 그는 인권운동가 활동을 시작했고, 그해 유엔(UN)의 ‘할례 근절을 위한 인권홍보대사’로 최초 임명됐다. 그의 용기와 노력은 2003년 아프리카연합 소속 15개 국가가 여성 할례 금지를 명시한 마푸토 의정서 비준을 이끌어냈다. 또 2012년 유엔 총회가 여성 할례를 전면 금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고 2030년까지 여성 할례를 근절한다는 목표를 세우도록 했다. 디리는 성기 훼손을 겪은 여성을 치유하고 재활을 돕는 일에도 앞장서는 중이다. 그는 2013년 의료진 120명과 프랑스 파리, 독일 베를린, 스웨덴 스톡홀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사막의 꽃 센터’를 설립해 할례 여성을 치료해왔다. 디리는 최대한 많은 의사들이 할례 복원 수술을 할 수 있도록 재건 수술 교육 자료를 제공 중이다. 2014년엔 외과, 산부인과 의사들에게 여성 성기 재건 수술법을 교육하는 ‘사막의 꽃 외과 센터’를 설립했다. 디리는 할례 철폐의 근본 해결책으로 여성 자립을 돕는 기초 문식성(literacy) 교육과 직업 교육을 제시하고 아프리카 각지서 교육기관을 운영 중이다.소말리아 영부인인 세이납 아브디 모알림은 축사를 통해 “디리 여사는 저와 같은 소말리아인이라, 오늘 이 자리서 그 누구보다 감격스럽다”며 “그는 더 많은 여성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온몸으로 싸웠다. 모두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에 대해 홀로 아니라고 말한 그 용기와 그 외로움에 대해 진심 어린 격려와 박수를 보내고 싶다”고 말했다.이희경·김승환·남혜정 기자 hwan@segey.com[ⓒ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03.04 -
[뉴시스] 선학평화상, 女할례 철폐 디리 & 阿개발은행 총재 아데시나
슈퍼모델 출신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53)와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 아킨우미 아데시나(58) 박사가 선학평화상을 받는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의 인터내셔널 컨벤션센터에서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아프리카 출신의 디리와 아데시나를 공동 선정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위원회는 \"아프리카는 미래 세대가 직면할 위기들이 집약적으로 나타나는 곳이며, 이 문제를 해결해야 인류의 미래 평화가 보장된다\"면서 \"두 수상자는 세계에서 가장 취약한 아프리카 이웃들을 위해 인권의 가치를 드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고 밝혔다. 디리는 수천년 간 지속한 \'여성 할례\'(FGM)의 폭력성을 세계에 알리고, 이 악습을 종식하기 위한 국제법 제정에 앞장서 할례 위기에 처한 소녀 수억 명을 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소말리아 유목민의 딸로 태어난 그녀는 5세 때 할례를 당했다. 슈퍼모델로서 인기가 절정에 달한 1997년 아프리카 여성들을 대표해 할례를 고백했다. 사상 최초다. 이를 통해 세계인은 여성 할례가 종교나 문화적 관습이 아니라 죽음으로까지 이어지는 반인권·인륜적 폭력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이후 유엔 최초 여성 할례 철폐 특별대사(1997~2003)로 활동했다. 2002년 설립한 \'사막의 꽃\' 재단을 통해 세계를 돌며 할례 철폐 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할례 재건 수술을 보급하고, 아프리카 여성 자립을 돕기 위한 문식성·직업 교육 등을 펼치고 있다.2003년 아프리카연합소속 15개 국가는 여성 할례 금지를 명시한 \'마푸토 의정서\'를 비준했고, 2012년 유엔 총회는 여성 할례를 전면 금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켜 2030년까지 여성 할례를 근절하기로 했다. 디리의 희생과 노력의 결실이다.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경제학자로서 30년 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해 대륙 전역 수억 명의 식량안보를 개선하고, 탁월한 리더십으로 아프리카의 역동적인 성장을 위한 주춧돌을 놓고 있다. 아데시나 박사는 아프리카 빈농들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쌀 생산량 증대 기술 도입, 농부들이 규모에 맞는 기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수립과 실행, 소규모 농가의 대출 보장, 공공과 민간 농업 투자 증대, 비료 산업 부패 척결 등 아프리카 녹색혁명을 위한 굵직한 농업 정책들을 선도했다. 특히 2006년 그가 이끈 \'아프리카 비료 정상 회담\'은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해 아프리카 정상들을 소집한 역대 최대 고위급 회담이다. 정상들의 정치적 의지를 자극해 2030년까지 아프리카에서 기아를 퇴치하겠다는 \'비료에 관한 아부자 선언\'을 이끌어냈다. 또 각국 은행, 국제 NGO들과 협업해 1억달러를 구축,아프리카 빈농들에게 대출을 해주고 았다. 아데시나 박사는 아프리카의 경제 수장으로서 \'식량 공급\'을 비롯해 \'전력 등 인프라 확충\' \'산업화\' \'역내 통합\' \'삶의 질 향상\' 등 5개 주력 목표를 설정해 아프리카 대륙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홍일식(82) 위원장은 \"아번 시상에서는 인류 공동 운명을 위한 미래 평화 아젠다로 \'아프리카 인권과 개발\'을 제시한다\"면서 \"아프리카 인권과 개발 문제는 세계의 양심에 새겨진 상처이며, 21세기를 살아가는 전 세계인이 풀어야 할 공동과제다. 지구촌이 평화와 공존 시대를 맞기 위해서는 가장 소외된 아프리카와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선학평화상은 설립자인 문선명(1920~2012)·한학자(75)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의 \'전 인류 한 가족\'이라는 평화비전을 토대로 제정됐다.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해 격년으로 시상한다. 단일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 상금인 100만달러(약 11억원)를 수상자에게 준다. 내년 2월 서울에서 시상한다.
2021.03.04 -
[연합뉴스] 선학평화상에 와리스 디리·아킨우미 아데시나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올해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슈퍼모델이자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인 와리스 디리(53)와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 아킨우미 아데시나(58세) 박사를 공동 선정한다고 23일 밝혔다.와리스 디리는 수천 년간 이어진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세계에 알리고, 악습을 종식하기 위한 국제법 제정에 앞장섰다는 평가를 받았다.소말리아 유목민 딸로 태어나 5세 때 할례를 당한 그는 세계적인 모델로 활동하던 1997년 할례를 고백, \'여성 할례\'를 처음으로 세계에 공론화했다.유엔 최초 여성 할례 철폐 특별대사로 활동했으며, 본인 이름을 딴 \'사막의 꽃\' 재단을 설립해 할례 철폐 운동을 펼친다.농업경제학자인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하고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적이 인정됐다.그는 아프리카 빈농들을 위해 쌀 생산량 증대 기술을 도입하고 대출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비료 정상 회담\'을 주도해 2030년까지 기아를 퇴치하겠다는 정상들의 선언을 끌어냈다.아데시나 박사는 현재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로서 아프리카 발전을 위한 포괄적 성장을 진두지휘한다.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21세기 지구가 평화와 공존의 시대를 맞으려면 지구촌에서 가장 소외된 아프리카와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2015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만든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해 격년으로 시상한다.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 달러(약 11억원)를 수여한다.시상식은 내년 2월 서울에서 개최된다. [기사링크: https://www.yna.co.kr/view/AKR20181123043500005?input=1195m]
2021.03.04 -
[동아일보] 선학평화상에 와리스 디리·아킨우미 아데시나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인 와디스 디리 씨(53)와 아프리카개발은행 아킨우미 아데시나 총재(58)를 공동 선정한다고 23일 밝혔다.디리 씨는 모델로 활동하던 1997년 자신이 소말리아에서 5세 때 경험한 할례를 고백해 ‘여성 할례’ 문제를 세계적으로 처음 공론화한 인물이다. 유엔 최초의 여성 할례 철폐 특별대사로 활동했으며, ‘사막의 꽃’ 재단을 설립해 할례 철폐 운동을 벌이고 있다. 아데시나 총재는 아프리카의 농업 혁신을 이끌어 식량안보 개선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2006년 ‘아프리카 비료 정상회담’을 주도해 2030년까지 기아를 퇴치하겠다는 각국 정상들의 선언을 끌어내기도 했다.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 문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전 세계인이 풀어야 할 공동과제”라며 수상자 선정 이유를 밝혔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제정한 선학평화상은 매년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상금은 100만 달러(약 11억3000만 원)다. 시상식은 2019년 2월 서울에서 열린다. [기사 링크: http://news.donga.com/3/all/20181123/92994907/1]
2021.03.04 -
[MBN뉴스]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와리스 디리,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 선정
선학평화상위원회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 인터내셔널 컨벤션 센터에서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와리스 디리와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를 공동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와리스 디리는 여성 할례 철폐 운동을 펼친 슈퍼모델이며,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는 농업혁신으로 아프리카의 경제발전을 이끌었습니다. [기사링크: http://www.mbn.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198125]
2021.03.04 -
[TV조선] 와리스 디리·아킨우미 아데시나 '선학평화상'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슈퍼모델 와리스 디리와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가 공동 선정됐습니다. 와리스 디리는 \'여성 할례\'를 전세계에 처음으로 공론화했고,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 혁신을 통해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 발전을 촉진한 공로가 높이 평가됐습니다.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에게 매년 시상됩니다.홍일식 선화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두 수상자는 아프리카 이웃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공을 세웠다\"고 말했습니다.[기사링크: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5/2018112590028.html]
2021.03.04 -
[KBS] 제3회 선학평화상에 와리스 디리·아킨우미 아데시나 총재 공동 선정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와리스 디리 슈퍼모델 겸 할례철폐 인권운동가와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 개발은행 총재가 공동 선정됐습니다.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오늘(23일) 새벽 이같이 밝히고 내년 2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시상식이 개최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위원회 측은 와리스 디리는 수천 년간 지속된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전 세계에 알리고 이 악습을 종식시키기 위한 국제법 제정에 앞장서는 등 할례 위기에 처한 수억 명의 어린 소녀들을 구한 공로가 높게 평가됐다고 밝혔습니다.또 아킨우미 아데시나 총재는 농업경제학자로서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해 수억 명의 식량 안보를 개선하고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 발전을 촉진한 공적이 크게 인정됐다고 위원회 측은 설명했습니다.
2021.03.04 -
[SBS] 제3회 선학평화상에 와리스 디리·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 선정
선학평화상 위원회가 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슈퍼 모델 겸 인권 운동가인 와리스 디리와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를 선정했습니다. 와리스 디리는 수천 년간 지속된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전 세계에 알리고 할례 위기에 처한 수억 명의 소녀들을 구한 공로가 인정 됐습니다. 또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경제학자로서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해 수억 명의 식량안보를 개선했으며 아프리카의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적이 인정됐습니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028805&plink=ORI&cooper=NAVER&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2021.03.04 -
[문화일보] 와리스 디리·아킨우미 아데시나 ‘선학평화상’
선학평화상위원회(홍일식 위원장)는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와리스 디리(53·슈퍼 모델 겸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와 아킨우미 아데시나(58·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 박사를 공동 선정했다고 22일 발표했다.와리스 디리는 수천 년간 지속된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전 세계에 알리고 이 악습을 종식시키기 위한 국제법 제정에 앞장서 할례 위기에 처한 수억 명의 어린 소녀를 구한 공로가 높게 평가됐다. 소말리아 유목민의 딸로 태어나 5세 때 할례를 당한 그녀는 세계적인 슈퍼 모델로서 인기가 최절정에 달했던 1997년 수억 명의 아프리카 여성을 대표해 할례를 고백, ‘여성 할례’를 전 세계에 공론화한 첫 인물이다.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경제학자로서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해 대륙 전역 수억 명의 식량 안보를 개선했으며, 굿거버넌스로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적이 인정됐다.선학평화상은 미래 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해 매년 시상하고 있으며,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 달러(한화 11억 원 상당)의 상금을 수상자에게 수여한다. 시상식은 2019년 2월 서울에서 개최된다. [기사링크: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112201073739173001 (문화일보)]
2021.03.04 -
[세계일보] ‘阿 인권·개발’ 미래 평화 어젠다 제시 … ‘인류는 한가족’ 전파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인 소말리아 출신 와리스 디리 여사는 여성을 상대로 수천년간 지속된 할례를 전 세계적으로 공론화했다. 다른 수상자인 나이지리아의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식량문제 개선에 큰 성과를 내고 있다. 가장 가난한 대륙의 사람들이 직면한 기초적인 인권과 생존에 직결된 사안을 고민하고, 해결책을 모색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22일 선학평화상위원회는 “미래 평화 어젠다로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을 제시한 것”이라며 수상자 결정의 의미를 설명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문선명·한학자 총재가 선학평화상을 제정하며 강조한 ‘전 인류 한 가족’이라는 비전이 가장 소외된 아프리카와 함께 나아가야 현실화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지난해 2월 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 크리스탈볼룸에서 열린 ‘2017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한학자 총재(왼쪽)가 아프간 여성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에게 상금과 메달을 수여하고 있다.세계일보 자료사진◆“여성은 아프리카의 뼈대다”일부 아프리카 지역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여성 할례는 10대 소녀들의 외부 성기 일부를 제거한 뒤 작은 구멍만 남기고 봉해버린다. 순결을 위한 의식이라고 하지만 불임, 요도 손상 등은 물론 사망에 이르기도 하는 악습이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아프리카, 중동 등 30개국에서 2억명의 여성이 할례를 당하고 있으며 연간 약 350만명, 하루 평균 9800명이 할례 때문에 죽음의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유엔 최초의 여성 할례 철폐 특별대사로 활동한 와리스 디리 여사(오른쪽)가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와리스 디리는 여성 할례의 문제를 처음 전 세계적 이슈로 공론화했다. 피해 당사자이기도 한 그는 고통의 소리를 낼 길 없는 수억명의 아프리카 여성들을 대신해 1997년 할례를 고백했다. 이후 인권운동가로 변신해 펼친 활발한 활동은 할례를 근절할 제도적 방안을 도출하는 결실로 이어졌다. 여성 할례를 금지한 ‘마푸토 의정서’ 비준, 유엔총회 결의안은 “수억명의 소녀들을 구하는 획기적인 전환점”으로 평가된다.‘사막의 꽃 센터’ 설립은 이미 할례 피해를 입은 여성들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기 위한 조치였다. 2013년 프랑스 파리, 독일 베를린 등에서 설립된 센터는 성기 재건 수술과 심리치료, 직업 훈련,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한다.와리스 디리는 여성 할례가 딸을 비싼 값에 시집보내려는 부모의 경제적 필요에 따라 근절되지 않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여성의 자립을 강조한다. ‘기초 문식성 교육’과 직업 교육에 정성을 쏟고 있는 것도 그래서다. 와리스 디리는 “나는 아프리카의 여성이 강인해지는 걸 보고 싶다. 여성은 아프리카의 뼈대”라고 말했다. 아프리카개발은행 아킨우미 아데시나 총재(오른쪽)가 지난 3월 방한 당시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세계일보 자료사진◆“농업은 아프리카의 우위를 확보할 최적의 분야”아데시나 박사는 아프리카가 만성적 빈곤을 극복할 비전으로 ‘농업의 혁신’을 제시했다. “농업은 아프리카 각국의 경제 다각화를 이루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식량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전 세계에서 아프리카가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분야”라는 게 그의 신념이다.미국에서 공부하고, 록펠러 재단의 농업수석연구원으로 일한 그는 ‘농업-판매 이니셔티브’ 모델의 고안과 전파, ‘아프리카 비료 정상 회담’ 개최, 빈농을 위한 혁신적인 금융시스템 구축 등을 주도했다.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2011년 나이지리아 농림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5년 만에 식량 생산량 2100만t 증가, 농업에 대한 56억달러 투자 유치 등의 성과를 거뒀다.2015년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로 취임한 뒤에는 ‘전력 등 인프라 확충’, ‘식량 공급’, ‘산업화’, ‘역내 통합’, ‘삶의 질 향상’을 주력 목표로 설정, 아프리카 대륙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아프리카가 ‘빈곤의 대륙’에서 ‘기회의 대륙’으로 거듭나기 위해 국제사회가 아프리카를 바라보는 방식을 ‘원조’에서 ‘투자’로 전환해야 한다는 게 아데시나 박사의 생각이다.
2021.03.04 -
[세계일보]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디 리 여사· 아데시나 박사
선학평화상위원회는 22일(현지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와리스 디리(Waris Dirie·53) 여사와 아킨우미 아데시나(Akinwumi Adesina·58) 박사를 공동선정했다고 밝혔다. 와리스 디리(왼쪽), 아킨우미 아데시나위원회는 “슈퍼 모델 겸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인 와리스 디리는 수천년간 지속된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알리고, 악습을 종식시키기 위한 국제법 제정에 앞장섰다”고 선정이유를 밝혔다.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인 아데시나 박사에 대해서는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하여 대륙 전역 수억명의 식량안보를 개선했다.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적도 크다”고 평가했다.소말리아 유목민의 딸인 디리 여사는 1997년 여성 할례를 전 세계에 처음으로 공론화한 인물로 유엔 최초 여성 할례 철폐 특별대사(1997∼2003)로 활동했고, 여성 할례를 금지한 아프리카연합 소속 15개 국가의 ‘마푸토 의정서’(Maputo Protocol·2003년) 비준, 유엔총회 결의(2012년)를 이끌어내는 데 역할을 했다.아데시나 박사는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의 혁신을 주도해 식량안보를 크게 개선시킨 공로를 인정받았다.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시상에서는 인류 공동의 운명을 위한 미래 평화 어젠다로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을 제시한다”며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 문제는 세계의 양심에 새겨진 상처이며, 전 세계인이 풀어야 할 공동과제”라고 규정했다.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하여 격년 시상하고 있으며,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달러(11억원 상당)의 상금을 수상자에게 수여한다. 시상식은 2019년 2월 서울에서 개최된다. [기사링크: http://www.segye.com/newsView/20181122004125]
2021.03.04 -
[MBC] 선학평화상 시상식, 스트라다·야쿠비 공동 수상
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오늘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열고 난민 의료구호 활동가인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아프간 여성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에게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을 수여했습니다.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의료 구호를 펼쳐 7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여성교육에 매진한 교육가로서의 공로가 각각 인정됐습니다.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입니다.
2021.03.04 -
[KBS] 선학평화상 시상식…스트라다·야쿠비 박사 공동 선정
제2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난민 의료구호 활동가인 이탈리아 의사 지노 스트라다(68) 박사와 아프간 여성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66) 박사가 공동 선정됐다.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오늘 \'2017 제2회 선학 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두 사람에게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을 수여했다.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1994년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의료 구호를 펼쳐 7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 높게 평가됐다.그는 16개국에서 60개 이상의 긴급 의료시설을 운영했으며, 현재는 아프리카에 세계 최고 수준의 심장외과센터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여성 차별이 심한 이슬람 사회에서 \"소녀를 교육하는 것은 미래세대를 교육하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여성교육에 매진한 교육가로서의 공로가 인정됐다.그는 체계적인 난민 교육을 위해 1995년 \'아프간학습연구소\'를 설립해 지금까지 1천300만 명의 난민에게 교육 및 직업훈련을 제공했다.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2021.03.04 -
전세계 난민들이 묻습니다 “내가 무엇을 잘못했나요?”
[세계일보 설립자 탄신·기원절 4주년 기념]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3일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축하무대에서 음악감독 박칼린씨(오른쪽)와 뮤지컬 배우 최재림씨가 ‘글로벌 난민 위기를 따뜻한 인류애로 극복하자’는 주제로 리틀엔젤스예술단과 함께 공연을 하고 있다.하상윤 기자“전쟁 없는 세계는 달성 가능한 목표입니다. 평화를 이루는 것은 세계 시민의 몫입니다.”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수상자 지노 스트라다(69) 박사는 시칠리아에서 만난 소말리아 난민의 “내가 무엇을 잘못했나요”라는 물음에 충격을 받았다고 털어놨다.이탈리아 출신 의사인 스트라다 박사는 1994년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한 후 현재까지 전 세계의 분쟁 지역을 찾아 의료구호 활동을 펴왔다.2013년 그의 인도주의적 활동을 담은 다큐멘터리 ‘오픈 하트’는 아카데미상 다큐멘터리 부문 본선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이날 시상식에서 상영된 그의 영상에 많은 참석자들이 공감의 박수를 보냈다.3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수상자인 지노 스트라다 박사가 수상 연설을 하고 있다.하상윤 기자스트라다 박사는 수상 연설에서 “지난해 전 세계에서 6000만명 이상의 난민이 강제로 고향을 떠났지만 우리는 그들의 희망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며 “난민들의 조각난 삶을 회복하기 위해 형제애와 연대를 실천해야 하고 모두가 이 같은 노력에 진정으로 동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아프가니스탄 출신의 사키나 야쿠비(66·여) 박사 역시 한평생을 난민교육에 힘쓴 공로로 시상대에 올랐다.야쿠비 박사는 1982년 난민의 재정착을 지원하는 단체인 ‘국제희망창조’를 설립한 뒤 아프간과 파키스탄 난민을 위해 학교를 짓는 등 교육 활동에 헌신해 왔다. 실제로 야쿠비 박사의 노력으로 난민촌 영아와 산모 사망률이 현격히 낮아졌고, 아프간 여성의 문맹률도 개선됐다. 그는 “오늘 받은 상을 아프간의 여성과 아이들에게 바치겠다. 앞으로 교육의 기회를 넓혀 더 많은 이들에게 지속가능한 삶을 보장해 주고 싶다”고 다짐했다.3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수상자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가 수상 연설을 하고 있다.하상윤 기자이날 시상식에는 세계 120개국에서 참석한 전·현직 국회의원, 국가 지도자 800여명이 운집했다. 하나된 인류를 상징하듯 참석자 출신은 인종과 국적, 성별, 언어를 불문했다. 선학평화상 설립자인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각각 메달과 상패를 수여하자 모두 열렬한 갈채를 보냈다.3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한학자 총재(왼쪽 첫 번째)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왼쪽 네 번째)이 수상자인 사키나 야쿠비(왼쪽 두 번째)·지노 스트라다(왼쪽 세 번째) 박사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하상윤 기자두 수상자는 시종 진지하면서도 밝은 얼굴이었다. 시상식장 벽에는 이들을 ‘난민의 영웅’으로 칭한 현수막이 걸렸다.홍 위원장은 환영사에서 “본 상의 설립자는 세계평화의 해법으로 종교와 국가와 인종을 초월한 인류애를 강조하며 일찌감치 ‘국경철폐’ 운동을 주창한 바 있다”며 “설립자의 선견처럼 오늘날 세계는 국경의 담을 낮추고 이웃처럼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3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박칼린 음악감독이 축하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하상윤 기자3일 오전 서울 송파구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리틀엔젤스 예술단이 축하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하상윤 기자시상식과 수상연설에 뒤이은 축하 무대는 박칼린 예술감독이 연출을 맡았다. 뮤지컬 배우 최재림, 박 감독과 한국전통예술단인 리틀엔젤스가 차례로 노래를 부른 뒤 합창으로 대미를 장식하자 분위기가 한껏 고조됐다. 박 감독은 ‘글로벌 난민 위기를 따뜻한 인류애로 극복하자’를 연출 테마로 정했다고 한다.김범수·이창훈 기자 sway@segye.com[ⓒ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1.03.04 -
'난민 문제' 주목한 선학평화상, 스트라다·야쿠비 품에 안기다
【서울=뉴시스】김정환 기자 = “‘전 인류 한 가족’이라는 평화비전을 토대로 제정한 선학평화상은 제2회 시상에서 인류 공동의 운명을 위한 미래 평화 어젠다로 ‘난민 위기’를 제시한다.” (홍일식 위원장)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고려대 전 총장)는 3일 오전 10시부터 서울 송파구 잠실동 롯데호텔월드 크리스탈 볼룸에서 ‘2017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이탈리아 의사 지노 스트라다(68) 박사와 아프가니스탄 여성 교육자 사키나 야쿠비(66) 박사가 공동 수상했다.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지난해 11월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수상자 선정 사실을 전 세계에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스트라다 박사는 국경을 초월한 인류애로 지난 25년간 중동과 아프리카 분쟁 지역에서 생명이 위태로운 난민들에게 긴급 의료 구호를 펼쳤다.1994년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하고 세계에서 의료 여건이 가장 취약한 아프리카 16개국에서 60개가 넘은 긴급 의료시설을 설립 운영하며 700여만 명을 살렸다.그는 ‘치료받을 권리’와 \'양도할 수 없는 인류 보편의 인권\'이라는 숭고한 신념으로 세계 최극빈자들에게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해 인권을 드높였다.또한 공공 의료 의식이 희박한 아프리카 12개국 정부로부터 ‘국민의 무료 의료 복지’를 약속하는 의료권 보장 서명을 받아내 인권 의식을 고양하고, 아프리카 사막 한복판에 우수한 수준의 심장외과센터와 전문치료센터를 열기도 해다. 특히 “전쟁은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할 수 없다”는 확고부동한 도덕·정치적 입장에서 반전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이날 스타라바 박사는 수상 소감에서 “현실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인 전쟁 없는 세계를 위해 행동하는 것은 세계 시민의 몫이다. 인류 발전이 지속하기를 원한다면 전쟁 논리를 포기하고 형제애와 연대를 긴급히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오늘 여러분이 이런 노력에 동참하기를 간청하는 기회를 얻게 돼 매우 기쁘다”고 전해 청중을 숙연하게 했다.야쿠비 박사는 ‘아프간 교육의 어머니’ ‘아프간 재건의 은인’ 등으로 불리는 교육자다.폐허 같던 아프간 난민촌에서 ‘교육’으로 난민 재정착의 해법을 제시하고 실천했다. ‘난민의 미래를 위해서는 교육만이 해법’이라는 신념으로 1995년 아프간학습연구소(AIL)를 세워 21년간 난민 1200만 명에게 교육과 직업훈련을 제공했다.특히 야쿠비 박사는 ‘소녀를 교육하는 것이 미래세대를 교육하는 것’이라는 혁신적인 생각으로 여성 교육에 매진해 이슬람 여성의 인권과 사회적 지위를 크게 향상했다. 여성교육을 엄격히 금했던 탈레반 정권 아래에서도 목숨을 걸고 비밀 학교를 운영해 3000여 소녀를 가르쳤다.그의 선구적인 노력으로 절망과 빈곤에 허덕이던 1세대 아프간 난민과는 달리 현재 난민 2·3세대는 공동체 재건의 리더로 활약할 수 있게 됐다.이런 성공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야쿠비 박사는 국제연합(UN) 등에서 난민 문제 해결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다.야쿠비 박사는 수상 소감에서 “사랑과 연민, 지혜를 나눌 때 우리는 평화롭고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불멸의 기반을 인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서로의 권리를 존중하고 다양한 문화, 전통, 종교, 아이디어를 존중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사랑과 연민, 지혜를 바탕으로 전 세계인이 조화롭고 평화롭게 살 수 있다”고 역설한 뒤 “이 상을 아버지께 드리고 싶다. 제게 교육을 받을 기회를 주신 위대한 분이다”고 말해 청중에게 감동을 줬다.두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금 50만 달러와 메달, 상패가 수여됐다. 설립자인 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각각 메달과 상패를 수여했다.시상식에서는 제1회 수상자이기도 한 남태평양 섬나라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전 대통령이 축사를 맡았고, 각국 전·현직 정상을 비롯해 정·관계, 학계, 재계, 언론계, 종교계 인사 800여 명이 참석했다.홍 위원장은 환영사를 통해 “현재 인류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심각한 난민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국제사회는 인류 공동 이익을 위해 난민 위기 해결에 초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며 “이 상의 설립자는 세계 평화 해법으로 종교와 국가와 인종을 초월한 인류애를 강조하며, 일찌감치 ‘국경 철폐’ 운동을 주창해왔다”고 설명했다.이어 “글로벌 난민 위기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시점에 두 수상자는 난민의 삶을 근본적으로 재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 인권인 ‘의료권’과 ‘교육권’ 보장에 앞장선 이 시대의 위인이다. 인도주의 실천을 통해 가장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난민 문제 해결 방향을 제시했다”고 수상자들에게 찬사를 보냈다.통 전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난민 위기는 전 지구적 대응이 필요하므로 국제사회는 협력과 조정을 강화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축하 무대는 ‘글로벌 난민 위기를 따뜻한 인류애로 극복하자’는 테마로 예술 감독 박칼린이 기획··연출했다. 박칼린은 직접 출연까지 해 뮤지컬 배우 최재림, 한국 전통 예술단인 리틀엔젤스와 환상적인 하모니를 이루며 시상식 분위기를 고조시켰다.평화의 기치로 ‘인권 존중’ ‘갈등 화합’ ‘생태 보전’을 표방하는 선학평화상은 미래 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현격히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 시상한다. 시상금은 총 100만 달러(약 11억원)다. 수상자는 이날 오후 5시30분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국제 콘퍼런스 ‘월드 서밋 2017)’ 특별 세션에 참가해 강연하는 등 국내에서 9일까지 머물며 바쁜 일정을 소화할 계획이다.한편, 2015년 열린 제1회 시상식에서는 ‘기후 변화’와 ‘식량 문제’에 주목했다. 그 결과 수상의 영광은 통 대통령과 ‘청색 혁명’을 주도한 인도의 양식 과학자 모다두구 굽타 박사가 공동으로 안았다.
2021.03.04 -
[경북도민일보] 난민 위기 해결·인류 평화 기여
2017 선학평화상 시상식[경북도민일보 = 정혜윤기자]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지난 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2017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제2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는 공동수상으로 지노 스트라다(68·이탈리아 외과의사) 박사와 사키나 야쿠비(66·아프간 여성 교육가) 박사가 선정됐다. 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국경을 초월한 인류애로 지난 28년간 지구촌 분쟁의 최전선에서 난민 및 전쟁희생자들에게 ‘긴급 의료 구호’를 펼쳐 8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 높게 평가됐다. 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아프간 난민촌에서 1300만명을 ‘교육’해 난민 재정착의 해법을 제시한 공로를 크게 인정받았다. 수상자에게는 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으며, 설립자인 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각각 메달과 상패를 수여했다. 시상식에는 아노테 통 전 키리바시 대통령이 축사를 맡았고, 해외 전·현직 대통령·부통령 등을 비롯해 정·관·학·재·언론·종교계를 대표하는 800여 명의 인사들이 참석했다. 지노 스타라다 박사는 수상 연설을 통해 “난민들의 산산 조각난 삶은 우리의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며 “전쟁 없는 세계를 위해 행동을 취하는 것은 세계 시민의 몫이며, 인류의 발전이 계속 되기를 원한다면 전쟁 논리를 포기하고 형제애와 연대를 긴급하게 실천해야 한다”고 강력히 호소했다. 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수상 연설에서 “현재 우리는 종교, 민족, 인종, 성별에 의해 심판 받는 세상에 살고 있다”며 “서로에 대한 증오를 극복하고 사랑, 연민 및 지혜를 나눌 때 우리는 평화롭고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불멸의 기반을 인류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선학평화상은 ‘전 인류 한 가족’이라는 평화비전을 토대로 제정된 상으로 이번 시상에서는 인류 공동의 운명을 위한 미래 평화 아젠다로 ‘난민 위기’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2021.03.04 -
[세계일보] “세계평화 위해 인류가 머리 맞대자”
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는 ‘우리 시대의 주요 도전 과제: 평화, 안보, 인적개발’이라는 주제로 ‘세계정상회의(World Summit) 2017’이 개최됐다. 참가자들은 “세계 평화를 위해 전 인류가 머리를 맞대고 협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이날 콘퍼런스는 세 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첫 세션에서 발표자로 나선 부바네스와르 칼리타 인도 국회의원은 “인도에는 전 세계 우주가 하나라는 말이 있다”며 “평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우리가 직면하는 분열, 빈부 격차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로 다투는 이웃국가들은 상대를 바꿀 수 없다는 점을 깨닫고, 차이를 지닌 채 공존해야 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3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세계정상회의 2017’ 토론회에서 심재권 국회외교통일위원장과 조지프 디트라니 전 6자회담 미국 측 차석 대표, 케사이 노트 마셜제도 상원의원(왼쪽부터)이 발표하고 있다. 세계정상회의2017조직위원회 제공대통령을 역임한 케사이 노트 마셜제도 상원의원은 “마셜군도는 과거 핵실험 외에도 산호초 파괴, 수면 상승 등으로 전통적인 삶이 위협받고 있다”며 “세계화가 진행됐지만 마셜군도는 그 혜택을 못 받았다”고 말했다. “개발도상국에 더 많은 기회를 부여하고, 양질의 교육을 받도록 하는 등의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이클 아키난도 필리핀 국회의원은 “정부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기 위해서는 시민의 참여가 중요하다”며 “시민 참여·감시를 통해 정부 투명성을 높이고 책임성을 보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동북아 최대 현안인 북핵 문제도 거론됐다. 조지프 디트라니 전 미국 6자회담 차석대표는 “평양은 2017년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려고 한다”며 “대화를 통해 대응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런 의미에서 월드 서밋이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디트라니 전 대표는 “핵은 평화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그 결과는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며 “함께 북한 핵문제에 관심을 갖고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해 참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두 번째 세션에서는 안보 문제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심재권 국회 외교통일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한반도는 지구촌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분단국가다. 북한의 핵문제로 첨예한 갈등이 이어지는 곳”이라며 “한반도에 세계 수백명의 국회의원이 참석해 한반도와 세계 평화를 위해 인종과 국적 등 모든 장벽을 넘어 상생의 길을 선언하는 것은 큰 의미”라고 강조했다. 몰라나 하이데리 파키스탄 상원의장은 “세계 평화가 확립되려면 종교와 인종, 신념에 따라 사람들을 판단하고 차별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며 “평화를 위한 유일한 길은 서로를 같은 존재로 인정하고 오해를 막는 것”이라고 말했다. 세 번째 세션 연사는 이날 선학평화상을 수상한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사키나 야쿠비 박사였다. 이들은 “난민 문제에 대해 모두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전 세계 지도자들이 참여한 토론회는 시종 뜨거운 열기 속에 진행됐다. 세션이 끝날 때마다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는데 길게 줄을 짓고 질문 순서를 기다리는 진풍경을 연출했다.김범수·이창훈 기자
2021.03.04 -
[MBC] 선학평화상 시상식…스트라다·야쿠비 박사 공동 수상
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오늘 \'제2회 선학 평화상 시상식\'을 열고 난민 의료구호 활동가인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아프간 여성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에게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을 수여했습니다.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의료 구호를 펼쳐 7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 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여성교육에 매진한 교육가로서의 공로가 각각 인정됐습니다.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 상입니다.
2021.03.04 -
선학평화상, 지구촌 난민에 희망 안기다
난민 위해 헌신한 의사·교육자제2회 평화상 공동 수상 영예세계 각국이 난민 해결 나서야지구촌 난민에게 생명과 희망을 선사한 두 ‘평화의 전령’이 선학평화상을 공동 수상했다.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는 어제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이탈리아 의사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아프가니스탄 여성 교육자 사키나 야쿠비 박사에게 제2회 선학평화상을 수여했다. 선학평화상은 “참사랑으로 인류 평화를 실현해야 한다”는 문선명 총재의 사상을 실현하기 위해 한학자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의 제안으로 제정됐다. 2015년 수여된 1회 평화상은 기후변화 대응에 힘쓴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식량 위기 해결에 기여한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에게 돌아갔다.올해 수상자인 스트라다 박사는 1994년 국제 긴급 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해 중동과 아프리카 등 분쟁 지역에서 의료구호를 펼쳐 800여만명의 생명을 살려냈다. 그는 수상 소감에서 “인류 발전이 지속하기를 원한다면 전쟁 논리를 포기하고 형제애와 연대를 긴급히 실천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야쿠비 박사는 ‘아프간 교육의 어머니’로 불린다. 그녀는 ‘난민의 미래를 위해서는 교육만이 해법’이라는 신념으로 1995년 아프간학습연구소를 설립해 1300만명의 난민들에게 교육과 직업훈련을 베풀었다. 야쿠비 박사는 “사랑과 연민, 지혜를 나눌 때 우리는 평화롭고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불멸의 기반을 인류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오늘날 난민문제는 지구촌 전체가 당면한 인류 공동의 현안이다. 선학평화상위원회가 난민문제 해결에 헌신한 두 의인에게 주목한 것도 이런 까닭이다. 유엔난민기구(UNHCR)의 ‘2015년 글로벌 리포트’에 따르면 전쟁과 박해를 피해 세계 각지를 떠도는 난민은 1612만명에 이른다. 매년 급증하는 난민 수와는 달리 이들의 입지는 갈수록 위축되고 있다. 이들 난민 가운데 최소한의 난민 지위조차 인정받지 못한 사람이 대부분이라고 한다.최근에는 유럽 등 선진국에서 치안 불안과 일자리 잠식 등을 이유로 난민 입국을 노골적으로 기피하는 실정이다. 난민에 관대하던 미국마저 문을 걸어 잠그는 추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반난민 행정명령을 발동하면서 시리아 난민 5만여명과 소말리아 난민 2만6000여명이 국제 미아 신세로 전락하고 있다.지금은 세계가 하나로 어울리는 ‘지구촌 한가족’ 시대다. 그런 세상에서 우리의 이웃들이 난민으로 고통받는 지경이라면 어떻게 인류 공동운명체를 감히 외칠 수 있겠는가. 홍 위원장은 어제 환영사에서 “국제사회는 인류 공동 이익을 위해 난민 위기 해결에 초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했다. 평화상을 수상한 두 의인은 놀라운 용기와 헌신으로 난민문제 해결의 길을 열었다. 이제 세계 각국이 국경과 인종을 초월해 뜨거운 가족애로 나서야 한다.[ⓒ 세계일보 & Segye.com]기사 바로보기
2021.03.04 -
[경북일보] 선학평화상委,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개최
- 지노 스트라다(伊 의사)·사키나 야쿠비(아프간 여성교육가) 공동수상 - ▲ 수상자 기념촬영(한학자 총재 사키나 야쿠비 박사 지노 스트라다 박사 홍일식 위원장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 총장)는 3일 오전 잠실 롯데호텔월드 크리스탈 볼룸에서 ‘2017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이번 수상자는 공동수상으로 지노 스트라다(68, 이탈리아 외과의사)박사와 사키나 야쿠비(66, 아프간 여성 교육가)박사가 선정됐다. 위원회는 2016년 11월 29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수상자 발표 기자회견을 갖고 전 세계에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국경을 초월한 인류애로 지난 28년 간 지구촌 분쟁의 최전선에서 난민 및 전쟁희생자들에게 ‘긴급 의료 구호’를 펼쳐 8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 높게 평가됐다.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아프간 난민촌에서 1천300만 명을 ‘교육’해 난민 재정착의 해법을 제시한 공로가 인정됐다.수상자에게는 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으며, 설립자인 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각각 메달과 상패를 수여했다.시상식에는 아노테 통 전 키리바시 대통령이 축사를 맡았고, 해외 전·현직 대통령, 부통령 등을 비롯해 정관계, 학계, 재계, 언론계, 종교계를 대표하는 800여 명의 인사들이 참석했다.지노 스타라다 박사는 수상 연설을 통해 “난민들의 산산 조각난 삶은 우리의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며 “전쟁 없는 세계를 위해 행동을 취하는 것은 세계 시민의 몫이며, 인류의 발전이 계속 되기를 원한다면 전쟁 논리를 포기하고 형제애와 연대를 긴급하게 실천해야 한다”고 강력히 호소했다.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현재 우리는 종교, 민족, 인종, 성별에 의해 심판 받는 세상에 살고 있다”며 “서로에 대한 증오를 극복하고 사랑, 연민 및 지혜를 나눌 때 우리는 평화롭고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불멸의 기반을 인류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홍일식 위원장은 “선학평화상은 ‘전 인류 한 가족’이라는 평화비전을 토대로 제정된 상으로 제2회 시상에서는 인류 공동의 운명을 위한 미래 평화 아젠다로 ‘난민 위기’를 제시했다”며 “글로벌 난민 위기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시점에 두 수상자는 난민의 삶을 근본적으로 재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 인권인 ‘의료권’과 ‘교육권’ 보장에 앞장선 이 시대의 위인이다”고 밝혔다.. 한편, 축하무대는 박칼린 예술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글로벌 난민 위기’를 따뜻한 인류애로 극복하자는 테마로 기획됐다.뮤지컬 배우 최재림과 박칼린, 한국전통예술단인 리틀엔젤스가 환상적인 하모니를 이루며 시상식 분위기를 고조시켰다.선학평화상은 100만 달러(한화 11억원 상당)의 시상금과 함께 수여되며,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현격하게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시상된다. 기사 바로보기
2021.03.04 -
[KBS] [30초 뉴스] 제2회 선학평화상…스트라다·야쿠비 박사 공동 수상
제2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난민 의료구호 활동가인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아프간 여성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가 공동 선정됐습니다.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오늘 \'제2회 선학 평화상 시상식\'을 열고 두 사람에게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을 수여했습니다.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의료 구호를 펼쳤고, 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이슬람 사회에서 여성교육에 매진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기사 바로보기
2021.03.04 -
[뉴시스] 2회 선학평화상 ‘지노 스트라다·사키나 야쿠비’ 공동수상
【서울=뉴시스】이종철 기자 = 3일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2017 제2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한학자 총재(왼쪽)가 수상자인 지노 스트라다 박사(왼쪽에서 세번째)와 사키나 야쿠비 박사(왼쪽에서 두번째)에게 축하의 박수를 치고 있다. 오른쪽은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수상자인 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치료받을 권리’는 기본적이고 양도할 수 없는 인류 보편의 인권이라는 신념으로, 1994년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했으며 이머전시는 현재까지 17개국에서 60개 이상의 긴급 의료시설을 운영하며 800여만 명의 생명을 살려냈다. 또 다른 공동수상자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여성에 대한 차별이 심한 이슬람 사회에서 “소녀를 교육하는 것은, 미래세대를 교육하는 것”이라는 혁신적인 생각으로 여성교육에 매진한 교육가다. 그녀는 체계적 난민 교육을 위해 1995년 아프간학습연구소를 설립하여 1,300만 명의 난민들에게 교육 및 직업훈련을 제공했다. 2017.02.03. 기사 바로보기
2021.03.04 -
[MBC] 선학평화상에 스트라다·야쿠비 박사 선정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에게 수여하는 제2회 선학평화상 수상자에 난민 의료구호 활동가인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아프간 여성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가 공동 선정됐습니다.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의료 구호를 펼쳐 7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 높게 평가됐으며, 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여성 차별이 심한 이슬람 사회에서 여성교육에 매진한 공로가 인정됐습니다.시상식은 내년 2월 3일 서울에서 개최되며, 수상자에게는 100만 달러, 우리 돈 약 11억 원의 상금이 주어집니다.[ 기사 바로 보기 ]
2021.03.04 -
[KBS] 제2회 선학평화상 스트라다 ·야쿠비 박사 공동 수상
제2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아프리카 등에서 난민 의료 구호 활동을 펼친 이탈리아의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이슬람 지역에서 여성과 난민 교육에 힘쓴 일본의 사키나 야쿠비 박사가 공동 선정됐습니다. 선학평화상 위원회는 오늘 워싱턴 DC의 호텔에서 수상자를 발표했습니다.시상식은 내년 2월3일 서울에서 열리고 수상자에겐 상금 백 만 달러가 수여됩니다. [ 기사 바로 가기 ]
2021.03.04 -
[SBS] 선학평화상에 스트라다·야쿠비 박사 공동 선정
▲ 지노 스트라다 박사 (사진=선학평화상 위원회 제공/연합뉴스) 제2회 선학 평화상 수상자로 난민 의료구호 활동가인 이탈리아 의사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아프간 여성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가 공동선정됐습니다.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1994년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의료 구호를 펼쳐 7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 높게 평가됐습니다.그는 16개국에서 60개 이상의 긴급 의료시설을 운영했으며, 난민 구호 활동뿐 아니라 반전 캠페인도 적극적으로 전개해 노벨평화상 후보로도 거론됐습니다.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여성 차별이 심한 이슬람 사회의 여성교육과 난민 위기 해결에 적극적으로 활동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그는 탈레반 정권하에서도 목숨을 걸고 80여 개 비밀학교를 운영했으며, 1천300만 명의 난민에게 교육과 직업훈련을 제공하기도 했습니다.시상식은 내년 2월 3일 서울에서 개최되며, 수상자에게는 100만 달러, 약 11억 원의 상금이 수여됩니다. [ 기사 바로 가기 ]
2021.03.04 -
[YTN]제2회 선학평화상에 스트라다·야쿠비 박사 선정
제2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난민 의료구호 활동가인 이탈리아 의사 지노 스트라다 박사와 아프가니스탄의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 박사가 공동 선정됐습니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오늘 워싱턴에서 수상자 발표식을 갖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스트라다 박사는 1994년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해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의료 구호를 펼쳐 7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 높게 평가됐습니다. 난민 구호 활동뿐 아니라 반전 캠페인도 전개해 노벨평화상 후보로도 거론된 바 있습니다. 야쿠비 박사는 여성 차별이 심한 이슬람 사회 특히 탈레반 정권에서 80여 개의 비밀학교를 운영해 소녀 3천 명을 교육하는 등 여성의 인권과 사회적 지위 향상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그는 또 1995년 \'아프간학습연구소\'를 설립한 뒤 천300만 명의 난민에게 교육과 직업훈련을 제공했습니다. 시상식은 내년 2월 3일 서울에서 열리며 수상자에게는 100만 달러, 11억 원의 상금이 주어집니다.[기사출처: http://www.ytn.co.kr/_ln/0104_201611300732593871]
2021.03.04 -
[세계일보]선학평화상, '지구촌 난민의 등불' 2인 공동수상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오른쪽)이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 소재한J.W. 메리엇호텔에서 제2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국기연 워신턴 특파원 한국판 노벨 평화상을 지향하는 선학평화상의 제 2회 수상자로 이탈리아 의사인 지노 스트라다(68) 박사와 아프가니스탄의 여성 교육가 사키나 야쿠비(66) 박사가 선정됐다.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전 고려대 총장)은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 소재한 J.W. 메리엇 호텔에서 “현 인류는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심각한 난민 문제에 직면해 있어 인류 공동의 이익을 위해 초 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면서 “위원회가 이러한 평화 비전으로 글로벌 난민 위기에 주목하고, 제 2회 수상자로 아프리카 및 중동 난민을 대상으로 긴급 의료 구호를 펴오고 있는 스트라다 박사와 교육으로 난민 재정착의 혁신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실천하고 있는 야쿠비 박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지노스트라다사키나 야쿠비 선학평화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창시자 문선명·한학자 총재 이름의 가운데 글자로 명명했으며 미래 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지구촌의 개인 및 단체를 발굴해 매년 시상하고 있다. 수상자는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 달러(약 11억 7000만 원)의 상금을 받는다. 홍 위원장은 “스트라다 박사는 1994년 국제 긴급 의료 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해 세계에서 의료 여건이 가장 취약한 아프리카 16개국에서 60여 개가 넘는 긴급 의료 시설을 설립, 운영해 700여 만 명의 생명을 살려냈다”고 밝혔다. 홍 위원장은 또 “야쿠비 박사는 난민의 미래를 위해서는 오로지 교육만이 해법이라는 신념으로 지난 1995년에 아프간학습연구소(AIL)를 설립해 21년간 1200만 명의 난민에게 교육과 직업 훈련의 기회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홍 위원장은 “선학평화상위원회가 매회 시상에서 인류 공동의 운명을 평화로운 방향으로 이끌 ‘미래 평화 아젠다’를 제시하고 있다”면서 “이번 시상에서 제시하는 아젠다는 ‘난민 위기’”이라고 밝혔다. 홍 위원장은 “세계 곳곳의 난민과 디아스포라 문제는 이 상의 설립자가 평생을 통해 강조해온 국경을 초월한 인류애를 다시 한번 떠올리게 한다”면서 “이번 수상자들은 뜨거운 인류애로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이 시대의 위인이라는 점에서 평화사적인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기사출처: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11/30/20161130001811.html?OutUrl=naver][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6-12-06 01:20:26 선학소식에서 이동 됨]
2021.03.04 -
[연합뉴스]선학평화상에 스트라다·야쿠비 박사 공동 선정
(워싱턴=연합뉴스) 강영두 특파원 = 선학평화상위원회는 29일(현지시간) 제2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난민 의료구호 활동가인 이탈리아 의사 지노 스트라다(68) 박사와 아프간 여성 교육가인 사키나 야쿠비(66) 박사를 공동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노 스트라다 박사는 1994년 국제 긴급의료단체인 \'이머전시\'를 설립,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의료 구호를 펼쳐 700만 명의 생명을 살려낸 공적이 높게 평가됐다. 그는 16개국에서 60개 이상의 긴급 의료시설을 운영했으며, 현재는 아프리카에 세계 최고 수준의 심장외과센터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지노 스트라다 박사 난민 구호 활동뿐 아니라 반전 캠페인도 적극적으로 전개해 노벨평화상 후보로도 거론된 그는 2013년 그의 의료 구호 활동을 다룬 다큐멘터리 \'오픈 하트\'가 아카데미상 다큐 부분 본선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사키나 야쿠비 박사는 여성 차별이 심한 이슬람 사회에서 \"소녀를 교육하는 것은 미래세대를 교육하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여성교육에 매진한 교육가이다. 그는 체계적인 난민 교육을 위해 1995년 \'아프간학습연구소\'를 설립해 지금까지 1천300만 명의 난민에게 교육 및 직업훈련을 제공했다.특히 여성교육이 엄격히 금지된 탈레반 정권하에서도 목숨을 걸고 80여 개 비밀학교를 운영하며 3천 명의 소녀들을 교육하는 등 이슬람 여성의 인권과 사회적 지위를 크게 향상시켰다. 현재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난민 위기 해결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으며, 2005년 노벨평화상 후보에 오른 바 있다. 선학평화상위원회 홍일식 위원장은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수상자 발표식에서 \"이 상은 \'전 인류 한 가족\'이라는 평화비전을 토대로 제정된 상\"이라며 \"이번 시상에서는 인류 공동의 운명을 위한 미래 평화 어젠다로 난민 위기를 제시한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내년 2월 3일 서울에서 개최되며, 수상자에게는 100만 달러(약 11억 원)의 상금을 준다. 사키나 야쿠비 박사 k0279@yna.co.kr[기사출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1/30/0200000000AKR20161130003800071.HTML?input=1195m]
2021.03.04 -
지구촌 굶주리는 8억… 인류에 던진 화두
선학평화상 수상 2인 기념서 지금도 8억여 명이나 되는 사람이 먹을 게 없어 굶주리고 있다. 잘사는 나라 사람들은 상상조차도 할 수 없는 일이다. 앞으로 먹거리 문제는 갈수록 심화되어 가는 양상이다. 식량 자원은 미래 인류를 위한 가장 시급한 문제이면서도 유엔 등 국제무대와 선진국들에서는 아직 별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식량 문제란 으레 아프리카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점점 동남아시아와 남태평양 빈국들로 확산되면서 전 지구촌의 문제로 부각될 날도 얼마 남지 않았다.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 -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 기념서/모다두구 비제이 굽타 지음/선학평화상위원회 사무국 옮김/미래북/1만5000원인도의 생물학자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76)는 식량문제를 일찍이 내다본 선견지명의 과학자다. 그의 조국은 인도이지만, 동남아시아의 각국으로 확산하는 기아문제의 실상과 사회 불안을 목격했다. 식량 부족으로 고민하는 동남아 각국 정부에 자신의 어업 노하우를 전수해 대성공을 거뒀다. 문선명·한학자 총재가 만든 선학평화상위원회는 굽타 박사의 숭고하고 차원 높은 인류애를 칭송하면서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평화상위원회는 굽타의 이 같은 ‘구도와 같은 여정’을 책으로 엮어 세상에 알리고자 이 책을 펴냈다. 굽타가 간직한 인류애는 선친의 가르침에서 비롯됐다. 그의 선친은 “기술과 지식은 가난하고 무지한 이웃을 위해 써야 의미가 있다”는 평소 지론을 물려주었고, 자신은 이를 실천하기에 이르렀다.굽타는 방글라데시에서 자신의 선견이 옳았다는 것을 입증해 보였다. 재래식 농업을 답습하는 농부들에게 새로운 물고기 양식법을 가르쳤다. 오랜 내전으로 사회도 불안했고 생명의 위협도 느꼈다. 하지만 기아에 허덕이는 어린이와 주민들을 외면할 수 없었다. 굽타는 저비용으로 고단백 고칼로리를 섭취하는 수단이 물고기 양식임에 착안했다.굽타의 노력으로 주민들은 3∼5개월 만에 양식기법을 터득했다. 헥타르당 수백 킬로그램에 불과하던 물고기 수확이 1.5∼2.5t으로 급증했다. 주민들은 새로운 소득원을 발굴했고, 방글라데시 정부는 이를 확산·장려하기에 이르렀다. 한때 인도 출신 학자 굽타의 ‘선행’에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기도 했다. 혹시나 다른 의도가 있는 게 아닌가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굽타는 먼저 농부들에게 다가갔다. 그들과 함께 농장에서 먹고 자고 생활하면서 이런 우려를 씻어냈다. 헌신적인 눈높이 교육 끝에 새로운 양식기술을 전파할 수 있었다. 굽타의 노력으로 현재 방글라데시 양식업 종사자의 60%가 여성일 정도로 큰 성공을 거뒀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여성의 인권 향상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굽타는 책에서 “가정에서 벌어들이는 수입이 늘어나자 남편들은 더 이상 부인을 함부로 대하지 않았다”면서 “가정 폭력도 당연히 줄어들었으며, 무엇보다도 여성들이 기뻐한 것은 아이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게 된 것”이라고 했다.그는 “가난한 농부들이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더 쉽고 간단한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면서 기술 개발에 땀을 흘리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굽타를 가리켜 “기적을 이뤄낸 동남아 빈민의 성자’로 칭송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굽타 박사는 “나의 평생 목표는 굶주림과 가난을 줄여 평화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것인데 이번 선학평화상 수상은 이 목표로 나아가도록 새 에너지를 줬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아노테 통 -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 기념서/아노테 통 지음/선학평화상위원회 사무국 옮김/미래북/1만5000원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 수상자인 아노테 통(63)은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키리바시공화국(Republic of Kiribati)의 대통령이다. 호주 동남쪽 남태평양상에서 아름다운 33개의 산호초 섬으로 이뤄진 나라다. 그러나 평균 해발고도가 2m에 불과하다. 이대로 지구온난화가 심화돼 해수면이 상승하면 이 나라는 바닷속에 잠길 수밖에 없다. 인구 10여만명의 나라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그 시한은 2050년 무렵. 지구온난화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나라가 바로 키리바시공화국이다. 작은 섬나라의 일이라고 치부할 일이 아니다. 지구온난화 문제는 이제 인류의 발등에 불 떨어진 격이다.아노테 통 대통령은 쉴 새 없이 전 세계를 찾아다니면서 바닷속에 잠길 나라의 위기를 세계에 알리고 있다.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면서 전 세계적 해결책 모색을 주장하고 있다. 그런 이유로 노벨상 후보에 꾸준히 오르고 있다.그의 절박함 외침은 한국에도 알려졌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아노테 통 대통령의 눈물겨운 노력과 헌신을 칭송하면서 제1회 수상자로 발표했다. 그의 수상 소감을 통해 현실을 보다 실감할 수 있었다.“저희 키리바시공화국은 이번 세기 내에 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바닷속으로 사라질 나라의 대통령의 목소리는 선학평화상 수상을 계기로 더 크게 울리고 있다. “(남태평양상의) 여러 국가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한국은 역동적이고 발전한 국가입니다. 선진기술로 변화를 이끌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인공 섬이나 해수면보다 높은 거주지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키라바시공화국은 전례 없는 사례이기에 기존 해결책의 경계를 넘어서 찾아야 합니다.”“우리, 우리의 아이들, 그 아이들의 손자들 모두 기후 변화에 생존을 위협당하고 있습니다. 어느누구도 버려지지 않는 긴급한 행동이 필요합니다.” 그는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갖가지 행동을 주도하고 있다. 2006년에는 ‘피닉스제도 보호구역’을 설정해 발표했다. 지구상에서 가장 온전히 보존된 산호수역인 피닉스제도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의 노력으로 피닉스제도는 2010년 세계 최대 규모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태평양 23개 섬나라의 협력체인 ‘태평양해양경관 관리협의회’ 구성도 주도했다.선학평화상위원회를 1년여 이끌어온 홍일식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21세기 들어 기후 변화와 식량위기로 인한 재앙이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머지않아 전 지구적 위기로 커져 인류 생존 자체를 위협할 징후가 보이고 있다”며 “이 위기로부터 인류를 구할 지혜를 주체적으로 모색하고 행동하는 것을, 미래 평화 어젠다로 설정했다”고 밝혔다.평화상위원회에는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전 유엔사무총장과 오노 요시노리(大野功統) 전 일본 방위청 장관, 호세 드 베네시아 전 필리핀 하원의장 등 16명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수상자들에게는 상금 100만달러와 메달이 주어졌다. 위원회는 각국 저명인사와 국제 규모의 수상자, 세계적 권위를 가진 학술단체와 비정부기구 등을 통해 66개국 182명의 후보자를 추천받아 1년 동안 심사했다.정승욱 선임기자 jswook@segye.com출처: 세계일보
2021.03.04 -
[세계일보] 선학평화상 수상자는 이 시대의 의인, 극빈층 자립 이끌어 세계 평화의 씨앗
뉴델리 \'선학평화상 콘퍼런스...\'서홍일식 위원장 기조 연설수상자 굽타 등 150명 참석 성황선학평화상위원회와 천주평화연합(UPF)은 23일(현지시간) 인도 뉴델리 오베로이호텔에서 ‘선학평화상 평화 콘퍼런스와 UPF 창립 10주년 기념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과 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 수상자인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 차우다리 싱 인도농촌개발장관, 슈리 시암 자주 바라티야자나타당(인민당) 부대표, 싱 고시야리 국회의원, 용정식 UPF 아시아대륙회장 등 각계 지도자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상 - 기후변화와 세계식량문제 해결책 모색’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파리 테러’ 희생자 추모 묵념으로 막이 올랐다. 이어 축가, UPF 및 선학평화상 영상 상영, UPF 인도 창설멤버 시상 및 평화대사 위촉패 수여, UPF 성과보고 등 순으로 진행됐다. 홍 위원장은 기조연설에서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는 지극한 인류애로 세계 평화를 만들어가고 있는 이 시대의 의인들”이라며 “가난과 굶주림이 없는 세계를 만들겠다는 꿈과 노력이 세계 극빈곤층의 자립이라는 기적을 일구어 내면서 세계 평화의 씨앗이 되고 있다”고 소개했다.굽타 박사는 초청연설에서 “2050년에는 인구 증가와 기후변화로 많은 변화가 생길 것”이라며 “식량문제는 식량이 부족해서만이 아니라 제대로 분배가 안 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이런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싱 장관은 축사에서 “70억 세계 인구 4분의 1이 4분의 3의 방향성을 결정하고 있다”며 “인류 증가에 따른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경제구조를 고쳐야 하며, 사람들 생각이 변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다.용 회장은 인사말에서 “선학평화상과 UPF는 분쟁을 없애고 가정의 가치를 지키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며 “문선명·한학자 총재는 영원한 평화세계 실현을 위해 평생 동안 헌신해 오셨다”고 밝혔다. 평화 콘퍼런스는 오는 25일 오후 2시30분 네팔 카트만두에서 한 차례 더 열릴 예정이다.선학평화상은 문 총재의 사상과 업적을 기리고 그 유지를 선양하기 위해 부인인 한학자 여사의 제안으로 제정됐으며, 지난 8월 첫 수상자로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굽타 박사 2명을 배출했다. 이 상은 미래 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현격하게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 시상되며 상금은 100만달러(약 11억원)다.정성수 문화전문기자http://www.segye.com/content/html/2015/11/24/20151124003544.html?OutUrl=daum
2021.03.04 -
[SBS] 아노테 대통령 굽타 박사, 선학평화상 수상자 선정
SBS 뉴스 아노테 대통령 굽타 박사, 선학평화상 수상자 선정미래세대에 평화와 복지에 공헌한 인물에게 주는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박사가 선정되 오늘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시상식이 열렸습니다.수상자인 아노테 통 대통령은 기후위기 취약국인 남태평양의 키리바시의 대통령으로 국제사회에 기후평화의 중요성을 호소해온 공로를 인정 받았습니다.공동수상자인 인도의 굽타박사는 미래 식량위기의 대안으로 물고기 양식기술을 개발한 과학자로 빈곤지역에 신기술을 널리 보급한 공적을 인정 받았습니다.수상자들에게는 각 5억원씩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 됐습니다.
2021.03.04 -
[중앙일보]선학평화상 특집_ 미래세대를 위해 세계 평화에 기여하다....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미래세대를 위해 세계 평화에 기여하다지난 28일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이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렸다. 선학평화상은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와 인류 복지에 기여한 인물과 단체에 시상하는 국제적인 상으로, 초대 수상자로 키리바시 공화국 아노테 통(63)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76) 박사가 공동 선정됐다. “지구와 현세대의 생존, 그리고 미래세대를 위한 일을 해나갈 것입니다. 이 상이 전 인류의 더 큰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해 나아갈 수 있는 길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선학평화상 시상식 단상에 오른 아노테 통 대통령의 수상 소감이다. 공동수상자인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 박사는 “내 평생의 목표는 ‘굶주림과 가난을 줄여 평화로운 사회를 만드는 것”이라며 “선학평화상 수상은 이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도록 새로운 에너지를 주었다”고 감격스러워했다..[자세히 더보기] [수상자 인터뷰] 침몰하는 섬나라 대통령, 기후변화 대책 선도하다바다에 잠길 위기에 있는 나라가 있다. 태평양 서쪽의 섬나라인 키리바시 공화국(Republic of Kiribati 이하 키리바시)이다. 33개의 산호초 섬으로 이뤄진 키리바시엔 국민 10만 명(2011년 기준)이 살고 있다. 평균 해발고도가 2m로 2050년께 국가 전체가 수몰될 위기다. 국민을 살리기 위해 전 세계를 뛰어다닌 공로로 제1회 선학평화상을 수상한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을 만났다. -최근 키리바시는 기후변화가 심한데. “그렇다. 바닷물이 마을에 스며들고 침식작용이 활발해 마을을 떠나는 주민이 늘고 있다. 바닷물이 마을의 물을 오염시키고 이 때문에 농작물이 피해를 입기도 한다. 지난해 초엔 심각한 만조 현상을 여러 차례 경험했다. 이례적인 홍수가 발생했다. 3월에는 사이클론(태풍·허리케인처럼 열대저기압의 지방에 따른 이름) ‘팜’이 바누아투(남태평양 뉴헤브리디스 제도로 구성된 섬나라)를 강타했고, 키리바시도 사이클론의 피해를 입었다. 일부 섬에서는 집들이 바닷물에 쓸려나갔다.”...[자세히 더보기][글로벌 이슈] 기후변화온실가스 배출 방치 땐 21세기 말께 해수면 63㎝ 상승바닷물이 육지로 들어오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고 강수량이 변하면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2013년 9월 유엔 산하 기구인 ‘재해감소를 위한 국제전략기구(UNISDR)’는 “세계가 기후변화에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21세기에 자연재해로 입는 경제적 손실이 25조 달러를 넘길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2011년 키리바시를 방문했을 때 한 소년이 밤에 잠자는 동안 바닷물에 휩쓸려 갈까 두려워하고 있었다”며 “기후변화는 다수의 저지대 국가에는 생존의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자세히 더보기][수상자 인터뷰]물고기 박사, 동남아 빈민의 자립 기적 이뤄1970년대부터 물고기 양식 기술을 개발해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 빈곤층의 식량문제를 개선하고 있는 사람이 있다. 인도의 생물학자인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 박사다. 그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동물성 단백질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물고기를 꼽았고, 나아가 물고기가 미래 식량 위기의 중요한 해법이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인 굽타 박사에게서 그가 도입한 수상 양식 기술과 세계 식량난의 해결방안 등에 대해 들어봤다.-식량문제 해결책으로 수산 양식을 선택한 이유는. “인도, 방글라데시, 라오스 같은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에는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고 발견조차 되지 않은 수자원이 무궁무진하다. 방글라데시엔 계절성 연못이나 연중연못이 넘쳐나고 양어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작은 도랑과 물 웅덩이가 거의 10만 개나 된다. 이를 개발하면 현재 굶주리고 있는 극 빈곤층에게 동물성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 고효율 양식 기술을 개발하고 주민에게 기술을 보급하면 자립성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어 수산 양식을 선택했다.”...[자세히 더보기][글로벌 이슈]식량 위기세계 인구 9명 중 1명 영양실조 … 수산물 양식업 육성이 대안지난해 세계적으로 흥행한 영화 ‘인터스텔라’는 식량난에 직면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다른 행성을 찾아 우주 여행을 떠나는 미래 인류의 모습을 그렸다.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황사와 가뭄 같은 기후변화 때문에 옥수수만 재배할 수 있는 정도로 지구는 점점 척박한 땅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이는 단지 영화 속 판타지 이야기일까.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가 4년마다 발행하는 ‘글로벌트렌드 2030’에서 2030년의 세계를 만들 중요한 메가트렌드 중 하나로 식량공급 부족을 꼽혔다. 하지만 현재 개발도상국에는 다음 15년 후에 일어날 일이 아닌 현재 겪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다.......[자세히 더보기][선학평화상 제정 배경]인종·종교·국가 초월한 ‘인류 한 가족’ 평화 구현선학평화상위원회는 고(故) 문선명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창립자와 그의 부인인 한학자 현 총재의 평화운동에 공감하는 인사들이 중심이 돼 지난해 8월 11일 공식 출범했다. 한학자 총재는 “인류 평화에 기여한 사람에게 줄 상을 제정하겠다”는 남편의 생전 뜻을 이어나가기 위해 상을 제정했다고 말했다. 2012년 남편이 세상을 떠난 직후부터 선학평화상 제정을 제안하며 미래를 위한 평화 의인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했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정 취지문에서 “‘인류 한 가족(One Family Under God)’의 평화 세계 실현을 위해 전 생애를 초인종, 초종교, 초국가 운동을 펼쳤던 문선명 총재의 사상을 유지한다는 뜻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자세히 더보기][미래 세대가 꿈꾸는 평화]\"가난,굶주림,쓰레기 없는 세상이죠\"미래 세대를 이끌어 갈 아이들이 꿈꾸는 평화의 모습은 어떠할까.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기념해 아이들이 생각하는 평화의 모습과 평화 실천을 위한 방법을 듣는 ‘평화나눔’ 자리를 마련했다. 이 행사에는 서울시 초·중등학교에 재학 중인 300여 명의 학생이 참석했다. 이들 중 학급에서 ‘환경 지킴이’로 활동하고 있다는 3명의 작은 천사가 꿈꾸는 평화의 모습과 실천 방법 등에 대해 들어봤다.강유진 (13·광진초등학교)“가난 때문에 학교에 가고 싶어도 가지 못하는 아프리카 친구들을 TV에서 봤다. 학교 대신 일터에 나가 하루 종일 축구공을 만들고 무거운 벽돌을 날랐다. 전 세계 모든 아이가 평등하게 공부할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 이러한 세상이 내가 꿈꾸는 평화다. 작은 기부금도 아프리카 교육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들었다. 용돈을 줄여 조금씩 기부활동을 꾸준히 하고 싶다. 최종목표는 내 이름으로 된 아프리카 학교 건립이다. ”.....[자세히 더보기][선학평화상위원회 홍일식 위원장 인터뷰]“환경문제 해결에 앞장서 인류 평화 돕는 사람 발굴”제1회 선학평화상은 홍일식(79) 전 고려대 총장이 초대위원장을 맡았다. 그는 사단법인 세계효(孝)문화본부 총재, 사단법인 한국인문사회연구원 이사장 등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 선학평화상에 대해 들어봤다. -올해 처음 시상식을 가진 선학평화상은 아직은 다소 생소한 상이다. 국내외 다른 평화상과 어떤 점이 차별화되나. “기존 평화상은 인류의 현재 혹은 과거의 평화를 위해 활동한 수상자에 주목해 왔다. ‘한국의 노벨상’을 지향하는 선학평화상이 현존하는 국내외의 평화상과 다른 점은 현 세대뿐 아니라 미래 세대까지 고려한 확장적 평화관을 지향하며, 21세기에 걸맞은 새로운 평화 문명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자세히 더보기][국내 해양 생태계 이슈] 적조·쓰레기로 멍든 바다바다라는 말 앞에 ‘청정’ 또는 ‘푸른’이라는 형용사를 붙이는 것이 어색해진 지 오래다. 쓰레기·폐수 등으로 오염됐기 때문이다. 우선 적조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남해안에서만 적조로 89만여 마리의 어류가 폐사했다. 잠정 피해액만 14억8000만원이다.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해역 전역에 황토를 살포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반복되는 적조를 막기 위해 여러 기술적 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해양식량전문가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김웅서 박사는 “황토를 뿌리는 것이 근본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며 “무엇보다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영양염류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미래 세대에게 푸른 바다를 선물하고 싶다면 영양염류를 줄이기 위한 실천에 나서야한다. 김 박사는 그 실천 방법으로 “국가에서는 하수처리장을 만들어 폐수 관리를 하고, 축산폐수나 비료 성분이 하천으로 흘러들지 않게 규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개인은 하수로 음식물 찌꺼기나 국물이 흘러들지 않게, 우수관으로 샴푸 등이 흘러들어가지 않게 신경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문했다.......[자세히 더보기]
2021.03.04 -
[세계일보] 기후변화·식량위기 경각심 높였다_제1회 선학평화상 통 대통령·굽타 박사 수상…홍일식 위원장 “인류 구원할 미래 어…
[세계일보] 기후변화·식량위기 경각심 높였다\"제1회 선학평화상 통 대통령·굽타 박사 수상…홍일식 위원장 “인류 구원할 미래 어젠다 설정”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한학자 총재(맨 왼쪽)가 28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공동수상자인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왼쪽 두 번째부터)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제원 기자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공헌한 개인이나 단체에 주는 선학평화상 제1회 시상식이 28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렸다. 공동수상자인 아노테 통(63)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6) 박사는 이날 선학평화상 설립자인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으로부터 각각 메달과 상패를 받았다. 통 대통령은 수상연설에서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세계가 우리 국민의 역경과 몸부림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전 세계가 저희 국민을 저버리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굽타 박사는 “세계인 3명 가운데 1명, 특히 여성과 아이들이 영양소 결핍에 시달리고, 식량생산 증대에도 기아는 여전히 전 세계 빈민층의 지속적인 문제로 남아 있다”면서 “선학평화상은 기아와 빈곤의 완화를 통해 평화사회에 기여하려는 제 평생의 목표에 다시 한 번 채찍을 가했다”고 밝혔다. 두 수상자는 “선학평화상을 통해 인류가 식량안보와 기후변화에 새롭게 관심을 갖게 되어 문선명 총재, 한 총재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했다. 홍 위원장은 환영사에서 “21세기 들어 기후변화와 식량위기로 인한 재앙이 지구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고, 머지않아 전 지구적 위기로 증폭될 징후를 보이고 있다”며 “위원회는 평화의 주된 과제로 두 문제에 주목해 인류를 구원할 지혜를 주체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미래 평화 어젠다로 설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선학평화상은 인류 문명의 적폐와 한계를 넘어 새로운 평화와 지평을 열어가는 상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축사에서 “인류의 평화를 위협하는 요소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인간과 자연에 대한 사랑을 지향하는 선학평화상의 비전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했다.선학평화상은 가정연합을 창시한 문 총재가 진력한 세계 평화와 인류 복지 증진 유업을 실현하기 위해 제정한 상으로, 이날 첫 시상식을 계기로 기후변화와 식량위기에 대한 인류의 관심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지난 6월 해수면 상승으로 바다에 잠길 위기에 처한 섬나라 키리바시를 이끌며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공론화한 통 대통령과 물고기 양식기술을 개발해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앞장선 굽타 박사를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이날 시상식에는 선학평화상 제정을 제안한 한 총재, 정 의장, 무하마드 유수프 칼라 인도네시아 부통령, 최윤기 통일재단 이사장을 비롯한 국내외 주요 지도자와 정·관계, 학계, 재계, 종교계를 대표하는 인사 1000여명이 참석했다. 선학평화상은 매년 평화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해 상금 100만달러(약 11억원)와 메달, 상패를 수여한다. 메달은 순금 50돈으로 한국조폐공사에서 특별제작했고, 상패는 서울대 서도식 교수가 디자인하고 정수화 명인이 제작했다.정성수 종교전문기자 tols@segye.com[세계일보 기사 바로가기]
2021.03.04 -
[KBS뉴스] 제1회 선학평화상에 아노테 통 대통령·굽타 박사
KBS 뉴스에 선학평화상 시상식 보도가 나왔습니다선학평화상위원회는 오늘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갖고 남태평양 섬나라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에게 각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을 수여했습니다.아노테 통 대통령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 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을, 굽타 박사는 헌신적인 물고기 양식 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의 빈민 구제와 식량 위기 해결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2021.03.04 -
[JTBC 뉴스] '제1회 선학평화상' 키리바시 대통령·인도 굽타 박사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이 JTBC 뉴스에도 보도가 되었습니다JTBC 뉴스 \'제1회 선학평화상\' 키리바시 대통령·인도 굽타 박사제1회 선학평화상의 수상자로 남태평양 섬나라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가 공동 선정됐습니다.통 대통령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국제 사회에 널리 알렸고, 굽타 박사는 혁신적인 양식 기술을 보급해 빈곤층의 자립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2021.03.04 -
[서울신문] 제1회 선학평화상 키리바시 아노테 통 대통령, 인도 모다두구 굽타 박사 공동수상
제1회 선학평화상 키리바시 아노테 통 대통령, 인도 모다두구 굽타 박사 공동수상해외 전·현직 대통령, 부통령 등 정관 언론 종교계 1000여명 참석선학평화상위원회는 28일 오전 10시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는 공동수상으로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6) 박사가 선정돼, 이날 선학평화상 설립자인 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수상자에게 각각 메달 및 상패를 수여했다. 시상식에서 정의화 국회의장, 무하마드 유수프 칼라 인도네시아 부통령이 축사하고, 해외 전·현직 대통령, 부통령 등을 비롯해 정관계, 학계, 재계, 언론계,종교계를 대표하는 1,000여명의 인사들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선학평화상 시상식은 방송인 신영일과 정세미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됐으며, 세계적인 성악가 조수미와 어린이 한국전통예술단인 리틀엔젤스가 환상적인 하모니를 이루며 축가를 불러 시상식 분위기를 고조시켰다.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환영사에 “현세대는 탐욕과 이기심을 버리고 인종과 국경과 사상과 종교를 초월해서 범 인류애에 기반한 평화 문명을 모색해야 할 역사적인 소명을 부여 받고 있다”며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상’이라는 기치 아래, 인류가 20세기까지 쌓아 올린 문명의 적폐와 한계를 넘어 인류공동의 평화를 추구해 나가는 새로운 평화의 지평을 열어가는 상으로 자리매김 해 나갈 것” 이라고 포부를 밝혔다.수상자인 아노테 통 대통령은 기후위기 취약국인 남태평양 섬나라 키리바시의 대통령으로 국제사회에 기후평화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는 글로벌 리더다.통 대통령은 30년 이내에 수몰될 위기에 처한 자국의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공원을 지정하는 등 해양생태계 보호에 앞장서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삶의 터전을 떠나야 하는 기후난민의 인권 보호 수호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동 수상자인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 박사는 미래식량 위기의 대안으로 물고기 양식기술을 개발해 폭발적인 물고기 생산력 증가를 이루며 ‘청색혁명’을 주도한 인도의 양식 과학자다. 그는 연구자로서 양식기술 개발을 했을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극 빈곤지역의 빈자들에게 이 기술을 널리 보급하여 영양 상태를 크게 개선하고 자립을 도운 인물이다. 굽타 박사는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지난 2005년 식량부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세계식량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편, 선학평화상은 매년 100만 달러(한화 11억원 상당)의 시상금과 함께 수여되며,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현격하게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시상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2021.03.04 -
[중앙일보]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개최···키리바시 아노테 통 대통령, 인도 모다두구 굽타 박사 공동수상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개최···키리바시아노테 통 대통령, 인도 모다두구 굽타 박사 공동수상8월 28일(금) 오전 10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시상식 개최정의화 국회의장, 성악가 조수미 등 각계 각층의 인사 참석8월 28일(금) 오후 5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 서울 파르나스에서 “수상자 강연” 진행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아노테 통 키리바시공화국 대통령과 모다두구 굽타 박사와 함께 선학평화상 메달 및 상패 수여 후 기념촬영중이다.선학평화상위원회는 28일(금) 오전 10시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제1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는 공동수상으로 아노테 통(Anote Tong, 63세)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Modadugu Vijay Gupta, 76세) 박사가 선정돼, 이 날 선학평화상 설립자인 한학자 총재와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이 수상자에게 각각 메달 및 상패를 수여하였다.시상식에는 정의화 국회의장, 무하마드 유수프 칼라 인도네시아 부통령이 축사를 하였고, 해외 전·현직 대통령, 부통령 등을 비롯해 정관계, 학계, 재계, 언론계, 종교계를 대표하는 1,000여명의 인사들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소프라노 조수미의 선학평화상 시상식 축하공연선학평화상 시상식은 방송인 신영일과 정세미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되었으며, 세계적인 성악가 조수미와 어린이 한국전통예술단인 리틀엔젤스가 환상적인 하모니를 이루며 축가를 불러 시상식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환영사에 “현세대는 탐욕과 이기심을 버리고 인종과 국경과 사상과 종교를 초월해서 범 인류애에 기반한 평화 문명을 모색해야 할 역사적인 소명을 부여 받고 있다”며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상’이라는 기치 아래, 인류가 20세기까지 쌓아 올린 문명의 적폐와 한계를 넘어 인류공동의 평화를 추구해 나가는 새로운 평화의 지평을 열어가는 상으로 자리매김 해 나갈 것” 이라고 포부를 밝혔다.정의화 국회의장은 축사를 통해서 “국가 간, 지역 간, 인종 간, 종교 간의 갈등과 함께 기후변화 등 새로운 인류의 평화를 위협하는 글로벌 위협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와중에 인간과 자연에 대한 사랑, 공동체의 연대와 소통에 기반한 세상을 지향하는 선학평화상의 비전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라고 전했다.수상자인 아노테 통 대통령은 기후위기 취약국인 남태평양 섬나라 키리바시의 대통령으로 국제사회에 기후평화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있는 글로벌 리더이다. 통 대통령은 30년 이내에 수몰될 위기에 처한 자국의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공원을 지정하는 등 해양생태계 보호에 앞장서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삶의 터전을 떠나야 하는 기후난민의 인권 보호 수호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동 수상자인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 박사는 미래식량 위기의 대안으로 물고기 양식기술을 개발하여 폭발적인 물고기 생산력 증가를 이루며 ‘청색혁명’을 주도한 인도의 양식 과학자다. 그는 연구자로서 양식기술 개발을 했을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극 빈곤지역의 빈자들에게 이 기술을 널리 보급하여 영양 상태를 크게 개선하고 자립을 도운 인물이다. 굽타 박사는 이러한 공적을 인정받아 지난 2005년 식량부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세계식량상을 수상한 바 있다. 통 대통령은 방한 기간인 27일(목) 서울시청에서 진행된 ‘2015 기후변화 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 및 토론을 하였으며, 두 수상자는 28일 오후 5시에 국제 컨퍼런스인 ‘월드 서밋(World Summit 2015)’의 특별 세션에 참가하여 수상자 강연을 하는 등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한편, 선학평화상은 매년 100만 달러(한화 11억원 상당)의 시상금과 함께 수여되며,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현격하게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시상된다.
2021.03.04 -
[SBS 뉴스] 아노테 대통령 굽타 박사 선학평화상 공동수상
[SBS 뉴스]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박사가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선학평화상위원회측은 아노테 대통령과 굽타 박사가 기후위기와 식량위기 해결에 혁신적인 기여를 한 점을 높이 평가해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에 수여되는 선학평화상은 단일 상으로는 세계최대규모인 100만 달러의 시상금이 수여되며 시상식은 오는 8월 28일에 개최 됩니다. [선학평화상 유튜브 바로가기]
2021.03.04 -
[MBC 뉴스] 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
[MBC 뉴스투데이] ] ◀ 앵커 ▶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가 미국 워싱턴에서 발표됐습니다.기후변화와 식량문제에서 공이 큰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모다두구 굽타 박사가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워싱턴 문호철 특파원입니다. ◀ 리포트 ▶남태평양 섬나라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가 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아노테 통 대통령은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는 기후 위기 공론화를 국제사회에서 선도하면서 노벨평화상 수상자로도 거론되고 있습니다.인도의 굽타 생물학박사는 혁명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식량 위기해결에 기여하면서 <동남아시아 빈민의 성자>로 불리고 있습니다.[홍일식/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제1회 시상에서 본 위원회가 제시하는 미래 평화 아젠다는 \'기후변화\'와 \'식량위기\'입니다.\"故 문선명 총재와 한학자 여사가 제정했고 세계평화와 인류복지를 위한 활동에 공이 큰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어지는 이 상의 시상금은 100만 달러로 단일 상 규모로는 세계 최대입니다.시상식은 오는 8월 서울에서 개최됩니다.워싱턴에서 MBC뉴스 문호철 특파원입니다.[MBC 홈페이지 바로가기]
2021.03.04 -
[KBS 뉴스] 제1회 선학평화상... 키리바시 대통령 등 수상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가 선정됐습니다.선학평화상위원회는 아노테 대통령은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 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을, 굽타 박사는 헌신적인 물고기 양식 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 구제와 식량 위기 해결에 이바지한 공로를 높이 평가해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습니다.고 문선명 가정연합 총재와 부인 한학자 여사가 세계 평화와 인류 복지를 위해 제정한 선학평화상은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 달러, 우리 돈 10억 원 상당의 상금을 지급하며 시상식은 오는 8월 28일 서울에서 열립니다.[ KBS 뉴스 바로 가기][Youtube 선학평화상 채널]자료 출처 : KBS 뉴스
2021.03.04 -
[세계일보] 선학평화상 "인류평화 실질적 기여 인물 선정" - 홍일식 위원장 일문일답
[세계일보] 선학평화상 \"인류평화 실질적 기여 인물 선정\"홍일식 위원장 일문일답“기존 평화상이 과거의 업적이나 현재의 활동을 중시하는 데 반해 선학평화상은 과거 및 현재의 활동과 함께 미래의 희망과 가능성에 초점을 맞춰 인류 평화에 기여하는 인물을 수상자로 선정하는 게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전 고려대 총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세계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설명했다.-첫 수상자 선정 배경은.“성화한 문선명 총재는 대대적으로 평화 운동을 전개했으며 기후 변화와 식량 위기로부터 인류를 구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첫 수상자로 문 총재의 유업을 계승하는 데 지대한 공을 세운 인물을 선정했다. 선학평화상은 단순히 또 하나의 평화상이 아니다. 우리는 인류가 직면할 미래의 위기에서 벗어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향후 평화상 시상 운영 계획은.“인류가 영구한 평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데 이 상의 제정 목적이 있다. 국제사회에 널리 알려진 명사보다 실질적으로 인류 평화를 위해 크게 기여하는 개인과 단체를 선정해 시상함으로써 그러한 활동을 적극 선양하려고 한다.”-위원장을 맡게 된 계기는.“개인적으로 문선명 총재와 각별한 인연이 있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장으로 재직할 당시 중국의 부상을 예견하고, 중국어 대사전 편찬 사업을 추진했었다. 그때 정부와 민간 문화재단 그 어느 곳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나 오로지 문 총재가 ‘나는 그 생각을 10년 전부터 해왔다’며 1970년대 초에 거금 2억원, 현재 가치로는 50억원이 넘는 돈을 쾌척해 중단 위기를 맞았던 중국어 대사전 편찬 사업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런 문 총재의 미래 지향적인 평화 추구 정신을 계승하는 선학평화상 제정 취지에 공감하면서 그 분과의 의리를 지키려고 위원장을 맡았다.”-개인적으로 향후 활동 계획은.“통일을 지향해가는 과정에서 다른 국가와 민족에 모범이 될 수 있는 우리의 규범을 만드는 데 이론적인 뒷받침을 할 생각이다. 선학평화상위원장의 업무도 그런 활동의 일부이다.”워싱턴=국기연 특파원 [세계일보 바로가기]
2021.03.04 -
[경향신문]아노테 통·모다두구 굽타‘ 1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
[경향신문]아노테 통·모다두구 굽타‘ 1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통일교에서 제정한 선학평화상 1회 수상자로 키리바시공화국의 아노테 통 대통령(62·왼쪽 사진)과 인도의 생물학자 모다두구 굽타 박사(75·오른쪽)가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홍일식 전 고려대 총장은 8일(현지시간) 워싱턴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기후 및 식량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힘쓴 통 대통령과 굽타 박사는 인류의 미래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지금도 헌신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통 대통령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등으로 2050년쯤 자신의 나라가 물에 잠길 수 있다고 강조하며 기후 위기 대응 목소리를 내왔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통 대통령이 기후변화로 삶의 터전을 떠나야 하는 이주민들이 ‘난민’이 아닌 질 높은 노동력을 갖춘 ‘존엄한 이민자’로 대우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굽타 박사에 대해서는 “야생 어종에 비해 빠른 성장이 가능한 틸라피아, 실버바브 등 양식어종을 개량해 폭발적으로 생산량을 증대시키며 양식산업의 혁명을 일으켰다”고 위원회는 밝혔다.문선명 전 통일교 총재와 부인 한학자 현 총재의 이름 앞글자를 딴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해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제정됐다. 시상식은 8월28일 서울에서 개최되며 100만달러(약 11억20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된다.[경향신문 바로가기][세계일보]제1회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 모다두구 굽타 공동 수상국내 최다 상금의 선학평화상 1회 수상자로 아노테 통(63)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76) 박사가 선정됐다.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총장)는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내외신 기자회견을 열어 기후변화 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한 아노테 통 대통령과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앞장선 굽타 박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선학평화상은 2012년 9월 성화(타계)한 문선명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의 평화 사상을 선양하기 위해 한학자 총재가 제안해 제정됐다. 미래 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이나 단체를 발굴해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아노테 통 대통령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2050년 무렵 바다에 가라앉을 위기에 놓인 자국의 상황을 세계에 알리면서 환경변화에 대한 세계적 해결책 모색을 주도한 업적을 평가받았다. 위원회는 그가 생존을 위협받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에서 헌신적으로 미래 세대를 위해 희망적이고 건설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자세히 보기][헤럴드 경제]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아노테 통 대통령, 굽타 박사 공동 선정[헤럴드경제=서상범 기자]제1회 선락평화상 수상자로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가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8일(미국시각)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 통(Anote Tong)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M. Vijay Gupta) 박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아노테 통 대통령은‘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되었다...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상”이라며,“인류의 미래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헌신적인 삶을 보여 준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모다두구 굽타 박사를 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하게 되어 기쁘다. 앞으로 선학평화상은 이러한 미래지향적인 평화의 롤모델을 발굴하여 인류공동체의 미래 평화를 빚어내는 상이 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하여 21세기에 걸맞는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단일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 달러(한화 10억원 상당)의 시상금과 함께 수여된다. 시상식은 오는 8월 28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개최된다..[자세히보기][매일경제] 아노테 통·모다두구 굽타 선학평화상 공동수상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62)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75)가 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 수상자로 뽑혔다. 선학평화상은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에 수여하는 상으로 미래세대의 평화를 구축하기 위해 제정됐다. 고(故) 문선명 가정연합 창시자와 한학자 현 가정연합 총재가 만든 선학평화상은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달러(약 10억원)의 시상금을 수여한다. 시상식은 오는 8월 28일 서울에서 개최된다.[자세히보기][대한뉴스]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아노테 통 대통령, 굽타 박사 공동 선정6월 8일(월) 오후 12시(미국시간 기준) 미국 워싱턴 DC의 The National Press Club에서 수상자 발표해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 기후변화 위기 심각성 국제사회에 전파, 기후난민의 인권 위해 열정적인 리더십 선보여모다두구 굽타 박사, 양식기술 혁신으로 빈민구제 및 미래 식량위기 해결에 앞장서[대한뉴스/윤봉섭 기자] 6월 8일(월) 오후 12시(미국시간 기준)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 통(Anote Tong. 63세)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M. Vijay Gupta, 76세) 박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아노테 통 대통령은‘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되었다. 아노테 통 대통령은“UN 같은 국제기구가 아닌 곳에서도 기후변화가 세계 평화를 위해 중대한 과제임을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고무적이다”며,“선학평화상 수상을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더 널리 알리고, 해결책 마련의 지혜를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매우 기쁘다”고 선정 소감을 전했다.공동 수상자인 굽타 박사는 “선학평화상 수상으로 굶주림과 가난을 줄여 평화로운 인류공동체를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룰 새로운 에너지를 받게 되었다”며“기아와 빈곤 해결을 위해 같은 길을 걸어온 전 세계의 동료들과 이 큰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된 아노테 통 대통령은 세계가 직면한 막대한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전파하며 전 지구적인 해결책 모색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2010년 유네스코의 세계 최대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피닉스제도 해양보호구역(PIPA)’을 설정하는 등 해양생태계 보호를 선도하고 있다....[자세히보기]
2021.03.04 -
[세계일보] 세계평화·인류복지 실현 위한 '한국판 노벨상' - 선학평화상 제정 의미 및 배경
[세계일보] 세계평화·인류복지 실현 위한 \'한국판 노벨상\' 선학평화상 제정 의미 및 배경2012년 9월 성화(타계)한 문선명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가 일생 동안 추구해온 유업은 세계 평화와 인류 복지 증진이다. 문 총재의 부인 한학자 총재는 ‘하나님 아래 한 가족’이라는 문 총재가 남긴 원대한 비전을 중단 없이 실현하기 위해 선학평화상을 제정했고, 올해 첫 수상자가 나왔다. 선학평화상은 인권 존중, 갈등 화합, 생태 보전의 3대 평화 가치를 표방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생태 보전 분야에 초점을 맞췄다.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뒷줄 맨 왼쪽)이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내셔널프레스클럽(NPC)에서 내외신 기자회견을 열고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를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한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선학평화상위원회 제공)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 총장)가 8일(현지시간) 미국 수도 워싱턴 내셔널프레스클럽(NPC)에서 개최한 첫 수상자 발표 기자회견장에는 한국, 미국, 일본 등의 유수 신문사와 방송사 기자 등 130여명이 몰려 ‘한국의 노벨상’인 선학평화상을 향한 국제사회의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다.선학평화상위원회에는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 전 유엔 사무총장 등 15명이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날 회견에는 성타 전 조계종 포교원장, 손대오 세계평화교수협의회 회장, 양창식 중동평화회의 의장, 유경석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한국회장, 정태익 한국외교협회장(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추성춘 전 제주 MBC 사장, 황선조 선문대 총장, 토머스 월시 천주평화연합(UPF) 세계회장 등의 위원들이 참석했다.이날 회견은 선학평화상을 소개하는 비디오 상영, 김만호 선학평화상위원회 사무총장의 시상 개요 및 선정 과정 소개, 홍 위원장의 수상자 발표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홍일식 위원장은 “선학평화상은 미래 세대를 위해 평화로운 세계를 만드는 것이 현 세대의 책임이라는 믿음으로 제정됐다”고 강조했다. 홍 위원장은 “첫 번째 수상자 선정은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기후변화와 식량위기 문제 해결에 역점을 두었다”고 설명했다.그는 “21세기 들어 기후변화와 식량위기로 인한 재앙이 지구촌 곳곳에서 시시각각 벌어지고 있어 이것이 머지않아 전 지구적인 위기로 증폭돼 인류의 생존 자체를 위협할 징후를 보이고 있다”며 “평화상위원회는 매회 시상에서 인류 공동의 운명을 평화로운 방식으로 이끌 ‘미래 평화 어젠다’를 제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김만호 선학평화상위원회 사무총장은 위원회가 세계 66개국 출신 182명을 추천받아 종합적인 심사와 철저한 검증 작업을 거쳐 첫 수상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는 “문선명 총재께서 1960년대부터 이미 지구촌의 환경 오염과 식량난을 예견하고, 미래 세대를 위해 이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제기했었다”며 “문 총재는 해법을 해양에서 찾으라는 비전과 가르침도 제시했다”고 전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세계일보 바로가기]
2021.03.04 -
[중앙일보] 아노테 통 대통령, 굽타 박사 ...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선정
[중앙일보] 아노네 통 대통령,굽타 박사...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선정 제1회 선학평화상의 수상자로 남태평양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63)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6) 박사가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 총장)는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두 사람을 공동 수상자로 발표했다. 선학평화상은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인물과 단체를 발굴하기 위해 고(故) 문선명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와 한학자 여사가 추진해 만들어졌다.위원회에 따르면 아노테 대통령은 지구 온난화로 해수면이 상승해 위기에 처한 자국의 상황을 국제 사회에 알려 기후 변화를 공론화 한 업적을 평가 받았다. 굽타 박사는 물고기 양식 기술을 개발해 ‘청색 혁명’을 주도하고 동남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빈곤층에게 자활의 길을 터준 공로를 인정받았다.선학평화상 수상자들은 100만 달러(약 11억원)의 상금을 나눠 받는다. 시상식은 8월 28일 서울에서 개최된다.워싱턴=채병건 특파원 mfemc@joongang.co.kr[중앙일보 가기] [아시아 투데이]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 · 모다두구 굽타 박사 \'선학평화상\' 수상아시아투데이 홍정원 기자 =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아노테 통 대통령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으며,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 ‘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됐다. 아노테 통 대통령은 “UN같은 국제기구가 아닌 곳에서도 기후변화가 세계 평화를 위해 중대한과제임을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고무적이다”이라고 말했다. [자세히보기] [월드경제]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대통령 · 굽타 박사 공동 수상시상식 8월 28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서 개최【월드경제신문 김미경 기자】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 통(63세)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6세) 박사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아노테 통 대통령은‘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고,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됐다.아노테 통 대통령은“UN같은 국제기구가 아닌 곳에서도 기후변화가 세계 평화를 위해 중대한과제임을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고무적” 이라며 “선학평화상 수상을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더 널리 알리고, 해결책 마련의 지혜를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매우 기쁘다”고 선정 소감을 전했다.공동 수상자인 굽타 박사는 “선학평화상 수상으로 굶주림과 가난을 줄여 평화로운 인류 공동체를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룰 새로운 에너지를 받게 되었다”며“기아와 빈곤 해결을 위해 같은 길을 걸어온 전 세계의 동료들과 이 큰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된 아노테 통 대통령은 세계가 직면한 막대한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전파하며 전 지구적인 해결책 모색을 주도하고 있다.....[자세히보기] [뉴시스] 제1회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대통령·모다두구 굽타 박사 공동 수상 【서울=뉴시스】김정환 기자 =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63)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6) 박사가 공동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내셔널 프레스 클럽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초대 수상자를 발표했다. 통 대통령은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 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을 높이 평가받았다. . 굽타 박사는 ‘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 빈민 구제와 식량 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를 크게 인정받았다. 통 대통령은 “UN 같은 국제기구가 아닌 곳에서도 기후변화가 세계 평화를 위해 중대한 과제임을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고무적이다”며 “선학평화상 수상을 통해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더욱 널리 알리고, 해결책 마련의 지혜를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돼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굽타 박사는 “선학평화상 수상으로 굶주림과 가난을 줄여 평화로운 인류 공동체를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룰 새로운 에너지를 받게 됐다”면서 “기아와 빈곤 해결을 위해 같은 길을 걸어온 전 세계 동료들과 이 큰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 [자세히보기] [에너지 신문]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선정아노테 통 대통령, 굽타박사 공동 수상[에너지신문]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 통(Anote Tong. 63세)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M. Vijay Gupta, 76세) 박사를 선정했다고 8일 밝혔다.아노테 통 대통령은‘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으며,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됐다.아노테 통 대통령은“UN같은 국제기구가 아닌 곳에서도 기후변화가 세계 평화를 위해 중대한과제임을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고무적이다”라며“선학평화상 수상을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더 널리 알리고, 해결책 마련의 지혜를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매우 기쁘다”고 선정 소감을 전했다. 공동 수상자인 굽타 박사는“선학평화상 수상으로 굶주림과 가난을 줄여 평화로운 인류 공동체를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룰 새로운 에너지를 받게 됐다”라며“기아와 빈곤 해결을 위해 같은 길을 걸어온 전 세계의 동료들과 이 큰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자세히보기][매일종교신문] 문선명·한학자 추진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 모다두구 굽타 공동수상상금 세계 최대 10억원, 8월 28일 서울서 시상식고(故) 문선명 가정연합 총재와 한학자 여사가 추진해 만들어진 ‘선학평화상’의 제1회 공동수상자로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왼쪽 사진·62)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5) 박사가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해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상이다. 선학평화상은 인류의 미래 평화를 위한 제1회 시상 테마로 ‘바다’를 주목했다. 지구의 71%를 뒤덮고 있는 바다는 압도적인 ‘기후조절’ 기능뿐만 아니라 막대한 ‘자원공급 기능’까지 하고 있어 이런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의 보물창고이기 때문이다. 아노테 대통령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 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다고 선학평화상위원회가 밝혔다.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거론되고 있는 그는 유엔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국제사회의 능동적 대처를 이끌어내기 위한 포괄적인 협의체 구성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아노테 대통령은 30년 이내에 수몰될 위기에 처한 자국의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피닉스 제도 해양구역(PIPA)을 설정하고 태평양해양경관 관리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보호와 관리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굽타 박사는 \'청색혁명의 설계자\' 또는 \'동남아시아 빈민의 성자(聖者)\'로 불릴 정도로 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됐다. ....[자세히보기]
2021.03.04 -
[조선일보] 통 대통령 · 굽타 박사 '선학평화상' 첫 수상자로
[조선일보]통 대통령 · 굽타 박사 \"선학평화상\' 첫 수상로 워싱턴=윤정호 특파원 아노테 통(왼쪽), 모다두구 굽타국내 최다 상금인 100만달러(약 11억원)를 주는 \'선학평화상\' 제1회 수상자로 아노테 통(63)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76) 박사가 선정됐다. 이 상은 2012년 타계한 문선명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총재의 사상을 알리기 위해 부인 한학자 여사가 제안했으며,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가 선정한다. 시상식은 8월 28일 서울에서 갖는다.위원회는 8일 미 워싱턴DC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아노테 통 대통령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한 공을, 굽타 박사는 동남아 빈민구제와 식량 해결에 앞장선 점을 높게 평가했다\"고 밝혔다. 태평양 섬나라 키리바시의 통 대통령은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2050년이면 바다에 가라앉을 위기에 놓인 자국 상황을 세계에 알려 환경변화에 대한 세계적 해결책 모색을 주도해왔으며, 노벨평화상 후보로도 거론된다. 굽타 박사는 물고기 양식 기술로 \'청색혁명\'을 주도하고 동남아·아프리카 빈곤층에 가르쳐 자활을 도왔다.[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조선일보로 가기 ][한국경제]\"선학평화상\' 제1회 수상자 아노테 통 · 모다두구 굽타통일교 재단 후원.. 8월 시상식단일상 최대 상금 100만달러통일교 재단이후원하는선학평화상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태평양 섬나라인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62·왼쪽)과 인도의 어류 양식 전문가인 모다두구 굽타 박사(75·오른쪽)를 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선학평화상은 통일교 창시자인 고 문선명 총재의 부인 한학자 여사가 문 총재의 평화 비전을 기리기 위해 둘의 이름을 따서 제정한 상이다. 노벨평화상 수상자 후보로거론되고 있는 통 대통령은 30년 이내에 수몰될 위기에 처한 자국의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해양생태계 보호에 앞장서고 있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그는 자국의 피닉스제도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설정하는 등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공론화하면서 전 지구적인 해결책 모색을 주도해왔다. 또 ‘존엄한 이주’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 난민’ 보호에 관한 국제사회의 인식을 환기시킨 점도 인정받았다.....[자세히보기][문화일보]\'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아노네 통 · 모다두구 굽타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1회 선학평화상(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 총장) 공동수상자에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시상식은 오는 8월 28일 서울에서 열린다.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인물을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수상자에게는 100만 달러(약 10억 원)의 상금이 지급된다. [자세히 보기][아주경제]제1회 선학평화상에 아노테 통 대통령, 굽타 박사 공동선정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 통(Anote Tong. 63)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M. Vijay Gupta, 76) 박사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아노테 통 대통령은‘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됐다.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된 아노테 통 대통령은 세계가 직면한 막대한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전파하며 전 지구적인 해결책 모색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2010년 유네스코의 세계 최대 문화유산으로 지정된‘피닉스제도 해양보호구역(PIPA)’을 설정하는 등 해양생태계 보호를 선도하고 있다.또한, 그는‘존엄한 이주(Imigration with Dignity)’프로그램을 통해 30년 이내에 수몰될 운명에 처한 자국 국민의 인권 수호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를 통해 기후난민의 인권 보호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을 환기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이런 활동으로 그는 노벨평화상 수상자 후보로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2012년도에 피터 벤츨리 해양상, 힐러리상(기후평등 부문)등을 수상하며 국제사회에서 크게 인정받고 있다.또 다른 공동수상자인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 이른바‘청색혁명의 설계자’,‘동남아시아 빈민의 성자(聖者)’로 불란다. 미래 식량위기의 대안인 수산양식기술 개발에 전 생애를 매진하여 생산량 증대의 혁명을 일구어냈고, 아시아와 아프리카 빈민에게 양식법을 보급하여 자립의 기적을 일으킨 공로가 크게 인정되었다. 굽타 박사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5년 식량 부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세계식량상’을 수상한 바 있다. ...[자세히보기][머니위크]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 · 굽타 박사\' 공동선정키리바시의 아노테 통(62)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5) 박사가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해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고(故) 문선명 가정연합 총재와 한학자 여사가 추진해 만들어진 상이다.선학평화상위원회는 아노테 대통령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 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다고 밝혔다.아노테 통 대통령은“UN같은 국제기구가 아닌 곳에서도 기후변화가 세계 평화를 위해 중대한과제임을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고무적”이라며 “선학평화상 수상을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더 널리 알리고, 해결책 마련의 지혜를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매우 기쁘다”고 선정 소감을 전했다. 공동 수상자인 굽타 박사는 \'청색혁명의 설계자\' 또는 \'동남아시아 빈민의 성자(聖者)\'로 불릴 정도로 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됐다..[자세히보기][스포츠 월드]아노테 통 대통령, 굽타 박사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공동 선정돼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 기후변화 위기 심각성 국제사회에 전파기후난민의 인권 위해 리더십 선보이고, 모다두구 굽타 박사 양식기술 혁신으로빈민구제 및 미래 식량위기 해결 앞장서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 통(Anote Tong. 63세)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M. Vijay Gupta, 76세) 박사를 선정했다고 8일(미국 현지시간) 밝혔다. 아노테 통 대통령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으며,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 ‘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됐다..... [자세히보기][서울경제]제1회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 모다두구 굽타 공동 수상(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기자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62)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5) 박사가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해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고(故) 문선명 가정연합 총재와 한학자 여사가 추진해 만들어진 상이다.아노테 대통령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 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다고 선학평화상위원회가 밝혔다. 노벨평화상 수상자로 거론되고 있는 그는 유엔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국제사회의 능동적 대처를 이끌어내기 위한 포괄적인 협의체 구성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자세히보기][에너지 경제]기후위기 심각성 알리고... 물고기양식 혁신 기술 개발하고...[에너지경제 이일형 기자]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 한 아노테통(Anote Tong) 키리바시 대통령과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M. Vijay Gupta) 박사가 선학평화상의 첫 공동 수상자가 됐다.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이하 위원회)는 제 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통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위원회는 아노테통 대통령의 경우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모다두구 굽타 박사는 ‘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 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각각 인정됐다고 밝혔다. ...[자세히보기][데일리 한국]제1회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모다두구 굽타 공동수상아노테 대통령은 30년 이내에 수몰될 위기에 처한 자국의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피닉스 제도 해양구역(PIPA)을 설정하고 태평양해양경관 관리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세계 최대 규모의 해양보호와 관리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중략) 굽타 박사는 지역맞춤형 양식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생명의 위협을 무릅쓰고 동남아시아 분쟁지역까지 찾아가 헌신적으로 연구에 매진했으며, 빈곤층에게 저비용·고효율의 \'양식농업 통합방식\'(IAA) 기술을 보급했다.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상\"이라며 \"기후위기와 식량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힘쓴 통 대통령과 굽타 박사는 인류의 미래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지금도 헌신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선학평화상에는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 달러(한화 10억원 상당)의 시상금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오는 8월 28일 서울에서 개최된다. ..[자세히보기]
2021.03.04 -
제1회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 모다두구 굽타 공동 수상
[세계일보]제1회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모다두구 굽타 공동수상 아노테 통 키리바시 대통령 (좌),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 박사 (우)국내 최다 상금의 선학평화상 1회 수상자로 아노테 통(63)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비제이 굽타(76) 박사가 선정됐다.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총장)는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내외신 기자회견을 열어 기후변화 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한 아노테 통 대통령과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앞장선 굽타 박사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아노테 통 대통령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2050년 무렵 바다에 가라앉을 위기에 놓인 자국의 상황을 세계에 알리면서 환경변화에 대한 세계적 해결책 모색을 주도한 업적을 평가받았다. 위원회는 그가 생존을 위협받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에서 헌신적으로 미래 세대를 위해 희망적이고 건설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굽타 박사는 평생에 걸쳐 미래 식량위기의 대안으로 물고기 양식기술을 개발해 ‘청색혁명’을 주도하고 동남아와 아프리카의 수많은 빈곤층에게 양식기술을 가르쳐 자립과 자활을 도운 공로를 인정받았다.... [자세히보기][ 연합뉴스] 제1회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모다두구 굽타 공동수상(워싱턴=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62)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5) 박사가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선정됐다.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해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고(故) 문선명 가정연합 총재와 한학자 여사가 추진해 만들어진 상이다.아노테 대통령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기후 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이 높게 평가됐다고 선학평화상위원회가 밝혔다. 굽타 박사는 \'청색혁명의 설계자\' 또는 \'동남아시아 빈민의 성자(聖者)\'로 불릴 정도로 혁신적인 물고기 양식기술 개발로 동남아시아 빈민구제와 식량위기 해결에 기여한 공로가 크게 인정됐다.... [자세히보기][YTN]키리바시 대통령, 선학평화상 수상태평양의 섬나라 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과 인도의 양식 농업 전문가인 모다두구 굽타 박사가 제1회 선학평화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선학평화상 위원회는 미국 워싱턴 프레스클럽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수상자를 발표하고 이들 두 사람에게 1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0억 원을 상금으로 지급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위원회는 아노테 대통령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국제사회에 공론화하고 이상 기후로 발생한 난민의 인권 수호를 위해 노력한 업적을 높게 평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 [자세히보기][SBS CNBC] 제1회 선학평화상 아노테 통 대통령과 굽타 박사 공동 선정키리바시의 아노테 통(62) 대통령(우측 사진)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5) 박사(좌측 사진)이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선정됐다.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해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고(故) 문선명 가정연합 총재와 한학자 여사가 추진해 만들어진 상이다. (중략)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상\"이라며 \"기후위기와 식량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힘쓴 통 대통령과 굽타 박사는 인류의 미래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지금도 헌신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선학평화상에는 단일 상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100만 달러(한화 10억원 상당)의 시상금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오는 8월 28일 서울에서 개최된다. [자세히보기][이데일리]상금 100만달러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선정키리바시의 아노테 통 대통령인도의 모나두구 굽타 박사 공동 수상[이데일리 김용운 기자] 선학평화상위원회는 제1회 선학평화상의 공동수상자로 아노테 통(63) 키리바시 대통령과 인도의 모다두구 굽타(76) 박사를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중략)아노테 통 대통령은“UN같은 국제기구가 아닌 곳에서도 기후변화가 세계 평화를 위해 중대한과제임을 주목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고무적이다”며,“선학평화상 수상을 통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더 널리 알리고, 해결책 마련의 지혜를 모을 수 있는 계기가 되어 매우 기쁘다”고 선정 소감을 전했다.공동 수상자인 굽타 박사는“선학평화상 수상으로 굶주림과 가난을 줄여 평화로운 인류 공동체를 이룩하고자 하는 목표를 이룰 새로운 에너지를 받게 되었다”며“기아와 빈곤 해결을 위해 같은 길을 걸어온 전 세계의 동료들과 이 큰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자세히보기]
2021.03.04 -
‘한국의 노벨상’,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오는 8일 베일 벗는다.
[중앙일보]‘한국의 노벨상’,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오는 8일 베일 벗는다.6월 8일(월) 오후 12시(미국시간 기준) 미국 워싱턴 DC의 The National Press Club에서 수상자 발표해66개국 182명의 추천 후보자, 1년여 동안 엄정 검증 통해 최종 수상자 선정미래 세계를 이끌어갈 깜짝 놀랄 만한 수상자 발표 예정한국의 노벨상으로 평가받는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前 고려대 총장)는 오는 8일 오후 12시(미국시간 기준)에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한다고 밝혔다.올해 1회를 맞이하는 선학평화상 시상식은‘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 및 지원하여 21세기에 걸맞는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는 미래 인류 공동체가 직면할 평화 위기의 해법으로‘해양’에 주목하여 해양 관련 업적의 수상자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선학평화상위원회는 각국 저명인사와 국제적 상의 수상자, 세계적 권위를 가진 학술단체와 비정부기구(NGO) 등의 추천위원들을 통해서 66개국 182명의 후보자들을 추천받았다.이후, 홍일식 선학평화상 위원장과 보트로스 갈리 前 UN 사무총장을 포함한 16명의 선학평화상위원들이 토의 및 심사 후, 엄정한 현장조사를 거쳤다. 후보 선정 기준으로는 평화 비전의 미래지향성, 활동의 인류 복지 공헌도, 시상 연도 평화 주제와의 관련도 등 복합적인 평가기준이 적용되었다. [자세히 보기] [일요신문]‘한국의 노벨상’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오는 8일 베일 벗는다 [일요신문] 한국의 노벨상으로 평가받는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 총장)는 오는 8일 오후 12시(미국시간 기준)에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자세히 보기][헤럴드경제]국내 최대 10억원 상금,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오는 8일 베일 벗는다.[헤럴드경제=서상범 기자]한국의 노벨상으로 평가받는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前 고려대 총장)는 오는 8일 오후 12시(미국시간 기준)에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한다고 4일 밝혔다.올해 1회를 맞이하는 선학평화상 시상식은‘미래세대를 위한 평화’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 및 지원하여 21세기에 걸맞는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는 미래 인류 공동체가 직면할 평화 위기의 해법으로‘해양’에 주목하여 해양 관련 업적의 수상자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히보기][ACROFAN]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 오는 8일 베일 벗는다선학평화상위원회는 각국 저명인사와 국제적 상의 수상자, 세계적 권위를 가진 학술단체와 비정부기구(NGO) 등의 추천위원들을 통해서 66개국 182명의 후보자들을 추천받았다.이후, 홍일식 선학평화상 위원장과 보트로스 갈리 前 UN 사무총장을 포함한 16명의 선학평화상위원들이 토의 및 심사 후, 엄정한 현장조사를 거쳤다. 후보 선정 기준으로는 평화 비전의 미래지향성, 활동의 인류 복지 공헌도, 시상 연도 평화 주제와의 관련도 등 복합적인 평가기준이 적용되었다. [자세히보기][전자신문]한국의 노벨상 ‘제1회 선학평화상’, 8일 수상자 발표66개국 182명 추천 후보자, 1년여 동안 엄정 검증 [전자신문인터넷 김현수기자] 한국의 노벨상으로 평가받는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前 고려대 총장)는 오는 8일 오후 12시(미국 시간 기준)에 ‘제1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를 발표한다고 4일 밝혔다.올해 1회를 맞이하는 선학평화상 시상식은 ‘미래 세대를 위한 평화’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 및 지원해 21세기에 걸맞은 새로운 평화 문명을 제시하기 위해 제정됐다. 특히 이번 시상식에서는 미래 인류 공동체가 직면할 평화 위기의 해법으로 ‘해양’에 주목해 해양 관련 업적의 수상자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히보기]
2021.03.04